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향

리포트

리포트는 KOSEN 회원님들이 작성하는 최신연구동향 보고서입니다.
국내외 연구기관에서 발간하는 최신 동향보고서를 제공합니다.

전체 46913

글쓰기
전체 46913
글쓰기


중국의 과학기술 (2002.4) 스크랩

  • 과학기술과 인문사회

이 자료는 보안 문서로 등록이 되어 있습니다. 문서를 열람하시기 원하시는 분은 다음의 사용자 암호를 입력하신 후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사용자 암호 : www.kosen21.org [제 02-2호] Contents - 종합·정책 부문 ※2001년 중국경제 통계공보 ※국가과학기술계획의 전략적 지위와 역할 ※중국기술능력종합지표의 국제비교 ※선진국의 기술예견 비교(논문) ※7대 주요산업의 운영실적 - 기초과학 부문 ※중국의 기초과학부문 주요사업 ※중국의 기초화학 ※수학기계화연구 - 전자·통신 부문 ※중국 인터넷 발전의 현황과 전망 ※중국 IT산업이 '세계생산공장'으로 가는 방법 ※CCID의 중국의 컴퓨터시장 분석 ※레이저프린터시장의 치열한 경쟁 ※메시지서비스 시장의 전망 - 기계·전기 부문 ※기계공업 '十五' 계획 - 재료·물질 부문 ※나노기술의 함의에 대한 전반적 이해 ※중국 철강산업의 현황 및 발전목표 - 에너지·환경 부문 ※중국액체연료의 부족 및 대체방법(논문) ※에너지의 관점에서 보는 서부 대개발 ※중국 전력네트웍 건설과 핵심기술

