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향

리포트

리포트는 KOSEN 회원님들이 작성하는 최신연구동향 보고서입니다.
국내외 연구기관에서 발간하는 최신 동향보고서를 제공합니다.

전체 46913

글쓰기
전체 46913
글쓰기

캐나다 NRC 나노과학-나노기술 워크샵 보고서 스크랩

  • 장영일 장영일
  • |
  • 미등재기관
  • |
  • 과학기술과 인문사회

1. 자료명: NRC Nanoscience and Nanotechnology Workshop 2. 저자: National Research Council of Canada 3. 출판사: National Research Council of Canada 4. 출판날짜: 2001년 1월 5. 내용소개: 이 자료는 2001년 1월 10-12일에 캐나다의 Banff (Alberta)에서 개최된 나노과학/나노기술 워크샵의 보고서이다. NRC의 Western Economic Diversification과 iCORE (Alberta Center of Informatics Excellence)가 이 워크샵을 주관하였다. 캐나다와 미국에서 활동하고 있는 80명 이상의 선도 과학자, 정부 관계자, 산업계 인사들이 참여하여 나노과학/나노기술의 현황과 향후 발전전략을 논의하였다. 국내외의 나노기술 관계자들에게 유용한 참고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6. 목차: - A Vision for Nanotechnolgoy in Canada _ Nanotechnology Opportunities in Canada - International Perspectives on Nanotechnology - Organizational Issues in Nanotechnology - Key Recommendations for a National Nanotechnology Network - Key Ingredients for Success - Conclusions and Recommendations 분석자 서문: 이 자료는 2001년 1월 10일부터 12일까지 캐나다 Banff (Alberta) 에서 개최된 나노과학/나노기술 워크샵에 관한 보고서이다. 캐나다 NRC (National Research Council) 의 Western Economic Diversification 과 iCORE (Alberta Center of Informatics Excellence) 가 이 워크샵을 주관하였다. 캐나다와 미국에서 활동하고 있는 80명 이상의 선도 과학자, 정부 관계자, 산업계 인사들이 참석하여 나노과학/나노기술의 현황과 캐나다 나노기술의 향후 발전 전략을 논의하였다. 또한 캐나다 나노기술의 주요 기회분야를 분석하고, 나노기술 진흥정책의 조직적 이슈들에 관해서도 논의하였다. 국내외 나노과학/기술 및 정책에 관심 있는 분들에게 유용한 참고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 자료의 분석은 Oak Ridge National Laboratory에 계시는 장영일님께서 수고해 주셨습니다. 궁금하신 점은 장영일님께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e-mail : yijang99@yahoo.com

