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향

리포트

리포트는 KOSEN 회원님들이 작성하는 최신연구동향 보고서입니다.
국내외 연구기관에서 발간하는 최신 동향보고서를 제공합니다.

전체 46913

글쓰기
전체 46913
글쓰기

미국의 과학기술동향(2001년도 1/4분기) 스크랩

  • 김상선
  • |
  • 과학기술과 인문사회

이 자료는 보안 문서로 등록이 되어 있습니다. 문서를 열람하시기 원하시는 분은 다음의 사용자 암호를 입력하신 후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사용자 암호 : www.kosen21.org - 목차 - 1. Bush 행정부의 FY2002 연구개발예산안 요구 현황 2. 미국의 FY2001 연구개발 세출예산 현황 3. 미국의 2000년도 특허획득 10대 기업 현황 4. The Partnership for Global Information Security(PDIS)현황 5. 미국의 연구비 관리 및 집행현황 조사(1) 6. 미국의 연구비 관리 및 집행현황 조사(2) 7. 미국의 제 107 대 하원 과학위원회 구성현황 8. 미 국가안보 및 21세기위원회, 과학기술강화 권고내용 9. 미 ATP(Advanced Technology Program)설명회 개회 10. Human Genome Project 연구성과 발표 11. 노벨수상자 80명, 인간배아의 간세표 연구지지 촉구 12. 미국의 기초과학정책 추진현황 조사 13. 과학자 및 엔지니어 Postdoc 지원강화 대토론회 14. 미 에너지부 에너지·과학·환경담당 차관 지명 15. 미 National Academies, 대인지뢰대체기술 연구결과 16. 미국의 여성과학기술인력 활용현황 조사 17. 미 대통령과학기술자분위원회(PCAST)공동의장 지명 18. 미 과학기술정책 및 연구개발동향 관련자료 목록

2002-06-20


Proceedings: Third National Green Power Marketing Conference 스크랩

이 자료는 보안 문서로 등록이 되어 있습니다. 문서를 열람하시기 원하시는 분은 다음의 사용자 암호를 입력하신 후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사용자 암호 : www.kosen21.org ※ Proceedings: Third National Green Power Marketing Conference: Selling Green Power in Competitive Markets, June 25-26, Sacramento, California ※ Abstract Competitive electricity markets should substantially expand green power industry development. However, the success of green power as a value-added electricity product will depend on a host of factors, including conducive market rules, supportive renewable energy policies, public education, use of environmental partnerships, recognition of multiple market segments, and product innovation. The Third National Green Power Conference reviewed green power marketing in the context of restructured electricity markets and provided insights into successful business strategies. ※ Contents 1. Overview 2. Keynote Address 3. Overview of U.S. Green Power Marketing 4. Panel Discussion - Is the Market Working 5. Panel Discussion - What is the Market? 6. Panel Discussion - Product Credibility and Consumer Information 7. Status Report on Renewable Energy Technologies 8. Panel Discussion - State Approaches to Green Power 9. Panel Discassion - Green Pricing Strategies A. Attendees B. Workshop Presentations

2002-06-20


돌연변이 동물 개발 기술 및 유전자 기능 연구 기술 조사 보고서 스크랩

  • 이화여자대학교
  • |
  • 생명과학

이 전자자료는 보안 문서로 등록이 되어 있습니다. 문서를 열람하시기 원하시는 분은 다음의 사용자 암호를 입력하신 후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사용자 암호 : www.kosen21.org 1. 연구 조사의 목적 및 필요성 최근 인간유전체사업의 완성에 의하여 인간 유전자의 수는 약 3만 7천개이고, 각 유전자의 염기서열 등의 정보를 갖는데 까지는 성공하였으나, 각 유전자들의 기능이 무엇인지는 많은 부분 모르고 있으며, 인간 유전체 연구를 통한 진정한 의미에서의 전반적인 의학적 복지 향상을 기대하기 위해서는 아직도 많은 투자와 시간을 필요로 하는 일이다. 본 연구 조사는 포유동물을 대상으로 대량의 돌연변이체의 대량 생산 및 유전자 기능 연구 기술에 대한 정보 및 자료를 수집하며, 관련 분야의 연구자들에게 최신의 정보를 습득할 수 있게 하며, 필요에 따라 적절한 방법으로 국내에 이식될 수 있게 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2.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 대량의 돌연변이체의 대량 생산 기술 정보 및 연구 동향 검토 자료 - 최신의 유전자 기능 연구 기술 및 연구 동향의 이용 - 직접적인 견학을 통한 연구 기술 및 정보의 습득 - 중요 연구기술의 국내 이식 가능성 검토 - Mouse Resources 및 Animal models 정보 획득 - 정부 차원의 새로운 연구 프로그램의 활성화 가능성 검토 자료

