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향

리포트

리포트는 KOSEN 회원님들이 작성하는 최신연구동향 보고서입니다.
국내외 연구기관에서 발간하는 최신 동향보고서를 제공합니다.

전체 46913

글쓰기
전체 46913
글쓰기

단백질 의약의 시장분석 및 그들의 약물 전달 체계에 관한 기술조사 스크랩

  • Pacific Northwest National Laboratory
  • |
  • 보건의료

이 자료는 보안 문서로 등록이 되어 있습니다. 문서를 열람하시기 원하시는 분은 다음의 사용자 암호를 입력하신 후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사용자 암호 : www.kosen21.org 단백질 의약품은 genomics/proteomics의 발달과 생물공학 기술의 급속한 진보, 그리고 Amgen, Genenetch등 단백질 의약품에 기초한 회사들의 성공으로 향후 10년간 기존의 단분자 의약품보다 훨씬 급속한 성장을 하리라 판단된다. 단백질 의약품 시장을 주도할 인자로는 우선 임상 중에 있는 단백질 의약품의 상품화, Generic competition, 새로운 단백질 의약품의 생산 방법의 개발, 그리고 drug delivery system의 적용 등을 들 수 있다. 주요 큰 제약회사들은 개발 위험성을 줄이기 위해 작은 biotech 회사의 개발 중에 있는 단백질 의약품, 또는 개발 후 marketing을 in-license할 것으로 예상된다. 주요 단백질 의약품의 특허 만료의 도래와 유사 상품에 대한 경쟁 대처 방안으로 기존 제품의 상품 차별화 전략이 예상되며, 이는 drug delivery system은 life-cycle control 및 patient-compliance와 맞물려 더욱 그 중요성이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이러한 신약의 조류에 부응하기 위해, 본 보고서는 단백질 의약품의 시장 및 연구 개발 전망을 분석했다. 본 보고서는 Amgen, Lilly, Novo Nordisk, Johnson & Johnson, Schering-Plough, Roche, Genetech 등 단백질 의약품 시장을 주도하는 회사등의 portfolio 분석과 R&D 전략을 그리고, 향후 단백질 시장에 결정적 영향을 미칠 drug delivery system을 요약했다. 본 보고서는 단백질의약품의 연구 개발 및 판매에 관심있는, 학계, 연구소 그리고 산업체의 향후 전략을 수립하는데 중요한 자료가 되리라 본다. 목 차 1. 단백질 의약품의 전반적인 시장특성 2. 주요 단백질 의약품 회사의 Portfolio 분석 3. 단백질 의약의 약물 전달 체계 4. 질병과 주요 단백질 의약품 5. 결론과 제안 6. 동향조사 목표 달성도 및 국내 파급 효과 7. 동향조사 결과의 활용 8. 참고문헌

2002-04-15


The Trend in Materials Research for Energy Conversion Applications such as Batteries, UltraCapacitor and Fuel Cell 스크랩

  • Argonne national Labortory, USA
  • |
  • 지구과학(지구/대기/해양/천문)

이 자료는 보안 문서로 등록이 되어 있습니다. 문서를 열람하시기 원하시는 분은 다음의 사용자 암호를 입력하신 후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사용자 암호 : www.kosen21.org 요약문 본 보고서는 에너지 전환 장치 (전지, 연료전지, 초축전지)에 대하여 미국, 일본, 유럽, 그리고 한국 내에서의 현재 상황과 미래에 대해서 조사, 요략하였다. 조사의 내용은 문헌을 통한 전지의 현재 상황을 서술하고 에너지 전환 장치, 특히 전지, 연료전지기술에 대해서 가장 첨단을 접하고 있는 몇몇 대학과 기업연구소를 방문하여 그들의 생각을 직접 들어보고 이를 정리하였다. 이 보고서는 처음 서론 부분에 간단하게 에너지 전환 장치 (전지, 연료전지, 초축전지)에 대한 설명으로 시작하였다. 그리고 각 선진국의 에너지 전환 장치, 특히 전지, 연료전지기술 개발 현황에 대한 정보와 함께 무엇이 문제이고 앞으로 어떻게 발전할 것인가에 대하여 정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한국이 취해햐 할 향후발전 방향 및 전략에 대해 제안하고자 한다. 목차 제출문 요약문(국문) 요약문(영문) 목차(영문) 목차(국문) 제1장 서론 제2장 에너지 전환 장치(전지, 연료전지, 초축전지)에 대한 설명 제3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제4장 동향조사 결과 내용 제5장 동향조사 목표 달성도 및 동향조사 결과의 활용 참고문헌