2002-04-16


식품의 안전성 평가 및 검사를 위한 신기술 개발 스크랩

  • Rusell Research Center
  • |
  • 생명과학

이 자료는 보안 문서로 등록이 되어 있습니다. 문서를 열람하시기 원하시는 분은 다음의 사용자 암호를 입력하신 후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사용자 암호 : www.kosen21.org 오염된 음식물을 섭취함으로써 생기는 식중독 발생은 최근 들어 점점 증가하고, 대형화되어가고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관심을 불렁리으키고 있다. 지난해 한국에서는 모두 104건, 약 7269명 (식품의약품안전청 통계자료)의 식중독 환자가 발생했으며, 미국에서는 매년 약 7600만 건의 환자가 발생하여 이중에서 약 5000명 정도가 식품안전사고에 의해 사망하였다. (미국 Center for Disease Control 자료). 미국 농무부 경제연구소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Economic Research Service) 보고에 의하면 식중독 발생 (foodborne illnesses)에 관련된 대표적인 병원균으로는 6가지 박테리아 (Campylobacter Spp., Clostridium Perfringens, Escherichia Coli. O157:H7, Listeria Monocytogenes, Salmonella Spp., and Staphylococcus Aureus)가 있으며, 주로 이에 관련된 병원균은 육류, 달걀, 생선류 및 유가공 식품을 통하여 전파되었으나, 최근에는 과일이나 야채, 심지어는 과일이나 야채, 심지어는 과일 쥬스 등을 통하여 감염되고 있다는 새로운 연구 보고가 있다. 한국에는 정확한 통계가 없으나, 미국에서는 식중독으로 인한 경제적 손실이 연간 $29억에서 $67억 달러에 이르러, 정부 차원에서 예방 및 검사 장비 개발을 위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음식 소비 패턴이 선진국형으로 전환되어 가고 있는 한국도 점점 식품 안전 사고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에 대비하기 위하여, 식품의 안전성에 관한 연구 개발에 노력을 해야하며, 이를 위하여 본 연구자료가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재 미국에서 국가 정책과제로 수행되고 있는 식품 안전에 관한 연구 동향과 연구 목적을 소개함으로써 국내 기술 발전에 필요한 해?苡咀만?수집하여 국내의 관련기관 (식품의약품 안전청, 수의 과학 연구소, 축산 기술연구소, 한국 과학 기술원, 한국 식품연구원, 과학기술부, 농림부, 농업과학원, 식품 관련 기업 연구소 등)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식품의 안전성에 관련된 주요 관련 법규 제정, 연구 프로그램 및 각 연구프로젝트별 연구비 지원 실태 등, 본 보고서에서는 현재 미국에서 식품 안전에 관한 주요 국가 정책 연구 과제와 연구테마, 그리고 연구비 지원 실태 등을 다루고, 최근 발표된 연구 결과를 현재의 식품 안전성 검사 및 평가방법, 식품 안전성 검사 및 평가를 위한 기술 개발, 개발된 신기술의 현장 이용 실태, 개발된 신기술의 한국에서의 이용 가능성, 그리고 한국 실정에 맞는 신기술 개발을 위한 know-how등을 종합 정리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식품안전에 관한 연구를 집중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연방정부의 지원아래 3개의 주립대학 (아칸소 주립대, 아이오아 주립대, 캔사스 주립대) 이 컨소시움을 구성하여 각 지역특성에 맞는 동물성 식품을 대상으로 공동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또한 미농무부 농업연구청과 퍼듀대학이 함께 공동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또한 미농무부 농업연구청과 퍼듀대학이 함께 공동연구로 추진하고 있는 식품안전공학 프로젝트에 관하여 소개하고, 연구목적과 구체적인 연구과제 및 결과에 대하여 보고한다. 그리고, 현재 식품안전 진단 및 검사수단으로 그 응용범위가 확대되고 있는 바이오센서 개발과 이용실태에 대해서도 알아보았다. 끝으로, 본인이 현재 연구수행중인 하이퍼스펙트럴 이미지 시스템을 이용한 닭고기의 안전도 검사를 위한 실시간 측정방법 및 새로운 기술개발과 그 응용에 대해서 간단히 소개하고자 한다.