2002-06-19


전략기술 수출통제체제 동향분석 및 대응전략 스크랩

  • 과학기술정책연구원
  • |
  • 과학기술과 인문사회

연구의 필요성 ○ 신기술의 출현, 국제정세의 급변, 새로운 경제ㆍ무혁활동이 급속히 확산됨에 따라 다자간 전략기술 수출통제체제가 강화 추세임. 특히, 바세나르체제의 전반적인 재평가를 통해 전략기술 수출 통제를 강화하고 있음. ○ 1999년 바세나르 평가회의에서는 전략기술 수출통제에 대한 정보교환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 새로운 지침을 마련함. 특히, 신기술에 대한 정보교환 이슈를 독립 의제로 논의하는 새로운 기본틀이 제시됨. ○ 또한 바세나르 주요 회원국들(미국,영국,독일 등)을 중심으로 신기술에 대한 수출통제를 강화하기 위해 국내 전략기술 수출허가관리체제 및 정책의 조정을 도모하는 체적인 방안을 마련 중에 있음. ○ 이러한 정책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전략기술 수출공고를 주관하는 과학기술부가 다자간 전략기술 수출통제체제에 적극 참여하여 매년 개정되는 정책 지침 및 절차에 대한 관련 정보를 체계적으로 입수하여 국내 기술수출정책에 적극 반영해야 할 것임.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필요성 제2절 연구의 목표 제3절 추진방법 및 전략 제2장 다자간 전략기술 통제체제의 최근 동향과 주요국 통제체제 및 대응 전략 제1절 바세나르체제의 최근 동향 제2절 주요 회원국의 전략기술 통제체제 제3장 국내 전략기술 통제체제의 주요 문제점 제1절 전략기술 통제체제의 주요 이슈 제4장 주요 바세나르 회의 참여 현황 및 결과 제1절 2001년 2월 전문가그룹(EG) 임시 회의 제2절 2001년 4월 제1차 전문가그룹(EG) 정기 회의 제3절 2001년 11월 제2차 전문가그룹(EG) 정기 회의 제4절 2001년 12월 전문가그룹(EG) 특별 회의 및 총회 제5장 정책적 시사점 및 대응 방안 제1절 국내 전략기술 통제체제의 개선 방향 제2절 바세나르체제에의 참여 강화 주요국의 전략 기술 수출통제 비교 바세나르체제 전문가 협의회 재구성(안) 제2차 바세나르체제 전문가협의회 개최 동북아 전략기술 수출통제체제의 구축과 전망 Draft Wassenaer Arrangement Work Programme for 2002 Summary of the Changes made to the List of Dual-Use Goods & Technologies and the Muntions List as of 01 Decemver 2000 2001 WA LIST OF DUAL-USE GOODS AND TECHNOLOGIES AND MUNTIONS LIST