2002-04-15


웨이브렛과 신호 처리 스크랩

  • Kentucky State Univ
  • |
  • 전기/전자

이 자료는 보안 문서로 등록이 되어 있습니다. 문서를 열람하시기 원하시는 분은 다음의 사용자 암호를 입력하신 후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사용자 암호 : www.kosen21.org 웨이브렛의 역사적 고찰을 비롯하여 함수관계로서 Grossmann과 Morlet의 Wavelet을 정의하였으며, 신호처리와의 연결, 다해상도 분석, 스플라인 함수, Spline MRA, 시간-주파수 해석과 웨이브렛 패킷, 웨이브렛의 Regularity, 화상 Registration, Nonstationary 신호처리 등에 관해 설명하고 있다. ○ 다양한 응용 분야 웨이브렛 분석과 multiresolution 방법이 쓰이는 분야는 다양하다. 웨이브렛 응용 분야를 다시 정리하면, 1. Oceanography, wleh, echocardiography 등의 edge detection 2. Lossy and Lossless 영상 압출 3. 지진의 transient 부분 detection 4. 환경 모델링, process 조절, 예측, 경제, 재정 modelling 5. 중심과 주위의 영상분석 6. 의료 진단, 초음파, echocardiography 분석 7. 군사 영상, 지뢰, 어뢰 탐지, surveillance 8. 천체 사진상의 layer 분리 분석 9. 위성 사진, 항공사진, SAT, ERS, 영상 분석 10. 건축, 건물의 Tomography 분석 11. 도시와 시골의 개발 과정 분석 12. Jet stream 분석 13. EL NINO 분석 14. Telecommunication, data traffic modeling, analysis 15. Text, Date, Information Mining, Discovery, Recovery 16. 다변수 데이터 분석, cluster analysis 17. Image filtering, Local editing, Deconvolution 18. GIS, 농업, 경제 정책 분석 19. Vision Model 20. Material Science, Speckle Removal from Image

2002-04-15


재생에너지의 현황과 기술개발 동향 스크랩

  • EPRI
  • |
  • 지구과학(지구/대기/해양/천문)