2002-04-15


NANO ELECTRO MECHANICAL SYSTEM과 NANO/MICRO HYBRID SYSTEM 스크랩

  • Louesiana State Univ.
  • |
  • 전기/전자

이 자료는 보안 문서로 등록이 되어 있습니다. 문서를 열람하시기 원하시는 분은 다음의 사용자 암호를 입력하신 후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사용자 암호 : www.kosen21.org 한국에는 1980년 후반까지 MEMS가 소개되지 않았지만 1990년대 초반부터 미국과 일본, 유럽에서 MEMS를 전공하시고 귀국하신 여러 분들을 시작으로 급격히 기계/전자/의공학을 중심으로 퍼져 나갔다. 1990년대 중반 정부에서 MEMS 기술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G-7과제에 MEMS를 포함함으로써 한국의 MEMS는 정부의 물질적인 지원하에 양적, 질적으로 급속히 성장해 나갔다. 또한 과학기술부에서 1999년부터 단계적으로 시행하고 있는 21세기 프론티어 연구개발사업중 여러가지 사업에 MEMS 기술이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관되어 있어 한국내 MEMS 관련 연구자의 저변이 대폭 확대되고 다양한 산업체에 여러가지 파급효과를 불러 일으키기 시작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MEMS 연구의 새로운 흐름인 MEMS와 MEMS의 나노기술에의 응용에 대한 미국내 최신 연구 동향 및 미국 정부가 범국가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나노기술 연구 프로그램의 추진 방향 조사, 분석보고서는 이 분야에 참여하고 있는 국내 연구진 및 연구개발 프로그램의 기획 주체인 정부 관계자들에게 많은 도움이 될 수 있으리라고 생각된다. 본 과제는 첫번째로 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분야의 scaling down version인 Nano Electro Mechanical System (MEMS)과 나노 과학기술 발전의 한가지 열쇠가 될 Nano/Micro hybrid system의 미국내 연구 동향을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NEMS는 MEMS와 유사하지만 주요한 부품의 크기가 MEMS보다 훨씬 작은 나노 스케일로 구성되는데 이의 제작 방법과 필요한 인프라, 응용분야 및 기술적으로 해결해야 할 난제들에 대해 조사, 분석하였다. 또한 나노/마이크로 하이브리드 시스템에 대해서 조사하고 이의 전자공학과 생명공학에의 응용 및 나노조립기술에의 응용에 대한 미국내 연구동향을 조사 분석하였다. 본 과제는 두번째로 미국 정부가 차세대 세계의 과학/기술 주도권을 미국이 계속 소유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National Nanotechnology Initiative (NNI) 추진 방향을 조사분석하되 어떤 정부기관에서 어떤 나노기술 프로젝트를 추진하는지 또 그러한 프로젝트를 추진하게 되는 배경은 무엇인지 어떠한 효과가 기대되는지 등에 대해 조사 분석하였다. 또한 각 나노기술 연구 프로젝트에 MEMS가 끼칠 수 있는 영향은 어떤 것인지도 앙루러 조사 분석하였다. 과학기술부는 21세기 국제사회에서 경쟁할 수 있는 한국만의 강점기술을 전략적 선택적으로 집중 개발할 필요성을 느끼고 1999년부터 ㅎ-7사업의 연장으로 10개 사업을 선정 21세기 프론티어 연구개발사업을 시작하였다. 그 중 여러가지 연구개발사업이 직,간접적으로 RF MEMS, BioMEMS, NEMS와 연관되어 있어 본 조사보고서가 그러한 사업에 참여하는 분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으리라고 생각된다. 21세기 프론티어 연구개발사업 중 첫번? 사업으로 선정된 지능형 마이크로시스템 개발사업은 G-7 MEMS 사업의 직접적인 연장으로 볼 수 있으며 캡슐형 내시경과 개인 휴대형 통합 정보단말기 개발을 목표로 여러가지 단위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본 사업은 통합적인 MEMS기술개발이 바탕이 되어야 하며 많은 부분에서 MEMS로의 scale down이 가능하기 때문에 본 동향조사 보고서가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1999년에 함께 시작된 인간 유전체 기능 연구사업은 초고속 염시서열 분석과 Biochip을 이용한 진단기술 및 신약 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어 본 보고서의 BioMEMS 부분이 도움이 될 수 있겠다. 2000년에 새로이 시작된 테라급 나노소자 개발사업은 나노미터 스케일의 각종 소자를 지향하는 진정한 나노 프로그램이라고 볼 수 있다. 본 보고서의 많은 부분이 나노 스케일의 제조 기술 개발과 인프라, 문제점 등을 다루고 있어 관계자들에게 도움이 되리라고 생각된다.

