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향

리포트

리포트는 KOSEN 회원님들이 작성하는 최신연구동향 보고서입니다.
국내외 연구기관에서 발간하는 최신 동향보고서를 제공합니다.

전체 46908

글쓰기
전체 46908
글쓰기

[GTM230118] 이탈리아 ChatGPT 일시적 금지 명령과 유럽 생성형 AI 관련 규제 동향 스크랩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
  • 정보/통신

o '23년 3월 31일, 이탈리아 정보보호 기관(Garante per la Protezione dei Dati Personali, 이하 ‘GPDP’)은 ChatGPT의 개인정보 침해 여부 조사 위해 자국 내 ChatGPT 서비스를 일시적으로 중지한다고 발표 - '23년 3월 20일 보고된 ChatGPT 사용자 대화와 가입자의 서비스 결제 정보의 유출 사건 이후 실시한 테스트에서 ChatGPT가 개인 데이터를 처리하고 있다고 결론 - 또한 ChatGPT는 약관에서 13세 이상의 사용자를 대상으로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밝혔으나, 서비스 가입 시 나이 확인 절차가 없고 이에 따라 13세 미만의 어린이가 유해 정보에 노출될 수 있음을 지적 - 그 밖에 ChatGPT에서 제공하는 인물의 정보가 부정확하고, 사용자는 자신의 데이터가 수집되고 있음을 인지하지 못한다는 점에 대해 문제를 제기 - 본 규제의 법적 근거는 EU의 “일반 정보보호 규정(General Data Protection Regulation, 이하 ‘GDPR’) 위반으로,  ? 개발·운영사인 OpenAI에게 ChatGPT 학습데이터에 포함된 이탈리아 사용자의 개인정보 사용을 중지할 것을 요구  ? 또한 20일 이내에 GDPR 규정 위반 가능성에 대해 조처해야 하며, 조처가 이행되지 않으면 최대 2,000만 유로 또는 글로벌 총 매출액의 4%에 해당하는 벌금이 부과될 수 있음 - OpenAI는 4월 3일 이탈리아 내 ChatGPT 서비스를 중단  ? OpenAI의 CEO Sam Altman은 OpenAI는 모든 개인정보 보호법을 준수하고 있다고 생각하나 이탈리아 당국의 결정에 따라 ChatGPT 서비스 제공을 중지했음을 밝힘 o 이탈리아의 조치 이후 프랑스, 아일랜드, 독일, 영국 등 다른 EU 국가의 관련 기관은 ChatGPT와 같은 생성형 AI의 개인정보 보호 위반 가능성에 대한 반응을 나타냄 - 프랑스와 아일랜드의 데이터 보호 기관은 GPDP와 접촉하여 이탈리아 조치의 근거를 이해하기 위한 작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모든 EU 데이터 보호 당국과 협력할 것이라 밝힘 - 독일 정부도 ChatGPT의 개인정보 보호 위반 가능성에 대해 조사를 착수하였다고 밝힘('23.4.3.) - 영국 데이터 규제 담당 기관인 ICO(Information Commission’s Office)의 관계자는 기관 블로그 게시글을 통해 생성형 AI의 개발·사용 시 개인정보 보호에 유의하도록 당부('23.4.3.) - 상기한 4개국의 반응과는 달리 스웨덴 개인정보 규제기관은 ChatGPT를 금지할 계획이 없다고 표명하였고, 스페인의 경우 ChatGPT에 대한 불만이 접수되진 않았으나 향후 조사를 배제하진 않는다고 밝힘o (시사점) AI 기술의 급격한 발전 양상에 관해 혁신에 대한 기대감과 함께 안전성과 불확실성에 대한 불안감이 확대됨에 따라 AI를 통제할 수 있는 법과 시스템의 구축과 AI 윤리 수립 및 공감대 형성 등의 사회적 노력에 관한 요구도 가속될 것임 - 지난 3월 29일 미국 비영리단체인 미래삶연구소(Future of Life Institute)가 주도하고 엘론 머스크(Elon Musk), 유발 하라리(Yuval Noah Harari) 등 유명 인사와 AI 관련 인사들이 서명한 공개 성명서에서 GPT-4 성능 이상의 인공지능 개발을 최소 6개월 동안 중단하고 AI 윤리와 투명성에 관해 논의를 제안함 - 미국 바이든 대통령은 지난 4월 4일 열린 과학기술 자문위원회 회의에서 민간 및 공공에서 AI 위험성을 해결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밝힘 - EU는 '21년 인공지능법안을 발의 '22년 말 유럽연합 이사회에 의해 채택되어 유럽 의회에서 논의 중으로, 총 85개의 조항으로 구성됨 - 우리나라에서는 지난 2월 14일 국회 과학기술방송통신위원회 법안심사소위에서 인공지능 관련 7개 법안을 통합한 대안을 통과시켰고, 이와 별도로 3월 2일 황희 의원의 대표발의로 인공지능의 개발 및 이용의 기본 원칙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인공지능책임법안'이 동 위원회에 회부됨※ 참조: - Wired 기사('23.4.4.), ChatGPT Has a Big Privacy Problemhttps://www.wired.com/story/italy-ban-chatgpt-privacy-gdpr/- Reuters 기사('23.4.4.), Italy’s ChatGPT ban attracts EU privacy regulatorshttps://www.reuters.com/technology/germany-principle-could-block-chat-gpt-if-needed-data-protection-chief-2023-04-03/- Opendatascience.com 기사('23.4.5.), Following Italy’s Ban, Germany is Also Considering a Ban on ChatGPThttps://opendatascience.com/following-italys-ban-germany-is-also-considering-a-ban-on-chatgpt/-ICO Blog('23.4.3.), Generative AI: eight questions that developers and users need to askhttps://ico.org.uk/about-the-ico/media-centre/news-and-blogs/2023/04/generative-ai-eight-questions-that-developers-and-users-need-to-ask/- 미래삶연구소 공개 성명서('23.3.29.)https://futureoflife.org/open-letter/pause-giant-ai-experiments/- 바이든 미 대통령 PCAST 녹취록('23.4.4.)https://www.whitehouse.gov/briefing-room/speeches-remarks/2023/04/04/remarks-by-president-biden-in-meeting-with-the-presidents-council-of-advisors-on-science-and-technology/* 요약글 출처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GTM230118