이 자료는 보안 문서로 등록이 되어 있습니다. 문서를 열람하시기 원하시는 분은 다음의 사용자 암호를 입력하신 후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사용자 암호 : www.kosen21.org 새로운 세기의 인류의 중대한 과제는 세계 인구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환경을 보존하면서도 지구 경제의 성장을 지속해야만 한다는 것이다. 인구와 공해, 번영을 동시에 조화시켜야만 한다는 문제는 소위 지구 지속 가능성 (global sustainability) 문제의 핵심이기도 하다. 지속 가능한 성장이라 함은 우리의 후세들이 그들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현재의 우리의 필요 사항을 만족시키는 성장을 의미한다. 인구팽창과 첨단과학의 발달, 그리고 경제 팽창은 에너지 수요의 급격한 증대를 초래하였으며 이러한 추세는 21세기 동안 계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지금 세계는 유례 없는 규모와 속도의 변화를 경험하고 있다. 이 같은 변화를 뒷받침 할수 있는 추진력은 에너지이다. 현재 사용중인 에너지의 가장 큰 몫을 차지하고 있는 석탄, 석유, 천연가스 등의 화석연료는 매장량이 지역적으로 편중되어 있고 이로 인한 국가간의 정치적, 경제적 마찰은 세계의 평화를 위협하고 있다. 아울러 이런 자원들은 유한하므로 언제인가는 고갈될 것이다. 더욱 시급한 것은 이런 연료들로부터 발생하는 공해물질과 지구 온난화 현상이다 성장의 추진력은 에너지이므로, 인구팽창, 첨단기술의 발달 및 경제 성장을 뒷받침해야하는 막대한 에너지는 필연적으로 지구 환경에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게 된다. 최근 수십년 동안 이산화탄소와 같은 온실 가스의 방출에 대한 관심이 늘어가고 있다. 온실 가스의 대기 중 농도를 안정시키기 위해서는 지구 온실 가스의 방출을 1990년 수준의 절반으로 감소시킨 후 이 수준을 계속해서 유지해야만 한다. 이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여러 에너지 기술을 결합하려는 연구가 시도되고 있다. 원자력 및 재생 가능한 에너지처럼 탄소를 방출하지 않는 에너지원은 인구 증가와 경제 성장을 유지하면서 온실 가스 방출을 충분히 줄이기 위한 시도에 있어 하나의 중요한 열쇠를 제공한다. 에너지 생산 및 이용과 관련된 환경 문제로 에너지와 환경이 금세기 전 세계의 주요 관심사로 부각되는 셈이다. 우리의 환경과 생태계를 보존해야 하는 중요성은 절대로 간과할 수 없으며 이 문제들은 정치적, 경제적, 기술적인 결단을 요구할 것이다. 여기서 핵심적인 문제는 우리의 지구 환경을 손상시키는 배기 가스와 공해로, 특히 기후 변화 문제는 국경을 넘어선 전 지구적인 문제임이 분명하다. 지구지속가능성의 차원에서 볼 때 화석연료를 대체 내지 보조할 수 있는 에너지원의 개발이 매우 중요하다. 여기에서 생각할 수 있는 것이 원자력과 재생에너지라 할 수 있다. 이 두 에너지원은 지구 온난화 현상의 완화의 관점에서 가장 중요하다. 재생에너지를 넓게 보면 수력도 포함이 되나 이 보고서에서는 수력을 제외한 재생에너지, 특히 태양 에너지, 풍력, 바이오매스, 지열에 중점을 둘 것이다. 전통적인 재생에너지인 수력은 의심할 여지없이 가장 중요한 재생에너지원으로 전 세계 전력 생산에서 커다란 역할을 맡고 있다. 더구나 세계적으로 경제성 있는 수력 잠재력의 2/3가 후진국에 내재되어 있으며 적극적인 발전 양상을 분명히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수력 발전소의 한가지 중요한 단점은 수로와 강어귀를 변경시킴으로써 지역 생태계를 파괴하고 수생종 및 다른 생물종에 잠재적인 위협을 줄 셈瀯煊〕恪熾姑?별도로 취급한다. 미국이 예정하고 있는 기본 계획에 따르면, 모든 재생에너지는 오는 2020년 전력 생산 시장의 약 9%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수력을 제외한 다른 재생에너지가 현재의 전력 생산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지극히 낮은 실정이며 엄격한 탄소 절감 계획과 재생에너지의 가격 경쟁력이 급격히 높아진다고 가정하더라도 오는 2020년 전력시장에서 재생에너지가 차지하는 비중은 여전히 낮아 5%에서 10% 수준일 것으로 전망된다. 재생에너지는 당분간 원자력과 같은 핵심에너지원을 보조하는 역할에 머물 것으로 예상되는데, 재생에너지원만으로는 핵심 에너지원 수준의 전력 생산이 어렵재생에너지와는 별도로 취급한다. 미국이 예정하고 있는 기본 계획에 따르면, 모든 재생에너지는 오는 2020년 전력 생산 시장의 약 9%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수력을 제외한 다른 재생에너지가 현재의 전력 생산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지극히 낮은 실정이며 엄격한 탄소 절감 계획과 재생에너지의 가격 경쟁력이 급격히 높아진다고 가정하더라도 오는 2020년 전력시장에서 재생에너지가 차지하는 비중은 여전히 낮아 5%에서 10% 수준일 것으로 전망된다. 재생에너지는 당분간 원자력과 같은 핵심에너지원을 보조하는 역할에 머물 것으로 예상되는데, 재생에너지원만으로는 핵심 에너지원 수준의 전력 생산이 어렵재생에너지와는 별도로 취급한다.