2002-04-15


리튬 2차전지용 양극재료의 기술조사 스크랩

  • Oak Ridge Natonal Laboratory
  • |
  • 화공

이 자료는 보안 문서로 등록이 되어 있습니다. 문서를 열람하시기 원하시는 분은 다음의 사용자 암호를 입력하신 후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사용자 암호 : www.kosen21.org 리튬 2차전지는 21세기 핵심산업의 하나로서 이동전화기, 노트북 컴퓨터 등 휴대용 정보통신기기의 주전원으로 사용된다. 또한 전기자동차의 전원으로 응용될 가능성도 높다. 현재 전지수명 및 에너지밀도 향상, 생산원가 절감 등 개선해야 할 부면이 많아 세계적으로 2차전지의 연구개발 노력이 매우 활발하다. 특히, 2차전지의 핵심재료인 양극, 음극, 전해질 등에 연구개발 투자가 집중되고 있다. 따라서 국내 2차전지 핵심기술 확보를 통한 국제 경쟁력 증가를 위해서는 해외의 연구개발 동향정보를 수집분석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본 과제에서는 기존 양극재료의 특성개량과 관련하여 해와의 연구 결과를 수집분석하고, 고성능 2차전지용 신물질 개발동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 분야의 발전속도가 매우 빠름을 감안하여 본 과제에서는 최근 1-2년간의 연구개발 결과를 그 범위로 하였다. 특히 2000년 5월 Como(Italy)에서 개최된 "10th International Meeting of the Electrochemical Society (ECS) and the 52nd Annual Meeting of the International Society of Electrochemical Society (ISE)"의 발표자료를 수집하여 요약분석하였다. 또한 미국 에너지부의 2001년도 최신 보고서를 바탕으로 하여 전기자동차용 전지기술의 현황을 조사하였다. 목 차 리튬 2 차전지용 양극재료의 기술현황 제출문 요약문 Summary 목차 1. 서론 2. 2.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3. 3. 동향조사 내용 4. 3-1. IMLB-10 5. 3-2. ECS/ISE 6. 3-3. 전기자동차용 전지 7. 3-4. 향후 주요 컨퍼런스 일정 8. 4. 동향조사 목표 달성도 9. 5. 동향조사 결과의 활용 및 국내 파급효과 10. 6. 참고문헌 및 수집자료

