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향

리포트

리포트는 KOSEN 회원님들이 작성하는 최신연구동향 보고서입니다.
국내외 연구기관에서 발간하는 최신 동향보고서를 제공합니다.

전체 46913

글쓰기
전체 46913
글쓰기

액체로켓용 고성능분사기 개발기술 스크랩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
  • 기계

이 자료는 보안 문서로 등록이 되어 있습니다. 문서를 열람하시기 원하시는 분은 다음의 사용자 암호를 입력하신 후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사용자 암호 : www.kosen21.org 1. 조사의 목적 및 필요성 본 기술조사의 조사목표로는 로켓엔진 개발선진국의 분사기 고성능화 세부기술 개발현황 조사와 분사기의 종류별 고유특성의 분류 및 이론적인 분석, 고성능 분사기 개발을 위해 소요되는 핵심기술 및 시설분석, 로켓엔진 개발선진국의 엔진개발 프로그램 분석 등이 있다. 최종적인 목표는 우주발사체 기술 선도국들의 로켓엔진에 대한 시험 및 평가기법에 대한 자료수집을 통해 경험을 축적하고, 우주발사체용 고성능분사기의 개발 방향을 제시하는데 있다. 2. 조사결과와 활용계획 액체 로켓용 고성능 분사기 개발기술 조사과제의 결과로서 향후 국내의 우주발사체용 엔진개발과 관련하여 반드시 확보해야할 기술 및 기법적인 측면들을 제시하였다. 여기에는 고압 가시화 재사용 연소기의 개발기술과 연소안정성 평가/해석 관련 기법들, 레이저를 응용한 각종 광계측 기법들이 포함된다. 본 과제를 통하여 조사된 기술은 현재 국내에서 개발 중인 고성능 인젝터의 개발 및 우주발사체 개발 등에 유용하게 활용될 것이며, 향후 국내 독자 기술에 의해 개발될 고성능 액체 로켓의 성능향상에 크게 기여할 것이다.

2002-05-30


액체로켓용 터보펌프 개발기술 스크랩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
  • 기계

이 자료는 보안 문서로 등록이 되어 있습니다. 문서를 열람하시기 원하시는 분은 다음의 사용자 암호를 입력하신 후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사용자 암호 : www.kosen21.org ○ 동향조사의 결과 본 동향조사사업을 통하여 일본과 유럽의 터보펌프관련 기술동향과 시험설비 및 개발방법등의 자료를 입수 정리함으로써 곧, 국내에서 개발해야할 발사체관련 소요기술, 설비등의 인프라 구축과 또한, 국내독자개발 혹은 해외공동연구개발시에 접촉점과 대응방법등을 도출 할 수 있는 자료의 근간을 마련하였다고 판단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유럽의 발사체는 상용화의 경쟁력을 위해 다국적으로 힘을 모아 개발에 전력을 하고 있으며 일본의 경우에도 사용화를 위한 발사체의 개발에 몰두하고 있다. 접촉한 전문가들에 의하면 개발초기에 planning이 중요한 것은 거듭 강조하여도 부족하며 개발의 장기 목표를 어디에 두고 갈 것인가가 중요한 첫 단추이다. 즉, 자국의 자주국방에 초점을 둘 것인지, 발사체의 상용화에 초점을 둘것인지, 중장기적 산업체의 선행 첨단기술의 기술파급에 중점을 둘 것인가로 구분하거나 혹은 이들을 복합적 목표로하여 우선순위를 둘 수 있다. 이러한 문제가 설정되면 개발방향과 방법이 이에 따라 결정되며 이러한 논지에 의해 중장기적 개발계획이 국가적인 공론을 가지고 이끌어 갈 수 있는 것이다. 일본 전문가가 '언급한 화석연료가 다하면 차세대 산업연료로 수소가 매우 중요하며 이에 기술개발 축적과 산업체로의 기술 파급을 목표로 수소를 연료로 사용한 이유중의 하나' 라고 한 바 있다. 또한, 유럽의 경우 상용화를 목표로 개발하므로 엔진 형식의 선택시 압력이 높은 staged combustion이 아닌 gas generator cycle을 도입한것도 개발 방향과 일치 선 이었다. 1980년초 까지만 하더라도 미국과 구소련간에 고성능의 로켓개발경쟁이 있었으며 이에따라 연소실 압력이 매우 높은 엔진들이 많이 개발되었고 구소련의 엔진들은 이점에서 뛰어나다. 그러나 이제는 발사체의 개발이 자주국방의 측면 보다는 상용화에 초점이 맞추어짐에 따라 러시아의 고압엔진들은 상대적으로 신뢰도가 떨어지고 제작/개발 비용이 많이 소요되어 선택에 신중을 기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이러한 점들을 염두해 두고 국내에서의 중장기적 개발목표의 설정과 방법의 선택을 이루어 나아가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목 차 제 1장 서 론 제 2장 일본의 개발 동향 제 3장 유럽(프랑스, 독일, 이태리, 스웨덴)의 개발 동향 제 4장 결 론