2002-04-15


일본의 나노기술 현황 스크랩

  • 동경농공대학
  • |
  • 전기/전자

이 자료는 보안 문서로 등록이 되어 있습니다. 문서를 열람하시기 원하시는 분은 다음의 사용자 암호를 입력하신 후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사용자 암호 : www.kosen21.org ○ 동향조사의 목적 및 필요성 나노기술은 2000년 클린턴 정부에 의해 게놈 프로젝트 다음으로 큰 국가적 연구과제로 천명된 이래 한국에서도 붐을 일으키고 있다. 하지만 일본은 1987년 STM이 미국 IBM에서 개발된 이래 현재의 NT(나노기술: Nono Technology)라 불리는 연구를 바로 시작하여 반도체 관련 표면기술 등에서는 미국(및 유럽)을 앞서 간다고 판단된다. 일본에서의 연구는 주로 계획서에서 밝혔듯이 정부 주도하에 통산성, 문부성, 과학기술청의 세 기관에서 수행되고 있다(현재 문부성과 과학기술청은 통합됨). 이 중 통산성의 지원하에 JRCAT(Joint Research Center for Atom Technology)에서 수행되는 ATP가 가장 조직적이고 대규모적이며 전방위적이다. 이 JRCAT는 1992년 NAIR(National Institute for Advanced Interdisciplinary Research)과 통산성 산하의 AIST(Agency of Industrial Science and Technology)가 함께 설립하였다. 10년 중장기 과제인 ATP를 조사 분석하여 이제 첫 걸음을 떼고 있는 한국의 정책수립 방향을 비롯하여 연구방향 설정, 연구 방법, 연구결과의 응용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 동향조사의 내용 및 범위 중간보고서의 결과로는 JRCAT의 연구조직, 연구목표 등에 대한 조사가 완료되었으며 최종 결과로 92년부터 발행된 800여편의 논문과 ATP의 결산 학술회의라 할 수 있는 2000년과 2001년의 심포지엄 초록을 수집하여 정리 분석하였다. ○ 동향조사의 활용계획 JRCAT에서 이루어진 NT에 관한 연구는 주로 나노세계에 대한 기초적인 연구들이며 계측기기와 전자산업 강국답게 나노세계를 탐구하는데 필요한 분석기기와 방법의 개발 및 표면이나 계면에서 나노 구조를 만들고 여기에서 일어나는 현상들에 집중되어 있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아직까지 실제 기술로 응용되지는 않고 있는 NT에 대한 향후 연구를 뒷받침 할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따라서 일부분야 외에느 ㄴ아직까지 기초적인 연구가 전무하다시피 한 한국의 상황에서 NT 연구를 수행하고자 하는 대학, 기업 연구소 뿐만 아니라 주어진 조건에서 선택과 집중을 할 수 밖에 없는 한국에서 연구 방향의 수립에 좋은 자료가 될 것이다.