2002-05-27


2002년 한국열분해용융공학회 춘계학술발표회 스크랩

  • 한국열분해용융공학회
  • |

2002년 5월 24일에 전주 전주대학교에서 한국열분해용융공학회의 춘계학술 대회가 있었습니다. 이 학회는 발족된 지는 오래 되지 않았지만 회원들의 적극적인 활동으로 이 분야의 기술을 선도하고 있는 학회라고 생각되어 여 기에 내용을 올려 놓습니다. pdf 화일을 구할 수 있는 지는 모르겠지만 저 에게 학회 초록집이 있으니 자료가 필요하신 KOSEN 회원께서는 연락 주십 시오. 홍릉에서 파이로스 올림 EVA의 열분해 동역학에 대한 연구, 한림대학교 김승도 비산재 용융 기술, LG건설 한병익 유해 폐기물의 용융고화처리를 위한 이송식 플라즈마 토치 개발, 서울대학교 이찬민, 허민, 박진명, 최수석, 홍상희 용탕식 용융로를 이용한 융융기술(건설신기술 제 311호), 케이비엔텍 이흥모 열분해용융과정에서의 산소부하 버너의 연소특성, 인천대학교 황상순 EBARA 유동상 가스화용융시스템, 효성에바라환경엔지니어링 송상훈 유기성폐기물의 건류 탄화 처리 기술, 한국기계연구원 권영배, 이범재, 한국하 이테크 강수호 폐플라스틱 유화시설내에 발생하는 Cl제어장치 개발, 인천대학교 김성중,김진 우,박원석 플라즈마 가스화기에서 반응변수에 따른 생성물의 분포 특성, 한밭대학교 한 웅, 임철승, 윤오섭, 김철규, 전주대학교 박현서 생활폐기물의 처리현황과 처리기술 전망, 국립환경연구원 정일록, 이길철, 신찬기 소각재 재활용 전처리에 관한 연구, 환경관리공단 유만식 미국의 환경 현황, (전)USAEP 소장 이치선 UNIVERSAL PLASMA-CHEMICAL MODULE FOR CARBON-CONTAINING RAW MATERIALS TREATEMENT, Jeonju University Hyun-Seo Park, ITAM SB RAS(Russia) I. M. Zasypkin, University of Incheon Seong-Jung Kim, KIMM Young-Bae Kwon, Beom-Jae Lee, Sunchon University Bong-Chan Ban ELECTRIC ARC GAS HEATERS FOR TECHNOLOGICAL PROCESSES /REVIEW OF RUSSIAN WORKS/, Jeonju University Hyun-Seo Park, ITAM SB RAS(Russia) I. M. Zasypkin, University of Incheon Seong-Jung Kim, KIMM Young-Bae Kwon, Beom-Jae Lee, Sunchon University Bong-Chan Ban PLASMA-CHEMICAL REPROCESSING OF OIL RAW MATERIALS AND ORGANIC INDUSTRY WASTE BY USING OF UNIVERSAL REACTOR UNIT, Jeonju University Hyun-Seo Park, ITAM SB RAS(Russia) I. M. Zasypkin, University of Incheon Seong-Jung Kim, KIMM Young-Bae Kwon, Beom-Jae Lee, Sunchon University Bong-Chan Ban 전기저항식 소각재 용융시스템 기술개발, 로드테크 윤기섭 소각로 비산재의 유리화 특성 및 평가, 경산대학교 김석완, 대우건설기술 연구소 유희찬 프라즈마 열분해가스화용융공법에 의한 하수탈수오니처리설비의 최적화 설 계, 프라즈마에코테크놀리지 박재형, 이민선, 조선대학교 최영일 생활폐기물 소각재의 고온 열적 특성, 수원대학교 김영찬, 정봉진, 이병무 폐타이어 열분해 오일화 특성, 한국에너지술연구원 정수현, 김상국, 김동찬, 신대현 고체 연료층 내 소 및 열전달 모델링, 한국과학기술원 양원, 류창국, 최 상민 LDPE와 Tissue 혼합물의 열분해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기계연구원 최연 석, 이송우, 권영배 PKA 열분해기술 소개 및 소각기술과의 비교, 한라산업개발 정상순 최종폐기 플라스틱쓰레기로부터 물리적처리에 의한 이물질 제거, 한국지질 자원연구원 김병곤 최상근 정헌생 폐유 가스화를 활용한 소각재의 용융특성, 고등기술연 원 주지선, 나혜령, 정 석우, 윤용승 휘발성 유기화합물질 제거를 위한 무성방전공정의 적용, 진주산업대학교 정재 우, 박정호, 전기일, 포항공과대학교 이용환, 정원석, 조무현 플라즈마/촉매공정을 이용한 저온 탈질공정 한국기계연구원 송영훈, 차민석, 이재옥, 김용호 생활폐기물 고발열량에 따른 수냉식화격자에 관한 연구 동부건설 김석환, 김경 래, 박창기 R21 가스화 용융 시설 소개 이테크이앤씨 이재섭 복합 Plasma 방전에 의한 질소산화물 제거 인천대학교 우인성, 황명환, 김성 중, 양희영 직접용융자원화 시스템 포스코건설 윤희철 외국의 소각재 관리제도 및 용출시험 방법 한국기계연구원 최갑석, 윤진한 국 립환경연구원 정일록, 신찬기, 이형진, 권명희 플라즈마토치 수냉식용융로에서 비가연성폐기물 용융특성 원자력환경기술원 김 태욱, 최종락, 지평국, 박종길, 신상운 현대모비스 김건호 RDF 및 고체폐기물 저공해 소형 연소장치 개발 한밭대학교 엄태인 한국에너지 연구원 노남선, 김성수 KAIST 류창국 소각로 배기가스 중 수은 화합물의 고정상 흡착탑의 흡착성능, 한국과학기 술연구원 정종수, 이교우, 이성준, 김병화, 연세대학교 이태규 THERMOSELECT High Temperature Recycle - An Advanced Fieldprooven Industrial Scale Waste Treatment Process, THERMOSELECT S.A. Prof. Rudi Stahlberg 배치식 열분해반응기의 성능 특성 분석 및 로타리 킬른식 열분해 장치 타당성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동종인, 강경희, 서성석, 명소영, 임성택, 장주호, 김태 헌, 대우건설 곽태헌, 홍성훈, 한라산업개발 정상순, 백익현 유기성 슬럿지의 발생현황 및 처리기술,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이호태, 정헌, 윤왕래 화학평형계산에 의한 폐기물의 열분해 특성 조사, 한국기계연구원 박용순, 심 성훈, 길상인, 윤진한, 김우현, 김석준 한라산업개발 박세영 대우건설 홍성훈 의료폐기물 소각기술 사례, 고려소각로공업 김향원