2002-04-15


이동 인터넷 기술 리뷰 및 예측 스크랩

  • 이유진 이유진
  • |
  • 단국대학교
  • |
  • 전기/전자

1. 자료명: Review and Forecast of Mobile Internet Technologies (무선인터넷 기술 개발 동향 분석 및 전망) 2. 저자: Yong-Woon KIM (김 용운) 3. 출판사: (published on internet) 4. 출판날짜: - first published : October 8, 2001 - edited version : October 25, 2001 5. 내용소개: 현재 네트웍에서의 큰 두 가지 이슈는 DWDM 광통신에 의한 전달용량의 향상 및 cost down과 무선망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의 다양화이다. 이 두 이슈 중 두번째 이슈는 네트웍에 관련된 전문가들뿐 아니라 일반 사용자 및 인터넷 application 관련 business에 많은 변화를 가져오는 중요한 이슈이다. 따라서 이 글은 정보화에 관련된 모든 전문인들이 꼭 읽어야하는 중요한 정보이며 또한 이를 전문가 차원에서 알기 쉽게 적은 글이다. 6. 목차: .What the mobile Internet is; .Classification of mobile Internet technologies from technical point of view; .Comparison of a few mobile Internet technologies with each other; .What the M-services guideline is; .What WAP and WAP2 are; .What MS's mobile explorer is; .What BREW is; .What we must pay attention to regarding BREW; .What J2ME and KVM are; .What MExE is; .What technologies are being deployed in countries now; and .What the future of hot mobile Internet technologies is. 분석자 서문 : 본 분석은 이동 무선 인터넷 서비스의 전반적인 기술과 최근 기술동향을 기술한 원문을 요약/정리하였고 이동 무선 인터넷의 정의를 비롯, 이동 무선 인터넷을 동작시키는 요소 기술을 다루고 있다. 이러한 요소 기술들은 핸드셋의 기능, 애플리케이션을 동작하게 하는 환경 및 프로토콜, 이들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미들웨어 플랫폼들과 이동 인터넷 서비스를 규정하는 서비스 지침서로 분류될 수 있다. WAP, mobile explorer 및 기타 프로토콜을 포함하여 대부분의 이동 인터넷 전송 프로토콜과 BREW, J2ME, MExE, SK-VM, MAP등에 대해 분석하며, 현재 이동 인터넷 시장의 현황과 관련 기술 시장 예측을 실었다. 원문의 양이 상당히 많아서, 본 보고서에서는 기술 부분은 개략적으로만 언급하였고, 대신에 동향 파악이나 정책 결정 및 현 사안과 관련된 부분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치중하여 분석하였다. 기술 부분과 관련하여서는 원문 자체가 WAP, mobile explorer와 미들웨어의 경우는 BREW 및 J2ME에 많은 양을 할당하여 이들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자세한 기술 내용을 원할 경우는 원문과 원문에 소개된 reference를 읽어볼 것을 권한다. 본 분석에서 자세히 분석한 분야중의 하나는 BREW 라이센스 계약에 관한 것이다. 현재 한국에서 사용되고 있는 이동 통신 기술은 CDMA방식임은 누구나가 알고 있는 사실이다. 음성 서비스에서 CDMA를 채택했기 때문에 어쩌면 이동 인터넷 서비스 시장에서 미들웨어 선택에 있어서 한국은 BREW를 선택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인 선택일른지도 모른다. 그러나 BREW를 선택한다면, 로열티 문제를 생각해보지 않을 수 없다. 국내 단일 표준인 CDMA 방식은CDMA 단말기 수출을 하는 효자 노릇도 하지만,해마다 엄청난 액수의 로열티를 QUALCOMM사에 지불하는 어두운 면도 가지고 있다. CDMA 단일 표준으로 인한 제조업체의 로열티 지불액이 막대한 만큼, 미들웨어 플랫폼 선택에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생각되어 BREW 라이센스 부분을 자세히 실었다.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개발, 장비 제조, 표준화 및 정책 결정에 대해 관심이 있는 독자들에게는 관련된 원 을 읽을 것을 추천한다. 추후 시장 전망에 대해서는 원문 저자는 컨텐츠 개발 언어로는 XHTML, 미들웨어 플랫폼의 경우는 Java와 BREW가 시장에서 우위를 차지하면서 경쟁적인 관계로 발전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또한 미들웨어 플랫폼의 결정에 있어 포털의 영향이 커질 것으로 분석하였다. 전송 프로토콜로는 WAP/WAP2가 시장을 주도할 것으로 전망하였다. 이 자료의 분석은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에 계시는 진영미님께서 수고해 주셨습니다. 궁금하신 점은 진영미님께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e-mail : jjinnie00@yahoo.com  

2002-04-15


Study on Recent Trends of Science & Technology Policy in European Union and Status of EU Nuclear Safeguards Regime and its activities 스크랩