2002-06-19


유전자 조작을 이용한 식물 영양가치 증진기술 정보수집 스크랩

  • 전북대학교 생물과학부
  • |
  • 생명과학

이 전자자료는 보안 문서로 등록이 되어 있습니다. 문서를 열람하시기 원하시는 분은 다음의 사용자 암호를 입력하신 후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사용자 암호 : www.kosen21.org 1. 동향조사의 목적 및 필요성 1) 동향조사의 목적 ○ 유전공학적 기법을 이용한 영양가치 증진 방법의 기술 동향파악 ○ 유전자 조작을 이용한 영양가치 증진 작물의 개발 현황파악 ○ 조사분석을 기초로 한 핵심기술 제시 2) 동향조사의 필요성 ○ 경제발전에 따른 소비자의 고품질의 식량 선호 ○ 정확한 관련연구분야의 기술적 수준 및 동향의 제시에 의한 관련분야의 국가적 기술우위 선점 2. 활용방안 및 관련연구의 필요성 식물의 영양가치 향상을 위한 노력은 매우 오래 전부터 수행되어왔으나 세계적으로도 이제 기초연구가 정리되어가고 있는 수준에 있다. 우리나라에서 유전공학 기법을 이용한 식물의 영양가치 향상을 위한 예는 현재까지 일부의 연구기관과 연구자에 의하여 발표된 몇몇의 연구결과에 지나지 않으나 국내의 전반적인 유전공학수준으로 보아 본 조사에서 제시한 기술은 단시간 내에 국내의 식물영양가치 향상을 위한 연구개발에 크게 기여 할 것이며, 국가차원의 관련 분야의 연구지원이 절실하게 요구된다.

2002-06-19


제8회 국제 전통의학 심포지엄 스크랩

  • 정헌택(null / null)
  • |
  • 보건의료

이 자료는 보안 문서로 등록이 되어 있습니다. 문서를 열람하시기 원하시는 분은 다음의 사용자 암호를 입력하신 후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사용자 암호 : www.kosen21.org ○ 발표 내용 겨우살이는 비록 그 작용이 불분명할지라도 강력한 면역반응조절 및 세포독성 활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국산 겨우살이 수용성 추출물에서 세포독성 활성이 있는 겨우살이 렉틴(ML-II)을 순수 분리하였다. ML-II는 백혈병 세포주(HL-60, U-937), 육종(MCF-7, HeLa) 및 간암세포주(SK-Hep-1, HepG2)에 강력한 세포독성 활성을 보였다. 그러나, 정상세포에서는 독성을 발견할 수 없었다. 연구결과 암세포에 미치는 세포독성은 caspase 군(즉, caspase-3, -8 그리고 -9) 및 MAPK 군 (ERK1/2, p38 MAPK 그리고 SAPK/JNK)의 활성을 매개로 하는 세포고사의 결과에 의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B16-BL6 흑색종을 이용한 암전이 실험결과, ML-II의 정맥투여는 폐암전이 억제 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또한, 설치류 복강 대식세포를 ML-II로 자극할 경우 TNF-a 생성 효과가 있었으며, TNF-a의 세포독성 및 항암제인 paclitaxel의 항 종양 효과를 협조 상승적으로 증가시켰다. 종합적으로, 본 연구 결과는 ML-II의 항 종양 기전을 제시하였다. ○ 학술회의 결과 현대 의학으로 좋은 치료 효과를 얻을 수 없는 여러 가지 질병이 증가하고 있다. 전통 의학은 신체의 기능을 잘 조절하고 신체 방어 기능을 자극하기 때문에 전통 의학은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다. 이번 포럼에서는 세계각국의 여러 영역에서 전통의학을 연구하는 학계연구자들의 연구결과를 공유할 수 있는 기회로, 본 연구자는 국내산 겨우살이의 항 종양 효과를 보고하였다. 국내산 겨우살이의 중요성을 국제적으로 잘 인식시켰고, 향후 수행될 국내 전통의학 연구의 기초자료를 수집할 수 있었다.