2023-04-13


5G 네트워크의 XR 및 미디어 서비스 표준 기술 동향 스크랩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
  • 전기/전자

5G 네트워크의 XR 및 미디어 서비스 표준 기술 동향Extended Reality and Media Service Standardization Trends for 5G Mobile Networks하정락 (J.L. Ha, jlha@etri.re.kr) 패킷네트워크연구실 책임연구원 김창기 (C.K. Kim, ckkim1@etri.re.kr) 패킷네트워크연구실 책임연구원ABSTRACTExtended reality (XR) provides an immersive virtual experience by using various media. The XR virtual environment enables interactions between the real and virtual worlds in virtual, augmented, and mixed reality scenarios. XR is being used in various areas such as industry, medical care, road transportation, gaming, education, and culture. XR and multimedia enhancement are important business scenarios for fifth-generation (5G) mobile networks. As users ?demand for emerging media services gradually increases, enhancements in networks should be implemented for delivering multimedia services such as XR. We describe related standardization trends and requirements of the XR service in 5G mobile networks. We also discuss technological enhancements for 5G mobile networks as specified by the 3GPP SA2 working group.KEYWORDS?5G core network, extended reality, multi-modal service5G 네트워크의 XR 및 인터랙티브 미디어 서비스 기술 및 표준화 동향을 3GPP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3GPP는 5G-Advanced 표준의 시작인 Rel-18 에서 기존 5G 서비스 요구사항보다 한층 복잡해진 XR 및 미디어 서비스를 실현하기 위한 Stage 2 레벨의 5G 시스템 및 네트워크의 표준화를 2023년 6월을 목표로 진행 중이다.XR 및 미디어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표준 규격 작업은 기존 5G 시스템 아키텍처 및 논리적인 기능 노드에의 변화나 기존의 다른 서비스에 영향이 없어야 한다는 원칙으로 진행 중이다. 5G 시스템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XR 및 미디어 서비스를 위해 크게 PDU Set 개념의 도입과 더불어 종래의 QoS 모델의 확장으로 기존 논리적 기능 노드들의 기능을 업그레이드 중이다. 5G-Advanced의 XR 및 미디어 서비스 기술은 향후 다양한 산업 및 응용 서비스 분야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2023-04-13