2002-05-27


Biological Micro-and Nanotribology - Nature's Solutions 스크랩

  • Matthias Scherge, Stanislav S. Gorb
  • |
  • 기계

이 자료는 보안 문서로 등록이 되어 있습니다. 문서를 열람하시기 원하시는 분은 다음의 사용자 암호를 입력하신 후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사용자 암호 : www.kosen21.org This book is written for scientists and engineers wishing to become familiar with biological micro- and nanotribology as a new interdisciplinary field of research combining methods and knowledge of physics, chemistry, mechanics and biology. Biological micro- and nanotribology aims to gather information about friction, adhesion and wear of biological systems and to apply this new knowledge to the design of 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 the development of new types of monolayer lubrication, the invention of new adhesives or the construction of artificial joints. Biologists, chemists, physicists and tribologists and many other applied scientists will find this book an essential addition to their libraries. Moreover, this book also gives an introduction to the higher levels of micromechanical analysis. It will provide valuable assistance for graduate students intending to become active in interdisciplinary research. ※ 단행본입니다.

2002-05-27


Nanotechnology 스크랩

  • Timp, Gregory L. (editor)
  • |

이 자료는 보안 문서로 등록이 되어 있습니다. 문서를 열람하시기 원하시는 분은 다음의 사용자 암호를 입력하신 후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사용자 암호 : www.kosen21.org Contents 1. Nanotechnology 2. Nano-electronics for Advanced Computitation and Communication 3. Nanostructures in Motion : Micro-Instruments for Moving Nanometer-Scale Objects 4. Limits of Conventional Lithography 5. Fabrication of Atomically Controlled Nanostructures and Their Device Application 6. Chemical Approaches to Semiconductor Nanocrystals and Nanocrystal Meterials 7. Nanotechnology in Carbon Materials 8. Self-Assembly and Self-Assembled Monolayers in Micro-and Nanofabrication 9. Biocatalytic Synthesis of Polymers of Precisely Defined Structures 10. Atom Optics : Using Light to Position Atoms 11. From the Bottom Up : Building Things with Atoms 12. Physical Properties of Nanometer-Scale Magnets 13. Single Electron Transport Through a Quatum Dot 14. Chaos in Ballistic Nanostructures 15. Semiconducting and Superconducting Physics and Devices in the InAs/AlSb Material System ※ 단행본입니다.

2002-05-24


이온교환막의 제조와 응용기술 스크랩

  • 광주과학기술원
  • |
  • 화공

- Manufacture and Applications of ion-exchange membranes - 이 자료는 보안 문서로 등록이 되어 있습니다. 문서를 열람하시기 원하시는 분은 다음의 사용자 암호를 입력하신 후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사용자 암호 : www.kosen21.org ※ 본 사의 목표는 이온교환막의 제조(합성) 기술 및 응용기술의 고찰을 통해 이온교환막의 연구개발 동향을 정확하게 파악하여 고성능 이온교환막의 국산화와 이온교환막을 이용한 청정기술 개발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기 위함이다. 본 조사에서는 이온교환막의 제조(합성) 기술 및 응용기술에 대한 광범위한 조사가 이루어 졌다. 이온교환막 합성 및 제조 기술은 양이온/ 음이온교환막 및 물분해를 위한 바이폴라막과 monovalent selective, antifouling, proton blocking membranes과 같은 기능성 이온교환막에 대한 조사가 수행되었다. 특히 양이온교환막 중에서도 Nafion 과 같은 fuel cell 용 이온교환막의 개발동향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졌다. 또한 고부가가치 물질(의약품 등)의 선택적 분리에 활용될 수 있는 분자인식막 (molecular imprinted membrane)등의 합성 및 응용기술에 대한 해외기술 조사도 수행되었다. 또한 다양한 산업에서 이용될 수 있는 이온교환막을 이용한 공정 조사를 통해 청정분리기술의 도입이 시급한 국내에 적용될 수 있는 기술들을 알아보고 발전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온교환막의 응용기술 조사는 diffusion dialysis, Donnan dialysis, desalting electrodialysis, water-splitting dialysis, electrodeionization, fuel cell 및 기타 이온교환막을 이용한 공정에 대하여 수행되었다. ※ 이온교환막의 제조기술 동향 1. 이온교환막 합성 기술 2. 바이폴라막(Bipolar Membrane)의 발 동향 3. 고분자 전해질 막 (Fuel cell Membrane)의 개발 4. 분자인식막 (Molecular Imprinted Membrane)의 개발 ※ 이온교환막의 응용기술 동향 1. 전기투석(Electrodialysis; ED) 2. 확산투석(Diffusion dialysis; DD) 3. 물분해 전기투석 (Water-Splitting Electrodialysis; WSED) 4. 전기탈이온 공정 (Continuous Electrodeionization; CDEI) 5. 기타 이온교환막 공정 (Electrolysis etc.)