  • European Commission ISIS Institute
  • |
  • 과학기술과 인문사회

이 자료는 보안 문서로 등록이 되어 있습니다. 문서를 열람하시기 원하시는 분은 다음의 사용자 암호를 입력하신 후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사용자 암호 : www.kosen21.org 동향조사의 목적, 필요성 EU차원의 주요 과학기술정책 및 전략적 연구갭라프로그램에 대한 동향을 분석·파악하고 이를 기획·추진하는 정책결정과정에 대한 조사활동을 통해 아국과 EU와의 전략적 과학기술 협력방안을 모색·제안하고자 함. IAEA 핵비확산체제인 Integrated Safeguards가 본격적으로 도입· 적용됨에 따라 EU 핵비확산체제인 EURATOM의 향후 위상과 역할의 변화를 분석·고찰하고, 이를 토대로 남·북한을 포함한 동아시아 핵비확산체제에 주는 시사점 및 정책적 대응방안을 모색하고자 함. EU는 '57년 로마협정에 의거 원자력을 중심으로 초기 통합이 시작된 이래 '92년 Maastricht협정에 의해 유럽연합으로 재편되었고 '99년 1월 유럽단일통화 도입과 2002년 1우러부터 Euro의 시장유통 실현 등 경제·사회적 통합이 가속화되면서 국제사회에서 미국, 러시아 등에 대응한 강력한 중심세력으로 부상되고 있음. EU차원의 과학기술정책기조는 미국, 일본 등에 대응하여 EU회원국의 공통 관심분야를 중심으로 과학기술자원의 집중 및 효율적인 투자를 통해 기존의 과학기술 우위를 지속적으로 유지·발전하고 유럽의 산업 경쟁력 강화에 기여하는데 있음. 미국, 일본과 더불어 EU는 프랑스, 독일, 영국 등 세계수준의 과학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는 전략적 중심지로서, 아국의 과학기술 국제화전략에 부응한 선진 과학기술력 확보를 위한 거점으로 통합이 가속화되고 있는 EU와의 과학기술협력을 강화하는 것은 중요한 의미를 지님. EU의 국제사회에서 위상제고, 기술 통합활동의 가속화, 선진 유럽국가와의 협력기반 조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 EU차원에서 추진되고 있는 주요 과학기술정책 및 연구활동에 대한 정보를 분석·파악하여 이를 토대로 아국과 EU와의 전략적 과학기술 협력방안을 모색하는 것은 아국의 과학기술 국제화전략 및 협력사업을 추진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임. 아울러, 세계 핵비확산체제(NPT)의 강화(IAEA Integrated Safeguards)에 따라 중대한 변화시기를 맞이하고 있는 EU 핵비확산체제인 EURATOM의 향후 위상과 역할의 변화와 새로운 세계 NPT체제의 동향을 분석·파악하는 것은 - 남·북한을 포함한 동아시아지역 핵비확산체제에 미치는 영향과 아국의 국제사회에서 정치·외교적 활동에 요구되는 정책적 대응방안 모색에 긴요할 것임.

2002-04-15


수소에너지 시스템 기술 스크랩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 |
  • 지구과학(지구/대기/해양/천문)

