동향

리포트

리포트는 KOSEN 회원님들이 작성하는 최신연구동향 보고서입니다.
국내외 연구기관에서 발간하는 최신 동향보고서를 제공합니다.

전체 46913

글쓰기
전체 46913
글쓰기

중국투자기업 청산관련 법규 스크랩

  • 정보통신기획평가원
  • |
  • 정보/통신

1. 배경중국은 <민법전>, <회사법>, <시장주체등기관리조례> 등 법률과 법규의 규정에 따라 중국에서 회사설립 후 회사를 종결하고자 할 경우 해산결의, 청산절차와 등기말소 등 절차를 진행하도록 요구하고 있음최근 들어 외상투자기업들의 경영기한 만료, <외상투자법>의 전면실시에 따른 지배구조 변경, 코로나19로 인한 영향, 미중무역분쟁의 여파 등으로 중국에 투자한 한국회사들이 경영에 어려움을 겪게 되면서 사업을 철수하고 회사를 청산하는 수요가 늘어나고 있음기존 중국의 외상투자기업 청산의 경우 청산절차가 복잡하고 시간 및 비용이 많이 드는 등 문제점이 있어 투자업체들이 적법한 청산이나 말소절차를 거치지 않는 사례들이 많이 발생하였음

2023-03-31


코로나 이후 몽골 증권시장 활성화 기대 높아져 스크랩

  • 정보통신기획평가원
  • |
  • 정보/통신

몽골 증권산업은 증권사, 증권거래소, 중앙예탁결제원, 자산운용사, 클리어링 하우스, 수탁은행 등 다양한 기관으로 구성되어 있다. 증권거래는 몽골에서 가장 오래된 거래소인 몽골증권거래소(MSE), Ard 금융그룹이 소유하는 울란바토르거래소(UBX), 몽골증권협회가 운영하고 있는 장외시장(OTC)에서 이뤄지고 있다.증권거래소는 1991년 1월 18일 몽골정부의 공기업 민영화 정책에 따라 설립되었으며, 당시 몽골 국민에게 민영화 기업의 지분을 매수할 수 있는 권리를 보유한 바우처를 배포함으로서 몽골 국민들의 자본 시장 참여를 유도했다. 이를 통해 1995년 8월 28일에 경매입찰 방식으로 증권거래소에 상장된 16개의 주식(230만 투그릭)이 거래되었었다. 1994년 몽골 금융감독위원회가 증권거래법을 제정함에 따라 소규모 주식거래가 이뤄졌으나, 2000년부터 2004년까지 주식 종목이 감소하면서 2002년 6월에 몽골증권시장법이 제정되었다.2005년 이후, 몽골 자본시장이 외국인 투자자들에게 개방되면서 총 발행주식의 2% 수준에 불과했던 연 거래량이 13배 증가했다. 2007년에는 외국인 투자자의 비중이 전체 주식 시장의 61.5% 수준의 점유율을 기록하는 성장세를 보였으나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로 인해 외국인 투자자의 비중이 25.8%로 감소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후 몽골 오유톨고이 광산개발이 본격적으로 시작되면서 광업 부문 거래가 일부 활발해지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2023-03-31


2023년 스페인 바르셀로나 MWC 참관기 스크랩

  • 정보통신기획평가원
  • |
  • 정보/통신

스페인 바르셀로나 MWC는 미국 CES, 독일 IFA 소비자 가전 박람회와 더불어 세계 3대 첨단산업 전시회로 알려져 있다. 그중에서도 MWC는 전시회 이름 자체에서 알 수 있듯이 모바일 네트워크에 적합한 테마를 가지고 있어 글로벌 통신 산업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또한, 다른 여느 산업보다 변화가 빠른 모바일 산업 트렌드를 매년 확인할 수 있는 전시회이기도 하다. 이번 MWC 2023에는 202개국에서 2,400여 개 기업이 참가했고 88,500명의 참관객이 방문했다. 코로나 팬데믹이 서서히 종식되던 2022년 MWC 참관객이 약 6만 명이었던 점을 고려했을 때, 모바일 산업 분야의 변화가 빨라지고 새로운 기술 개발을 위한 글로벌 네트워킹 활동이 다시 본격화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2023-03-31