2002-05-23


VIII. Conference on Extending Database Technology 스크랩

  • 전기/전자

제 8 차 확장 데이터베이스 테크놀로지 학회 EDBT 학회는 매 2년마다 유럽지역에서 열리는 데이터 베이스 관련 국제학회로 올해 제 8차를 맞이하여 2002년 3월 24일부터 28일까지 프라하에서 개최되었다. 24일 및 28일은 각종 워크숍이 열렸으며, 튜토리얼 강의, 연구 논문 발표 및 각종 데모 등은 25일에서 27일에 걸쳐 진행되었다. 올해의 정해진 학회 테마는 ‘Data Management in the New Millennium’으로서 새로운 서비스와 어플리케이션 분야를 지원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 테크놀로지에 대한 연구결과 및 문제점들이 다루어졌다. 주요 관심분야는 늘어나는 방대한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처리하는 방법, 무선통신 (wireless communication)의 발달로 인한 이동 객체 (moving objects)에 관한 분야 등이었다. 특히 XML분야를 위해서는 두 개의 세션, 튜토리얼 및 관련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많은 데모들이 선보여 이 분야에 대한 높은 관심을 반영했다. 본 학회는 VLDB Endowment 및 Intax, Oracle, Hewlett-Packard 등의 컴퓨터 관련 대기업들로부터 협찬을 받았다. 이 학회의 보고서는 INSA(Institut National des Sciences Appliquées)에 계시는 강명아님께서 수고해 주셨습니다. 궁금하신 점은 강명아님께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e-mail : makang@lisi.insa-lyon.fr

2002-05-22


Flat Panel Displays in the UK-2001 스크랩

  • 과학기술과 인문사회

이 자료는 보안 문서로 등록이 되어 있습니다. 문서를 열람하시기 원하시는 분은 다음의 사용자 암호를 입력하신 후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사용자 암호 : www.kosen21.org The aim of this publication is to highlight the UK's Research and Development (R&D)capabilities in the electronic display area. It briefly covers historical contributions and some current activities, before listing academic institutions and commercial organisations in the field. Brief descriptions are given but, more importantly, there are contact details for follow-up discussions. ■ Contents - Contents and capabilities matrix - A reputation for excellence in the UK - Directory listing-universities - Directory listing-companies - Government support - General contacts

2002-05-22


Evaluation of Smart 2001-Final Report and Appendices 스크랩

  • 과학기술과 인문사회

Smart Funding Innovation Evaluation of Smart(including SPUR)2001 ※ Final Report - contents 1. Introduction 2. Take up and market penetration of the Smart scheme 3. Characterisitics of award winners 4. Intermediate effects and outputs 5. Effects on the performance of award winners 6. Other effects 7. Cost-effectiveness of the scheme 8. Firms' Assessments of the scheme 9. Early assessment of the new elements 10.Conclusions ※ Appendices ※ Executive Summary and Case Studies를 볼 수 있는 곳 http://www.dti.gov.uk/about/evaluation/exec_sum.pdf ※ www.pacec.co.uk

2002-05-22


Second International Symposium on Turbulence and Shear Flow Phenomena 스크랩

  • 최해천(null / null)
  • |
  • 지구과학(지구/대기/해양/천문)

※ 학술회의 참석 목적 및 필요성 Turbulence and Shear Flow Phenomena(TSFP)는 1977년부터 1997년까지 2년에 한번씩 열리던 Turbulence and Shear Flow (TSF)로부터 이어지는 난류학계 최고의 학술대회로 TSFP의 참가 는 난류유동의 세계적인 학술동향과 기술정보들을 파악하는데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 학술회의 내용 TSFP는 난류의 다양한 측면, 즉, 생체시스템, 환경 및 지구대 기, 수송수단, 비선형계, 난류제어, MEMS, 다상유동, 측정 및 모델링, 기타 역학계와의 상호작용 등 포괄적인 주제들을 발표 하고 그 성과들을 교류하는 학술대회다. 특히 이번 TSFP에서는 transition, turbulence control, turbulence in fabrication and processing을 중점주제로 다루었다. 그리고, 5명의 초청강 연자들이 structural features of turbulence, turbulence modelling, turbulence simulation, combustion and multi- phase flow의 분야에 대한 강연을 하였다.

2002-05-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