2002-05-30


2001 MRS 가을 학회 하이라이트 재료 연구에서의 혁신 스크랩

  • 류호준 류호준
  • |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
  • 재료

1. 자료명: MRS Bulletin 2. 저자: Materials Reserach Society 3. 출판사: MRS Bulletin 4. 출판날짜: 2002년 3월 5. 내용소개: 재료분야 최대학회인 Materials Research Society (MRS)는 매년 2회 학술대회를 개최한다. 이 자료는 2001년 11월 26-30일 보스턴에서 개최된 후반기 학술대회의 주요사항을 정리한 것으로, 각 심포지움에서 발표된 주요논문들을 간략하게 소개하고 있다. 또한 세미나를 통하여 발표된 NIH, DOE, NSF 등 주요 정부기관들의 연구개발 지원 프로그램을 소개하고 있다. 재료분야의 최신 연구개발 동향과 함께 정부기관의 연구지원 정책의 현황을 파악하는데 매우 유용한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6. 목차 1) Inorganic Electronic Materials and Devices 2) Photonic/Optoelectronic Materials and Devices 3) Thin Film and Surfaces 4) Materials Science, Processing and Evaluation 5) Nanoscale Materials and Process 6) Organic/Biological Materials and Devices 7) Materials and Society 7. 분석자 서문 2001년 11월 26일부터 30일까지 미국 보스턴의 Hynes Convention Center와 Sheraton Boston Hotel에서 MRS Fall Meeting이 개최되었다. 모두 8개의 cluster로 구성되었으며 각각의 cluster는 Inorganic Electronic Materials and Devices; Photonic/Optoelectronic Materials and Devices; Thin Films and Surfaces; Materials Science, Processing and Evaluation; Nanoscale Materials and Process; Organic/Biological Materials and Devices; Materials and Society; General로 구성되었다. 각각의 cluster는 4개에서 7개 의 symposium으로 구분되었다. 특히 이번 MRS meeting의 특이한 점은 virtual symposium이 처음으로 도입되어 신선한 충격을 불러 일으켰다. 또한 현재 전세계적으로 주목을 끌고 있는 나노테크놀로지분야와 바이오 기술에 대해서도 상당량의 시간을 할애하여 장차 이 부분의 연구가 앞으로의 연구방향을 주도하리라는 것을 예고하는 듯 했다. 다음은 MRS bulletin에 발표된 2001 MRS fall meeting highlights를 다시 각 cluster별로 정리, 요약한 것이다. 응용분야를 초월하여 총망라한, 주목 받는 재료연구를 중심으로 정리를 하였으므로 현재 세계적으로 진행되는 연구현황과 앞으로의 연구방향을 예측하는데 도움이 되리라고 생각한다. General cluster는 사회와 재료연구의 발전에 관한 일반적인 초청강연과 MRS Award 수상자들의 강연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생략하였고, 분석물 말미에 각 심포지움의 제목을 수록하여 학회내용에 대한 전체적인 이해를 돕고자 하였다. 이 자료의 분석은 ETRI 마이크로시스템팀에 계시는 류호준님이 수고해 주셨습니다. 궁금하신 점은 류호준님께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e-mail : hjryu@etri.re.kr