SRv6 기반 네트워크 프로그래밍 기술 동향 스크랩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
  • 정보/통신

SRv6 기반 네트워크 프로그래밍 기술 동향Technology Trends in Network Programming Based on SRv6유현경 (H.K. Yoo, hkyoo@etri.re.kr) 모바일코어네트워크연구실 책임연구원장석원 (S.W. Jang, seokwon.jang@etri.re.kr) 모바일코어네트워크연구실 선임연구원고남석 (N.S. Ko, nsko@etri.re.kr) 모바일코어네트워크연구실 책임연구원/실장ABSTRACT Segment routing (SR) is a source-based routing architecture in which a node steers packets adhering to service and topological requirements. Using programmable segments, SR enables end-to-end service connectivity to satisfy the network constraints of various services. SR can be implemented with both MPLS and IPv6 dataplanes. This survey presents the overview of SR for IPv6 dataplane (SRv6), network programming technologies based on SRv6, and the SR deployment status.KEYWORDS?SID, SRH, SRv6, SRv6 정책, 네트워크 세그먼트 라우팅, 네트워크 프로그래밍본고에서는 응용 서비스의 특성에 따라 동적으로 네트워크 경로를 프로그래밍하여 제어할 수 SRv6 구조와 이를 이용한 네트워크 프로그래밍 기술과 적용 사례에 대해 살펴보았다. SRv6 기술을 기반으로 트래픽 엔지니어링, 가상 사설 네트워킹, 네 트워크 모니터링 등의 서비스 개발은 상용화 단계 에 있으며, 최근에는 데이터 플레인의 성능 고도화, 어플리케이션과의 밀결합, 6G 인프라 적용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 중이다. SRv6 기술의 미래 가치를 고려할 때 국내 네트워 크 장비 산업체의 SRv6 기반 기술 및 네트워크 서비 스 프로그래밍 기술에 관한 글로벌 산업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전략 수립이 필요한 시점이다. ETRI는 국내 네트워크 산업의 경쟁력 확보 및 시장을 견인할 수 있도록 국내외 관련 산업체의 요구사항을 수렴하여 SRv6 기반 네트워크 서비스 프로그래밍 기술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2023-04-13


모바일 네트워크 에너지 절감 기술 동향 스크랩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
  • 에너지/자원

모바일 네트워크 에너지 절감 기술 동향Trends in Mobile Network Energy-Saving Technology정수정 (S. Jung, sjjung@etri.re.kr) 지능형스몰셀연구실 책임연구원 홍승은 (S.-E. Hong, iptvguru@etri.re.kr) 지능형스몰셀연구실 책임연구원 나지현 (J. Na, jhna@etri.re.kr) 지능형스몰셀연구실 책임연구원/실장ABSTRACTEnergy efficiency is an important factor toward sustainable future mobile network systems. As the size of the 5G mobile network system increases, the consumption and costs of energy increase. Accordingly, energy-saving optimization has become a major process in network systems, and various related technologies for energy saving are being developed. We provide a brief review of the technical trends in energy saving in 3GPP 5G & 5G Advanced systems and O-RAN systems. We focus on power models and energy-saving technologies in various resource domains of 3GPP 5G & 5G Advanced systems and energy-saving use cases of O-RAN systems.KEYWORDS?RAN 지능형 제어기, 에너지 절감, 에너지 효율, 전력 상태 모델에너지 절감은 5G 이후의 모바일 네트워크 시스템의 규모가 커짐에 따라 필요한 에너지 소비의 증가로 인해 그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3GPP 5G 및 5G advanced 시스템의 새로운 에너지 절감 기술로 인한 이득 분석을 위한 전력 소비 추정용 단말 및 기지국 전력 모델과 시간, 주파수, 공간 및 전력 영역에서 제시된 에너지 절감 기술들, O-RAN 시스템의 기술 개요 및 에너지 절감 사용 사례, 이를 위해 제 시된 다양한 에너지 절감 기술들을 살펴보았다.