대체에너지의 개발은 몇 차례의 에너지 파동을 겪으면서 에너지의 대부분을 해외 수입에 의존하는 국내 입장을 감안하면 그 중요성이 점증하고 있다. 최근의 지구 환경공해 측면에서 화석연료가 아닌 에너지원의 개발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수소는 이같은 대체에너지의 매체로서 사용후 환경공해가 없는 청정에너지이며, 다음 세기의 에너지 주역으로 평가되고 있다. 1970 년대 말부터 본격 시작된 수소에너지 관련 연구는 수소의 제조, 저장, 이용 등 각 분야에서 많은 연구개발이 이루어져 몇 가지 분야에서는 실용화에 접근하고 있다. 그러나, 그 용도가 우주개발 또는 군사용 등 특수 분야에 한정되어 있다. 이는 아직까지도 수소가 화석연료보다 고가이며, 값싼 수소 제조기술이 확보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가까운 시일 내에 화석연료가 아닌 에너지 원으로부터 화석연료보다 값싼 수소의 제조기술 개발은 기대하기 어려운 형편이므로, 현재로서는 화석연료의 공급이 부족되기 시작하는 21 세기 중반부터 이들의 가격상승과 더불어 경제성이 확보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수소는 화학제품의 원료 및 화학공장의 공정가스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현재 인류가 당면해 있는 환경문제 및 화석연료의 가격상승이나 고갈을 예상할 때 궁극적인 미래의 대체에너지원 또는 에너지 매체(Energy carrier)로 생각되고 있다. 이는 현재의 에너지시스템에 이용되는 석유, 석탄, 천연가스 등의 화석연료가 사용 후 NOx, SOx, 분진 등과 같은 대기오염물을 배출하여 지구의 환경을 오염시키고 있을 뿐만 아니라, 최근에는 화석연료 연소에 따라 배출되는 이산화탄소의 대기 중 농도증가로 지구온난화의 우려를 가중시키고 있기 때문이다. 또 다른 에너지원인 원자력은 사용과정이나 사용 후 방사능오염 문제 야기되어, 이들 에너지원의 지속적인 사용은 지구 생태계를 파괴시킬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 이에 비해 에너지원으로서의 수소는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가지고 있어 미래 에너지시스템에 가장 적합할 것으로 판단되고 있다. - 목 차 - 1. 수소에너지의 중요성 ……………………………………………………………………… 2 2. 수소의 제조, 저장, 수송 및 이용기술 ………………………………………………… 3 2.1. 수소의 제조기술 ……………………………………………………………………… 3 2.2. 수소의 저장기술 ……………………………………………………………………… 4 2.3. 수소의 수송기술 ……………………………………………………………………… 5 2.4. 수소의 이용기술 ……………………………………………………………………… 5 3. 수소에너지 시스템 ……………………………………………………………………… 7 3.1. 수소에너지 시스템 구성 …………………………………………………………… 8 3.2. 선진국의 연구동향 …………………………………………………………………… 9 3.3. 수소에너지 시스템 설치 현황 ……………………………………………………… 9 3.4. 국내외 향후 발전방향 ………………………………………………………………… 17 4. 관련 연구기관 및 연구자 ………………………………………………………………… 18 4.1. 국내 관련 연구기관 및 연구자 ……………………………………………………… 18 4.2. 국외 관련 연구기관 및 연구자 ……………………………………………………… 20 5. 결론 ……………………………………………………………………………………… 21 Reference ……………………………………………………………………………………… 21

2002-04-15


Vasular modulation/wound healing과 Liver stem cell, transplantation/therapy 최신연구경향 스크랩

  • Clinical center Benjamin Franklin of free Univ.
  • |
  • 생명과학

이 자료는 보안 문서로 등록이 되어 있습니다. 문서를 열람하시기 원하시는 분은 다음의 사용자 암호를 입력하신 후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사용자 암호 : www.kosen21.org ○ 동향조사의 목적 및 필요성 본 조사연구의 목적은 각종 장기, 태아, 골수, 배아 (혹은 체세포) 등 여러가지 유래의 stem cell의 isolation, mega-culture, cell engineering 등의 세포 modulation과 cell transplantation의 효율을 극대화하여 궁극적으로 질병의 치료법을 개발하는 국제적 최신 동향에 관한 자료를 수집, 정리 나아가 연구의 방향을 설정하는데 있다. 이 연구로 인해 파생될 수 있는 부대 효과는 진단법개발과 신물질의 pharmacology/toxicology법 개발이다. 또한 이 연구로 인해 현재 그 연구성과가 미미한 인공장기분야로의 연구를 진행할 수 있다. 이에 본 조사 연구는 Liver stem cell transplantation/therapy 연구와 vascular modulation/wound healing 연구에 관한 자료 및 연구실태 파악 및 동향 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 동향조사의 내용 및 범위 (1) 급성 혹은 만성 간 질환에서의 Vascular medulation/wound healing 기전에 관한 연구 동향. (2) Stem cell transplantation/therapy의 최신 연구 방향 (3) Stem cell 연구에서 윤리적 문제에 대한 고찰 세포 이식시 1) 이식장기에 Cell들이 정착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들어 낼 것인가? 2)어떤 gene 혹은 toxin을 병행 사용시 이식 세포수와 크기를 이식후 빠른 시간내에 크게 늘릴 수 있을까? 3)최적의 이식 경로는? 4)이식후 장기 내에서 이식된 세포가 이식받은 장기내로의 침투 및 정착의 기전 목 차 1. 서론 2. 국내외 기술개발 및 현황 3. 조사내용 (1) 급성 혹은 만성 간 질환에서의 Vascular medulation/wound healing 기전에 관한 연구 동향. (2) Stem cell transplantation/therapy의 최신 연구 방향 (3) Stem cell 연구에서 윤리적 문제에 대한 고찰 4. 동향조사 목표 달성도 및 파급효과 5. 동향조사 결과의 활용 6. 참고문헌