2002-05-30


IEEE-NANO 2001 - Proceedings of the 2001 1st IEEE conference on nanotechnology 스크랩

  • 전기/전자

이 자료는 보안 문서로 등록이 되어 있습니다. 문서를 열람하시기 원하시는 분은 다음의 사용자 암호를 입력하신 후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사용자 암호 : www.kosen21.org ※IEEE-NANO 2001 : proceedings of the 2001 1st IEEE conference on nanotechnology, October, 28-30, 2001, Maui, Hawaii. S1.1 Nanomagnetics I(special Session) S1.2 Nanolithography S2.1 Nanomagnetics II S2.2 Nano-Manipulations I S3.1 Nanocircuits and Architectures S3.2 Nano-Manipulation II M1.1 Nano-Devices I M1.2 Nano-Materials I M2.1 Nano-Devices II M2.2 Nano-Materials II M3.1 Nanoelectronics and Giga-Scale Systems(Special Session) M3.2 Nanomaterial Characterization T1.1 Quantum Dots and Devices I T1.2 Nano-Structures I T2.1 Quantum Dots and Devices II T2.2 Nano-Structures II T3.1 Toward Realistic Nanocircuits and Quantum Computers T3.2 Nanoelectromechanical Systems(NEMS) T4.1 Nanotubes and Nanocrystals T4.2 Nanotechnology for Sensing 여기를 클릭하시면 더 자세한 회의내용을 보실 수 있습니다

2002-05-29


Transducers'01 참석 결과보고 스크랩

  • 이덕동(null / null)
  • |
  • 전기/전자

이 자료는 보안 문서로 등록이 되어 있습니다. 문서를 열람하시기 원하시는 분은 다음의 사용자 암호를 입력하신 후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사용자 암호 : www.kosen21.org ◎ 학술회의 내용 · 센서 소자의 신재료 소개 및 새로운 제조 방법 · 센서 및 트랜스듀서를 이용한 시스템에 관한 논문발표 · MEMS 기술에 관한 최신연구결과 발표 · Packaging 및 Bonding에 대한 최신 연구 결과 발표 ◎ 2001년 6월 10일∼6월 14일까지 5일간 개최된 Transducers'01은 예년에 비해 많은 학자, 기업인이 참석하였으며 대회기간 중 진지한 토의와 최신기술개발에 관한 협의가 이루어 졌으며 특히 초청만찬회에서 우리 한국이 2005년 Transducer 개최국임을 선언하는 매우 뜻깊은 학술대회였음 본 학술회의 결과 센서소자 및 시스템 특히 MEMS 기술에 대한 흥미있는 최신 연구개발 내용을 입수하였으므로 이를 국내 이 분야 연구개발의 좋은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음

2002-05-29


IEEE/RSJ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telligent Robots 스크랩