2023-04-13


위성항법시스템 서비스 및 신호 현황 스크랩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
  • 전기/전자

위성항법시스템 서비스 및 신호 현황Status of Navigation Satellite System Services and Signals한가희 (K. Han, kahee.han@etri.re.kr) 위성항법연구실 연구원 방유진 (E. Bang, eugene.bang@etri.re.kr) 위성항법연구실 선임연구원 임형수 (H. Lim, lim@etri.re.kr) 위성항법연구실 책임연구원 이상욱 (S. Lee, slee@etri.re.kr) 위성항법연구실 책임연구원 박승근 (S. Park, seungkp@etri.re.kr) 전파연구본부 책임연구원/본부장ABSTRACTPositioning, navigation, and timing information has become a key element in the national core infrastructure and for emerging technologies, such as autonomous driving, lunar exploration, financial systems, and drones. Therefore, the provision of that information by navigation satellite systems is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Existing systems such as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and BDS (BeiDou Navigation Satellite System) also provide augmentation, safety-of-life, search & rescue and short message communication and authentication services to increase their competitiveness. Those services and the signals generated for their provision have their own purpose and requirements. This article presents an overview of existing or planned satellite navigation satellite system services and signals, aiming to help understand their current status.KEYWORDS?서비스, 위성항법시스템, 측위, 항법, 항법신호본고에서는 현재 운용되고 있는 위성항법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및 송출 항법신호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공개 PNT 서비스의 경우에는 저가 상용 수신기를 대상으로 하므로 좁은 신호 대역폭을 특징으로 하며, 인증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향으로 부분적 개선이 진행되고 있다. 접근제한 PNT 서비스는 민간에서의 접근을 제한하기 위해 암호화된 확산 코드 사용을 공통점으로 하며, 높은 측 위 성능 확보를 위해 넓은 신호 대역폭을 가진다. 보정 서비스는 보정 정보 전달을 목적으로 하므로 높은 데이터전송속도를 특징으로 하며, 재난안전 서비스는 PNT 항법신호의 항법메시지에 포함되는 COSPAS-SARSAT 회신링크메시지를 통해 제공된다. 단문 메시지 서비스의 경우, BDS만 국지서비스를 위해 전용 링크를 가지며 글로벌 서비스는 공개 PNT 항법신호의 항법메시지를 통해 제공되므로 별도의 신호구조적인 특징을 가지지는 않는다. 이와 같은 기존 위성항법시스템의 서비스 및 항법신호 별 특징은 향후 한국형 위성항법시스템의 위성궤도별 서비스 제공 방안 및 항법신호 설계 시 참고할 필요가 있다.

2023-04-13


셀룰러 기반 저궤도 위성통신 기술 동향 스크랩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
  • 전기/전자

셀룰러 기반 저궤도 위성통신 기술 동향Technology Trends in Cellular-Based Low Earth Orbit Satellite Communications신재승 (J.S. Shin, sjs@etri.re.kr) 공간무선네트워킹연구실 책임연구원 황유선 (Y.S. Hwang, ys3838@etri.re.kr) 공간무선네트워킹연구실 책임연구원 배형득 (H.D. Bae, hdbae@etri.re.kr) 공간무선네트워킹연구실 책임연구원 신재욱 (J.W. Shin, jwshin@etri.re.kr) 공간무선네트워킹연구실 책임연구원 오성민 (S.M. Oh, smoh@etri.re.kr) 공간무선네트워킹연구실 선임연구원/실장ABSTRACTThe recent explosion in the number of low earth orbit (LEO) satellites launched to space allows to easily anticipate that the number of satellites in orbit will sustain a dramatic increase. As satellite components are integrated and unified with terrestrial cellular networks, they will play a key role in providing coverage and resilience for future cellular networks. We provide a brief overview of typical scenarios and network architectures for cellular-based LEO satellite communication systems. In addition, we outline 3GPP standardization trends in non-terrestrial networks and satellite access based on 5G/5G Advanced systems and analyze future evolution prospects of cellular-based satellite communication systems.KEYWORDS?5G/6G, cellular, LEO, networks, non-terrstrial, satellite저궤도 위성의 제작, 발사, 운용 기술 발전 및 소요 비용 감소로 향후 가까운 미래에 수천~수만 대의 저궤도 위성이 신규로 운영될 것이며, 5G 및 차세대 이동통신 기술과 접목된 저궤도 군집 위성통신은 미래의 핵심 통신 인프라 중 하나로 자리매김할 것 이다.국가를 넘어 지구촌 어디나 24시간, 365일 상시 서비스가 가능한 글로벌 통신 네트워크인 저궤도 군집 위성 시스템의 시장 선점을 위한 세계 통신 강국들의 경쟁이 이미 시작되었다. 이를 고려하여 국내에서도 민·관의 적극적인 관련 사업 추진 및 연구 재정 지원, 인력 충원 등을 통해 기술 우위 선점 및 시장 확보를 위한 노력이 시급하다고 할 수 있다.