2002-04-15


CURRENT ELECTRONIC MATERIALS RESEARCH IN THE U.S.A. 스크랩

  • Celmson Univ
  • |
  • 전기/전자

이 자료는 보안 문서로 등록이 되어 있습니다. 문서를 열람하시기 원하시는 분은 다음의 사용자 암호를 입력하신 후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사용자 암호 : www.kosen21.org 요 약 문 9월 1일부터 시작한 이번기의 프로젝트는 Georgia Institute of Technology (조지아 공대 : Ga Tech)에서 주최한 Nanoscience and Technology Conference와 미 에너지성과 Oak Ridge National Lab. (ORNL)이 공동 주최한 Nanoscience & Technology Workshop과 미 재료학회의 추계 총회 등에서 얻은 정보지식을 보고한다. 이런 정보는 한국의 전자관련 기업들의 기획 및 경영전략 설정 시 이용 가능하다고 생각된다. 특히 광범위한 재료 연구 분야 중 nanoscience & technology의 기초적 정보와 display 재료, 초전도체 재료에 관해 얻은 정보들을 정리 요약하여 보고한다. 동향 조사 결과와 활용 방법은 각장마다 기술하였다. 목 차 요약문 Project summary Contents 목 차 본 문 I. 서론 II. 목적, 필요성 그리고 범위 III. 동향 조사 결과 및 활용 1. Ga Tech Nanoconference 2. Oak Ridge Nanoscience & Tech. Workshop 3. 미 재료학회 추계 총회 Symposium E (초전도재료) Symposium J (Solid-state lightening materials) Symposium W (나노입자재료) Symposium BB (유기전자재료) IV. 수집자료 --별첨

2002-04-15


NOVEL POLYMERIC BIOMATERIALS FOR APPLICATION IN MEDICINE 스크랩

  • Kazakh State National Univ
  • |
  • 보건의료

이 자료는 보안 문서로 등록이 되어 있습니다. 문서를 열람하시기 원하시는 분은 다음의 사용자 암호를 입력하신 후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사용자 암호 : www.kosen21.org Biomaterial is defined as any substance (other than a drug) or combination of substances synthetic or natural origin, which can be used for any period of time, as a whole or as a part of a system, which treats, augments, or replaces any tissue, organ, or function of the body. Biomaterials play a key role in most approaches for engineering tissues as substitutes for functional replacement, for components of devices related to therapy and diagnosis, for drug delivery systems and supportive scaffolds for guided tissue growth. Modern biomaterials could be composed of various components, e.g. metals, ceramics, natural tissues, polymers. In the last group, the hydrophilic polymers of linear and cross-linked structure with requested biocompatibility and designed interaction with living surrounding seem to be one of the most promising groups of biomaterials. The aim of the present project is to collect the information about the modern trends in the preparation, characterization, properties and application of linear and cross-linked polymers and related polymeric biomaterials. The literature review done in the framework of the present project has revealed the existence of considerable interest of polymers and biomaterials scientists to linear and cross-linked hydrophilic polymers of synthetic and natural origin. In the first part, radiation methods of processing of various cross-linked hydrophilic polymers (hydrogels) were reviewed. It was found that due to many advantages the methods are very promising for obtaining and modification of polymers, especially of those to be used as biomaterials. Among the first group, natural polysacchrides such as chitosan, methylcellulose, dextran, their derivatives and related interpolymer complexes with anionic polymers were considered. The information on possible application of the considered polymer materials as wound dressings, artificial mucosal adhesive forms, drug carries, vectors for gene delivery, biospecific membranes, capsules, ointments, etc. has been presented.

2002-04-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