  • 오상록(null / null)
  • |
  • 전기/전자

이 자료는 보안 문서로 등록이 되어 있습니다. 문서를 열람하시기 원하시는 분은 다음의 사용자 암호를 입력하신 후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사용자 암호 : www.kosen21.org ◎ 학술대회 참석목적 및 필요성 IEEE/RSJ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telligent Robots and Systems는 지능로봇분야에서 세계적으로 가장 큰 학술대회중의 하나로서 매년 500명에서 700명 정도의 이 분야의 세계적인 학자들이 참가하는 대규모 학술대회이다. 본 학술대회에서는 현재까지의 연구활동에 대한 세계적인 연구경향을 알 수 있으며 특히 향후 지능로봇연구에 대한 연구방향에 대한 활발한 토의가 진행된다. 따라서 본 학술대회에 참가하여 지능로봇분야에 대한 현재까지 세계적인 연구결과를 습득하고 앞으로의 연구동향을 파악하여 현재 진행되고 있는 지능로봇연구에 대한 기획사업에 반영하고자 한다. ◎ 내용 - 발표된 연구 논문을 중심으로 한 연구동향 - 각 국의 지능로봇기술의 현황과 전망 1. 미국의 경우 2. 일본의 경우 3. 유럽의 경우 - 종합적 문제점과 대책 - 우리나라의 기술수준 분석 - 지능로봇기수르이 발전전망 및 기대효과

2002-05-29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Robotics and Automation 스크랩

  • 기계

※ 회의개요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Robotic and Automation(ICRA)은 2002년 5월 11일부터 15일까지 미국 Washington D.C에서 개최되었다. ICRA는 로봇 제어공학분야에서 가장 권위있고 규모가 큰 학술대회이며, 2002년에는 총 714편의 논문이 발표되었다.ICRA는 7개의 workshop, 3개의 tutorial, 151개의 technical session과 3개의 video session들로 구성되어 있다. 전 세계에서 600여명의 로봇 공학자들이 참석하여 이동로봇, Humanoid, 로봇 프로그래밍, 다자유 로봇등에 관한 첨단 로봇 기술을 발표하였다. 2002년에는 단순한 로봇/제어이론의 제시보다는 실제적 구현에 초점을 맞추고 있었으며, 한국에서도 KAIST를 비롯한 다수의 대학에서 참가하여 총 41편의 논문을 발표하였다 ※ 이 학회의 보고서는 포항 공과대학교 기계공학과의 도낙주님께서 수고해 주셨습니다. 궁금하신 점은 도낙주님께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e-mail : nakji@postech.ac.kr

2002-05-29


2001 호주 생명공학 보고서 스크랩

  • 박민식 박민식
  • |
  • 스틱인베스트먼트(주)
  • |
  • 생명과학

1. 자료명: Australian Biotechnology Report 2001 2. 저자: Ernst & Young, Freehills 3. 출판사: Department of Industry, Science & Resources (ISR), Australia 4. 출판날짜: 2001년 5. 내용소개: 상기 보고서는 호주 정부에서 주관하여 세계적 바이오컨설팅 회사인Ernst & Young사와 호주의 대표적 법률회사인Freehills사의 공동작업하에 호주의 생명공학분야를 분석한 보고서이다. 1999년에 첫 번째 보고서가 작성되었고 본 보고서는 2000년과 2001년의 내용을 종합하여 두 번째로 작성된 보고서이다. 6. 목차 1) Minister’s foreword 2) Industry foreword 3) About this report 4) Significant events in the biotechnology industry 1999-2000 5) State of the industry 2001 6) Regulatory affairs 7) Finance and investment 8) Commercialisation: Paths, models, and barriers 9) Market sector overviews 10) Infrastructure and public sector linkages in the industry 11) Biotechnology across Australia 12) Other reports and sites of interest and relevance 13) Directory 7. 분석자서문 본 보고서의 서문에도 나와 있듯이 호주의 생명공학은 ‘성장과 글로벌 확장’에 초점이 모아져 있으며, 이 두 단어야말로 호주의 바이오산업을 가장 잘 표현한다 할 수 있다. 1999년에 발간된 Ernst & Young 보고서에서 설명된 내용보다 생명공학의 정의는 더욱 넓어졌으며, 이에도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산업 자체의 확장 뿐 아니라 이에 참여하는 회사들의 수적 증가도 호주 생명공학의 현황을 보여주는 일면이다. 전세계적으로도 비슷한 양상이지만 생물학, 전자공학, 컴퓨터공학, 생명공학, 재료공학, 화학 그리고 그 외 많은 분야의 학문적 소 으로 태어나 지금은 성숙단계에 와 있는 생명과학 산업을 우리는 주목하지 않을 수 없다. 본 보고서에서는 생명공학 산업을 다음과 같이 정의하고 있다. “생명유기체의 전부 혹은 일부를 직간접적으로 자연상태로나 변형된 형태로, 상품이나 서비스의 생산에 이용하거나 기존의 산업 공정을 개선하기 위해 자연과학이나 공학을 응용하는 것. 그리고 이러한 활동의 결과, 인간의 건강, 식품 생산, 산업화 공정, 그리고 공공복지와 환경 개선을 가능케 하는 모든 분야를 포괄하는 시장 참여가 가능한 산업”  