2023-04-13


자발적 사고의 인지 및 신경 기제에 대한 최신 연구 동향 스크랩

  • 이홍미 이홍미
  • |
  • Johns Hopkins University
  • |
  • 인지/감성과학

인지심리학과 인지신경과학에서는 전통적으로 실험자가 사람들에게 특정한 목표 혹은 과제를 부여한 뒤 그 과제를 수행하는 동안의 정신작용을 연구해왔다. 그러나 자연스러운 현실 상황에서 사람은 외적으로 주어진 목표나 과제가 없이도 자발적으로 여러 종류의 생각을 떠올리게 되며, 이러한 자발적 사고의 흐름은 한 사람의 정체성과 성격, 정신건강 상태 등을 반영하는 중요한 지표가 된다. 따라서 사람들로 하여금 자유롭게 떠오르는 생각을 말하게 하는 행동 패러다임을 사용하여 자발적 사고의 인지 및 신경 기제를 탐구하는 연구들이 최근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본 보고서는 그중 특히 자유연상(free association) 과제와 소리 내어 생각하기(think aloud) 과제를 사용한 최신 연구들의 방법과 결과 및 함의점을 개관하였다.

2023-04-11


심혈관질환과 알츠하이머병의 관계성 연구 스크랩

염증(low-grade inflammation) 등의 노화와 관련된 세포학적 및 분자적 과정은 심혈관질환(CVD) 및 알츠하이머병(AD) 발생의 주요 인자로 잘 알려져 있다. 유행병학 연구에서는 치매(dementia) 발병과 CVD 발생 사이에 상호작용이 있다고 보고되어왔으며, 이는 두 질병 간 중첩하는 분자 기전이 존재함을 시사하기도 한다. 최근까지의 다양한 실험 결과 및 임상적인 증거들은 흔히 알츠하이머병의 원인 인자로 잘 알려진 amyloid-beta(Aβ) 펩타이드가 노화, CVD 및 AD 사이의 관련성을 매개하는 매개체로 작용할 수 있음을 잘 나타내고 있다. 노화와 관련된 혈관 및 심장에 Aβ가 축적되면 조직 염증과 장기 기능의 손상을 유발하여, 알츠하이머병의 amyloid 가설에서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리포트에서는 Aβ가 심장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요약하고, 더 나아가 인간에서 Aβ 대사를 조절할 수 있는 치료적 전략 가능성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2023-04-11


ChatGPT와 거대 AI 기술 동향 스크랩

최근 ChatGPT에 대한 논쟁이 뜨겁다. 대화형 AI 시장을 뜨겁게 달군 ChatGPT의 등장은 글로벌 인공지능 업계에 큰 화두를 던졌고, 이로 인해 초거대AI 개발과 활용을 위한 위대한 여정이 본격화되었다. OpenAI가 2022년 12월 1일 공개한 인공지능 Chatbot인 ChatGPT는 스스로 언어를 생성, 추론하는 능력이 있다. GPT는 ‘Generative Pre-trained Transformer’의 약자로 머신러닝을 통해 방대한 데이터를 ‘미리 학습(Pre-trained)’해 이를 문장으로 ‘생성(Generative)’하는 생성 AI이다. 사용자가 채팅하듯 질문을 입력하면 ChatGPT는 학습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람처럼’ 문장을 만들어 답을 해준다. 인간에 한 걸음 더 가까워진 능력을 가진 초거대 AI는 미래산업 전 분야에 쓰일 수 있는 무궁무진한 가능성이 있다. 아직까지 많은 문제점이 있으나 많은 장점 때문에 조만간 펼쳐질 초거대 AI 경쟁에 대비해야 한다.

2023-04-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