미국 남부의 할리우드, 조지아주 영화 및 TV 산업 스크랩

  • 정보통신기획평가원
  • |
  • 정보/통신

오랫동안 미국 영화산업은 할리우드를 중심으로 하는 캘리포니아에 집중돼왔다. 최근 새롭게 영화제작의 중심지로 떠오른 조지아주가 할리우드의 최대 라이벌로 주목받고 있다. 조지아주정부에 따르면 2022년 회계연도에 조지아주에서 영화 및 텔레비전 제작사가 소비한 금액이 약 44억 달러에 달한다. 이 기간 동안 412개의 영상 제작업체가 32개의 일반영화 및 36개의 독립영화, 269개의 TV 프로그램, 광고 42편, 뮤직비디오 33편 등을 조지아에서 제작했다.여기에는 지난해 미국 최고 수익을 기록한 영화 6편 가운데, '어벤져스: 앤드게임'(2위), '스파이더맨: 노웨이홈'(3위), '블랙팬서'(5위), '어벤져스: 인피니티 워'(6위) 등 4개의 영화가 포함된다. 영화뿐만 아니라 TV 시리즈 가운데 우리에게도 잘 알려진 여러 작품들이 조지아주에서 제작됐거나 혹은 현재 제작되고 있다. 2022년 7월 사상 최고 스트리밍을 기록한 넷플릭스의 '기묘한 이야기'를 비롯해 프라임타임 에미상 13개 부분에 오른 '오자크', 피보디 어워드에서 수상한 디즈니 플러스의 '로키', 아마존 프라임채널의 '언더그라운드 레일로드' 등이 조지아에서 제작된 대표작들이다. 이처럼 유명 영화 및 TV 제작자들이 조지아를 선택하는 이유는 적절한 기후와, 다양한 촬영장소, 정부의 세금 혜택, 관련 인력수급의 원활함 등으로 분석되고 있다.

2023-03-31


중국 다롄 석유화학산업 현황 스크랩

  • 정보통신기획평가원
  • |
  • 정보/통신

다롄 석유화학산업 발전 배경중국의 석유화학산업은 생산능력으로 전 세계 1위이나 산업의 집중도, 규모화, 통합수준은 비교적 낮은 편이다. 특히 고부가 석유화학제품의 생산량은 국내 수요에 비해 많이 부족한 상황이다. 반면 기존 중?저가 석유화학 제품은 과잉생산 문제가 심각한 편이다. 이를 타개하기 위해 중국 국가발전개혁위원회는 2015년 '중국 석유화학산업계획 및 배치계획'의 이행에 관한 통지서를 발표해 석유화학산업기지 설립조건에 대한 지도의견을 제시하고 7대 석유화학산업기지 발전계획을 제시한 바 있다.7대 석유화학산업기지는 모두 연안지역에 위치하고 있으며, 북쪽부터 남쪽까지 다롄 창싱다오(DALIAN CHANGXINGDAO), 허베이성 차오페이뎬(HEBEI CAOFEIDIAN), 장쑤성 롄윈강(JIANGSU LIANYUNGANG), 저장성 닝보(ZHEJIANG NINGBO), 상하이 차오징(SHANGHAI CAOJING), 광둥성 후이저우(GUANGDONG HUIZHOU), 푸젠성 구레이(FUJIAN GULEI)이다. 중국은 2025년까지 7대 석유화학기지의 정유 생산능력을 국내 총생산능력의 40%까지 끌어올릴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7대 석유화학산업기지 외에도 광둥성 마오밍잔장(茂名湛江), 랴오닝성 판진(??), 산둥성 옌타이(烟台)에 석유화학산업기지의 건설이 결정된 바 있다.