2002-06-19


선진국의 SQUID 응용기술 개발 현황 조사 스크랩

  • 한국표준과학연구원
  • |
  • 물리학

이 전자자료는 보안 문서로 등록이 되어 있습니다. 문서를 열람하시기 원하시는 분은 다음의 사용자 암호를 입력하신 후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사용자 암호 : www.kosen21.org ◆ 동향조사의 목적 및 필요성 SQUID는 현존하는 자기장 측정 센서 중 가장 감도가 우수한 센서로, 지구자기장(약 50 μT)의 100억분의 1정도인 수 fT정도까지의 초미세한 자기장 측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고온초전도체가 발견되기 이전인 1970년대부터 지하자원탐사, 생체자기신호 측정 및 재료의 자기적 특성평가 등에 사용하기 위하여 금속계 저온초전도체를 이용한 제작 기술이 연구되어 왔다. 1986년의 고온초전도체 발견은 SQUID 응용기술 분야에서 새로운 돌파구를 제시하였으며, 그 이후 액체질소 온도에서 사용이 가능한 고온초전도 SQUID 제작 기술과 응용기술 개발이 세계적으로 대단히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SQUID는 대단히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될 수 있으며 앞으로 그 수요는 더욱 증대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SQUID를 이용한 의료진단 기술은 지금까지 진단이 어려웠거나 부정확하였던 뇌 및 심장 등의 기능에 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의학기술의 향상을 가져올 것이다. 실제로 저온초전도 SQUID를 이용하는 뇌자도 측정 장치는 현재 뇌기능 연구에 있어 가장 앞선 기술로 알려지고 있으며 이의 응용을 통하여 치매, 간질 등 뇌질환의 정확한 진단뿐만 아니라 인간 뇌의 기능에 대한 보다 깊이 있는 이해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SQUID를 이용한 심자도 측정 기술은 기존의 심전도(ECG)에 비해 심장기능상 이상 부위의 위치추정 등이 보다 우수하여 앞으로의 심장질환 진단에 활용이 기대되고 있으며, 특히 심전도 측정이 어려운 태아의 심장 기능진단에 있어서는 앞으로 중요한 진단 기술이 될 이다. 비행기 날개의 여러 층으로 된 리베트 연결부 안쪽 결함 검사는 기존의 비파괴 검사 기술로는 검사가 까다로운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SQUID를 이용한 새로운 비파괴 검사 기술은 이러한 검사를 가능하게 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외에도 SQUID는 지하자원 탐사, 지하 및 해저의 폭발물 검출, 지하 환경의 오염원 검출, 지진 등의 예측 등에도 활용이 가능하여 이에 대한 연구도 진행중이다. 최근에는 주사 SQUID 현미경 등이 개발되면서 나노기술 및 바이오 기술 등과 결합된 새로운 응용분야에 대한 연구가 시작되고 있는데, 예를 들어 초고집적 전자소자의 결함 탐지기술, 자성을 띤 나노 입자를 이용한 새로운 초고감도 면역검사기술(immunoassay) 등에 활용하기 위한 연구도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SQUID 응용기술의 개발은 그 동안 유럽이 가장 앞서 있었다고 할 수 있으나, 최근에는 미국과 일본을 중심으로 새로운 상업화의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는 상황이다. 그 동안 우리 나라에서도 꾸준히 이 분야의 연구가 진행되어 오고있어 기본적인 응용기술력은 확보하고있는 상태이므로, 선진국들의 최근 응용기술개발 동향과 상업화 동향을 조사함으로써 현재의 문제점과 앞으로의 방향을 예측하고, 우리의 연구 및 상업화 전략에 반영하는 일은 대단히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 동향조사의 활용계획 다음과 같이 본 동향조사의 결과를 활용하여 우리의 SQUID 응용기술을 보다 선진국 수준에 가까이 올려놓을 뿐만 아니라 앞으로의 상업화를 보다 촉진하는데 활용할 계획임 ? 우리 나라 SQUID 응용 기술개발의 벤치 마킹 자료로 활용 ? 파악된 선진국의 SQUID 응용기술의 연구개발 현황을 우리 나라의 해당 분야 연구개발의 정책 수립에 활용 ? 선진국의 SQUID 응용기술의 상업화 현황 및 전망을 우리 나라의 해당 분야 기업 및 연구그룹에 제공함으로써 실용화를 촉진