2002-05-28


신경과학 관련 첨단기반기술 스크랩

  • 서울대학교 기초과학연구원
  • |
  • 생명과학

이 자료는 보안 문서로 등록이 되어 있습니다. 문서를 열람하시기 원하시는 분은 다음의 사용자 암호를 입력하신 후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사용자 암호 : www.kosen21.org ○ 동향조사의 목적 및 필요성 21세기는 정보화, 지능화, 고령화 사회로 각종 뇌질환의 치료와 예방을 통한 국민복지의 향상과 뇌 기능을 모방한 응용기술개발을 통한 첨단기술의 확보가 대단히 중요할 것으로 전망된다. 따라서 신경과학 연구와 기반기술의 확보는 미래 지식기반 사회의 기반 구축에 핵심적이며 나아가 이를 응용한 산업화 기술의 확립에 대단히 중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본 해외 첨단기술 동향조사에서는 몇몇 핵심적인 신경과학 첨단기술의 최신 연구동향과 개발현황의 정보를 획득하고자 하였다. 본 해외 첨단기술 동향조사에서는 신경과학 분야의 전반적인 연구동향을 탐색하는 동시에, 미래지향적이고 산업적 응용 가능성이 높은 신경과학 관련 첨단기술 중에서, (1) 생체시계를 이용한 유전자 치료 기반기술, (2) 뇌신경 유전자 조작 기반기술, (3) 뇌 줄기세포를 이용한 뇌질환 치료기술에 관하여 중점적으로 조사하여 최신 연구동향을 가늠하고 연구 및 개발 정보를 획득하고자 하였다. ○ 동향조사 결과 1. 생체시계를 이용한 유전자치료 기반기술 조사 2. 뇌신경 유전자 조작 기반기술 조사 3. 뇌 줄기세포를 이용한 뇌질환 치료 기반기술 조사 ○ 동향조사의 활용 계획 본 동향조사에서 중점적으로 조사한 대상들은 현재 국내에서도 그 경제적, 사회적 가치가 인정되어, 대학 및 기업 연구소에서 관련 연구가 상당한 수준으로 수행중이거나 계획 중인 것들이다. 따라서 본 동향조사의 결과는 이들 연구기관에 현재 세계적 선도그룹에서 수행중인 연구의 진행 상황 및 방향을 제공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2002-05-28


2002년도 세계 주요국의 R & D예산 현황 스크랩

  • 과학기술과 인문사회

이 자료는 보안 문서로 등록이 되어 있습니다. 문서를 열람하시기 원하시는 분은 다음의 사용자 암호를 입력하신 후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사용자 암호 : www.kosen21.org 目次 1. 2002년도 R&D 예산규모 및 비중 2. R&D 예산추이 분석 3. 2002년도 R&D 예산편성의 특징 4. 각국의 경제규모 대비 R&D 집약도 [첨부] 국별 R&D 예산추이분석 통계 1. 미국의 2002년도 R&D 예산현황 2. 일본의 2002년도 R&D 예산현황 3. 영국의 2002년도 R&D 예산현황 4. 핀란드의 2000년도 R&D 예산현황 5. 한국의 2002년도 R&D 예산현황

2002-05-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