2023-03-31


[보고서] [이슈 브리핑] WHO, 글로벌 팬데믹 조약 제안 스크랩

  • 한국바이오협회
  • |
  • 보건의료

□ 2023년 2월 1일, 세계보건기구(WHO)는 코로나19 팬데믹에 대한 글로벌 대응은 연대와 형평성에 있어 큰 실패를 주었다고 평가하며, 미래에 있을 또 다른 팬데믹에 더 잘 대응하기 위해 글로벌 팬데믹 조약(Global Pandemic Treaty) 초안을 발표함.□(제안 배경) WHO는 조약의 제안 배경에 대해 명시적으로 밝히지 않았으나 현재 진행중인 팬데믹에 대한 대응은 모델이 될 수는 없다고 강조하고 있음.□(조약 초안 주요내용) 팬데믹 시기에 일정기간 동안 해당 지적재산권의 포기를 권장하며, 반드시 관련 백신의 1/5 (20%) 이상은 WHO에 기탁되어 저소득 국가 및 취약 계층에 제공될 수 있도록 하고, 가격과 계약은 공개되어야 함.□ (우려사항) 실제 조약이 어떻게 작동할 것인지, 서명국들이 약속을 지키는 방법에 대한 투명성 부족 등에 대한 우려가 있음.□ 이에, WHO는 국가들이 일종의 모니터링 시스템, 즉, 자금, 지적재산권, 백신 등에 대한 약속이 지켜지고 있는지 여부를 보고도하도록 하는 방법에 동의하기를 원하고 있음.□ 조약 초안은 선진국과 선두 기업들에게 합의하기 어려운 내용이 담겨있어 향후 1년간의 협상과정에서 완화될 것으로 예상됨. 한편, 우리도 협상과정에 참여하면서 국내 바람직한 미래 팬데믹 대응체계 수립에 활용하고, 국제 조약이 국내 백신?치료제?진단키트 산업계 및 연구계에 미칠 영향에 대해 지속 모니터링 할 필요가 있음.

2023-03-31


중국 전해망간 산업동향 스크랩

  • 정보통신기획평가원
  • |
  • 정보/통신

낙후설비 도태, 전력난 등으로 중국 망간 생산 하락세망간은 화학 원소로 기호는 Mn이고 원자번호는 25이다. 망간은 산업용 합금, 특히 스테인리스강에서 다양하게 사용되는 전이 금속으로서 강도, 작업성, 내마모성을 향상시킨다. 산화망간은 산화제, 고무첨가제, 유리제조, 비료 및 세라믹에 사용된다. 황산망간은 배터리 양극재 원료로서 수요가 증가 추세다. 2021년 우리나라 주요 망간의 중국 수입 비중은 약 98%에 달한다.망간 광석은 전해망간 생산의 주 원료이고 2022년 전 세계 주요 망간광석 생산량은 약 2000만 톤이다. 주로 남아프리카공화국, 가봉, 호주에서 집중적으로 생산돼 2022년 기준 생산비중은 남아프리카공화국이 1위로 전체의 35%를 차지하고 가봉, 호주는 각각 23%, 16%이다. 중국은 약 5%로 4위를 차지한다. 중국은 매년 90% 이상의 광석을 남아프리카공화국, 가봉, 호주 등 지역에서 수입하여 전해망간을 가공하고 있다.중국의 탄소중립 목표 따라 환경보호 정책이 엄격해지면서 낙후 설비가 도태해 산업 전체의 생산량이 하락했다. 게다가 2021년 하반기부터 광시(?西), 구이저우(?州), 윈난(云南) 등 주요 생산지역의 전력난으로 인해 생산에 차질이 발생해 생산량이 하락했다. 2021년 중국 전해망간 생산량은 130만4000톤으로 전년 동기 대비 13.1% 하락했다.