2002-06-19


ESQUIF 최종 보고서 (프랑스어) 스크랩

  • ESQUIF 참여연구원
  • |

보고서에 대한 간단한 소개는 다음과 같다. ESQUIF (Etude et Simulation de la QUalite de l'air en Ile de France) 는 프랑스 수도권 (Paris를 포함한 반경 약 70 km) 의 대기오염 에 대한 종합적 인 실험 프로젝트이다 (1998 - 2000년). 주요 연구 주제로는 1. 대도시 내와 주변의 대기 경계층의 열역학적 연구와 관련하 여, 첫째, 경계 층의 역학적인 수직 구조와 turbulent한 대기혼합과정이 대기 오 염 episodes 발생에 있어 차지하는 역할과 둘째, 기상 모델로 관련 현상들을 (대기의 흐 름, 대기의 수직 구조 그리고 미세확산 상황하에서의 surface fluxes 등) 올 바로 모사화할 수 있는지 그렇지안다면 모델 내에 사용된 parameterization향 상안의 제시. 2. 오염물질들의 광화학 현상에 대한 연구: 주로 radiative fluxes 변화에 따 른 광화학 속도상수들의 변형을 유발하는 현상의 규명 및 측정 (total ozone column, aerosol, 구름). 3. 도시권과 비도시권 간의 대기 흐름에 의한 오염물질의 이동 과 continental scale까지 확대한 전제적인 대기 이동현상. 도시권내 대기의 ozone precursors 규명 및 측정. 4. 물리 화학적 도시형 aerosol의 발생과 변형 그리고 대기 화 학 이동 모델에 서 차지하는 aerosol의 역할. 등을 나열할 수 있다. 이 project는 IPSL(Institut Pierre Simon Laplace, 파리 지역 의 기후, 대기 관련 6개 연구소의 집합체)과 LISA(Laboratoire Inter- universitaire des Systemes Atmospheriques, Creteil, France)가 연구주체로 수행 했으며 Laboratoire d'Aerologie(Toulouse, France), Forschung Zentrum (Julich Germany), AIRPARIF(파리 대기 오염 관측 사업 공단), 그리고 프 랑스 기상청 (Meteo France) 등 참여했다. 3년간의 지속적인 측정과 여름과 겨울동안 하루에서 닷새간의 집 중적인 측정 (Intensive Observation Periods) 이 비행기 및 지상 이동 측 정, 고정점 측 정 등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되었다. MesoNH, MOCAGE, CHIMER 등 다양한 기상 화확 이동 모델을 통한 수치모사화 또한 동시에 수행되었다. 프랑스에서 처음으로 실행된 다수 연구소의 인적, 물적 협력을 바탕으로 한 종 합적인 도시권 대기오염에 대한 실험 연구 보고서로써 도시화와 대기오염에대 한 심각한 문제가 제기되는 한국에서의 유사한 실험의 계획 및 실행의 reference로서의 가치가 있다고 판단된다. Word로 된 chapter별 파일로 아래의 URL에서 download가능하다.

2002-06-19


Permitting of Wind Energy Facilities 스크랩

PREFACE This handbook was developed by the Siting Subcommittee of the National Wind Coordinating Committee (NWCC). The NWCC was formed in 1994 as a collaborative endeavor composed of representatives from iverse sectors including electric utilities and their support organizations, state utility commissions, state legislatures, consumer advocates, wind equipment suppliers and developers, green power marketers, environmental organizations, and state and federal agencies. The NWCC identifies issues that affect the use of wind power, establishes dialogue among key stakeholders, and catalyzes appropriate activities to support the development of an environmentally, economically and politically sustainable commercial market for wind power. Table of Contents Chapter 1. Executive Summary Chapter 2. Overview of Wind Development and Permitting Chapter 3. Guidelines for Structuring the Wind Facility Permitting Process Chapter 4. Specific Permitting Considerations and Strategies Appendies. ※ 각 Chapter(파란부분)를 클릭하시면 바로 원문을 보실 수 있습니다.

2002-06-18


Kotzebue Electric Association Wind Power Project Second-Year Operating Experience: 2000-2001 스크랩

◎ Kotzebue Electric Association Wind Power Project Second-Year Operating Experience: 2000-2001: U.S. Department of Energy-EPRI Wind Turbine Verification Program - Final Report, December 2001 Abstract This report describes the second-year operating experience at the 0.66-MW Kotzebue Electric Association (KEA) wind power project near Kotzebue, Alaska. Lessons learned in the project will be valuable to other utilities planning similar wind power projects. Keywords Wind Turbines Wind Power Operation Availability Performance Maintenance Contents 1. Introduction 2. Wind Resource Charateristics 3. Project Performance 4. Project Operations and Maintenance 5. Outreach Activities and future plans 6. Conclusions A. TVP-Related Documents B. Monthly Availability and Production by Turbine C. TVP Availability Description D. Specific Downtime Causes by Turbine

2002-06-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