2023-03-31


[보고서] [이슈 브리핑] 일본 최초 코로나19 mRNA 백신 공장 건설 중 스크랩

  • 한국바이오협회
  • |
  • 보건의료

□ 일본 다이이치 산쿄(Daiichi Sankyo) 일본 최초 mRNA 백신 공장 건설 중- 일본 니케이 아시아(Nikkei Asia) 뉴스에 따르면, 다이이치산쿄 본사가 있는 동경에서 한시간 거리에 있는 Kitamoto에 소재한 다이이치 산쿄의 자회사인 다이이치 산쿄 바이오텍에   코로나19 mRNA 공장을 건설중에 있다고 보도함.  □ 다이이치산쿄 키타모토 공장은 일본 최초의 mRNA 코로나19 백신 공장으로 2024년까지 년간 2천만 도스의 생산 용량을 갖출 것으로 전망되며, 일본 정부의 지원으로 2027년까지 추가    증설이 이뤄질 것으로 예상됨. □ 다이이치산쿄는 2022년 11월 보도자료를 통해 공개한 코로나19 백신 후보물질인 DS-5670의 임상 1, 2, 3상의 결과에서 후보물질이 부스터로 제공되었을 때 화이자나 모더나의 mRNA 백신    보다 더 높은 수준의 중화항체를 증가시켰다고 밝힘. □ 실제로 다이이치산쿄 mRNA 공장이 얼마나 코로나19 백신을 생산할지는 일본 정부와의 계약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 아울러, 이 mRNA 공장은 계절성 독감 백신과 같이 주기적으로 필요한 양의    생산이 가능할 수 있으며, 코로나19 백신 대신 다른 백신의 생산에도 사용될 수 있도록 준비 중에 있음. □ 일본의 또 다른 제약기업인 시오노기(Shionogi)도 코로나19 재조합 단백질 백신을 개발하고 있고, 대형 식품업체인 메이지 홀딩스(Meiji Holdings)의 자회사인 케이엠 바이오로직스(KM Biologics)     도 불활성화 코로나19 바이러스 백신에 대해 금년 6월 승인을 목표로 인허가 절차를 밟고 있는 것으로 알려짐.

2023-03-31


GT 글로벌산업정책동향_Europe Weekly Brief 3월 (1) 스크랩

  • 정보통신기획평가원
  • |
  • 정보/통신

① 독일, 태양광발전 전략 초안 발표(3.10)ㅇ 독일 연방 경제·기후보호부는 독일 내 태양광발전 시스템 확장을 위한 회담을 개최ㅇ 로버트 하벡 장관은 독일 내 신재생에너지 확장을 위해 구체적인 조치와 함께 11개 실행 부문을 포함한 태양광발전 전략 초안을 발표<출처>https://www.bmwk.de/Redaktion/DE/Pressemitteilungen/2023/03/20230310-erster-entwurf-photovoltaik-strategie.html초안본전문: https://www.bmwk.de/Redaktion/DE/Publikationen/Energie/photovoltaik-stategie-2023.html

2023-03-31


[보고서] [이슈 브리핑] 2023년 글로벌 세포유전자치료제 시장 동향 스크랩

  • 한국바이오협회
  • |
  • 보건의료

□ 2022년 전세계 세포?유전자치료제 투자액은 전년 대비 44% 감소 □ 그럼에도 2022년 미국과 유럽에서 6개가 최초로 허가되고, 5개가 새로운 지역 또는 새로운 적응증으로 허가되는 큰 성과 창출  □ 2023년 1월 현재 세포?유전자치료제에 대한 2,220개 임상이 진행 중 □ 2023년 선진국 세포?유전자치료제 개발 전망 : 미국은 활발, 유럽은 정체 □ 전세계 세포?유전자치료제 개발기업은 1,457개사로 전년 대비 11% 증가 

2023-0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