2002-04-15


미국의 지리정보시스템 응용사례연구 최종보고서 스크랩

  • Northern Michigan Univ
  • |
  • 과학기술과 인문사회

이 자료는 보안 문서로 등록이 되어 있습니다. 문서를 열람하시기 원하시는 분은 다음의 사용자 암호를 입력하신 후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사용자 암호 : www.kosen21.org 요 약 문 이 연구는 "미국의 지리정보시스템 응용사례 연구"로써, 미국의 지리 정보 시스템 응용사례를 조사하여 국내 지리정보 시스템의 발전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최근들어 국내에서 IT 산업이 극심한 불황을 겪고 있는 가운데, 시스템 통합 산업의 가장 전문적 영역으로 일컬어지는 지리정보시스템 산업이 자원의 비효율적 활용으로 인한 많은 비판을 받아오고 있으며, 비효율적인 관리와 과당경쟁, 그리고 전문적인 활용기술의 부족은 국내 GIS 산업의 위기를 가져왔다. 건교부의 최근 발표에 따르면 2001년부터 2005년까지 1조 3500억원의 예산을 확보하여 국가지리정보싯스템 사업을 수행할 예정이다. 막대한 예산이 들어가고, 국가적 인프라 산업인 ㅈ리정보시스템의 효과적인 육성은 한국이 처한 당면 과제들 중의 하나이다. 현실적 그리고 사회적 맥락을 상실한 기술은 부가가치를 창출해내기 어려움을 생각할 때, 이 사례연구는 지어보 처리기술과 그를 둘러싼 제반 상황을 다양한 각도에서 조명함으로써, 전자정부를 지향하는 한국 내의 공공기관과 학계와 산업계에 많은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한다. 이 연구는 미국내 국가적 차원의 지리자료 처리 툴, 공급 방법 및 정책적 이슈 사례와 주정부 차원의 지리정보시스템 도입 사례들과 County 차원의 지리정보시스템 도입 사례들과 Geographic Information Outreach 시스템 사례와 상업용 지리정보 소프트웨어의 개발 툴, 개발 정책, 산학 연계 사례와 그리고 중고등학생 및 평생교육 차원의 GIS 교육 사례를 조사하였다. 주 차원 서는 Georgia주와 Michigan주를 주요 조사 대상으로 하며, 카운티 차원에서는 Athens-Clarke (Georgia)와 Marquette (Michigan) 카운티를 연구하였다. 소프트웨어 개발에 관해서는 Atlanta (Georgia)에 사를 둔 ERDAS 회사를 살펴보았으며, 국가적 차원의 지리정보시스템에 관해서는 미국의 연방지도제작 기관인 Mid-Continent Mapping Center (USGS, Rolla, Missouri)를 사례로 하였다. Geographic Information Outreach 시스템의 기능과 사례에 관해서는 University of Georgia의 Information Technology Outreach Service (ITOS)의 사례를 연구하였으며, 중고등학생 및 평생교육 차원의 GIS 교육의 현황과 사례는 Georgia주와 Michigan주의 사례들을 연구하였다. 마지막으로 GIS 인증프로그램 (GIS Certificate Programs)의 현황과 사례는 현재 미국 내 GIS 인증프로그램의 현황을 조사하고, 국제적 표준화 노력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조사된 바에 의하면, 국가적 차원에서는 전자정부를 지향하는 조지아 주정부가 Georgia Technology Authority를 통하여 정보산업의 일관된 관리를 지향하는 측면을 엿볼수 있었으나, Michigan Information Center라는 하나의 의사소통 중심기구를 통하여 비일관적인 GIS 자료의 관리를 또한 Michigan의 사례에서 볼 수 있었다. 카운티 차원에서는 Out-Sourcing과 In-house 개발이라는 대조적인 모습을 볼 수 있었으며, Out-sourcing을 통한 Athens-clarke 카운티의 성공적인 사례를 관찰할 수 있었다. 지리정보기술의 파급을 위한 ITOS의 예는 대학교 부설 비영리 기관이 지리정보시스템 기술의 창출과 서비스에 막대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비록 윈도즈 기반의 소프트웨어가 시장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나, 유닉스 기반의 소프트웨어도 계속적으로 만들어지고 있고, 리눅스를 기반으로 하는 소프트웨어의 실험이 진행중이었다. 중고등교육기관들에서는 정보시스템과 과학 교사들을 중심으로 GIS를 가르치는 사례를 관찰할 수 있었다. 2001년 여름 현재, 미국 내 147개의 대학교육기관에서 지리정보시스템 인증프로그램을 학부와 대학원에서 제공하고 있었다. 각종의 워크샵들은 성인들의 GIS 재교육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었다. 한편, 국내적으로 그리고 세계적으로 지리정보시스템 인증프로그램의 표준화를 위하여 활발히 노력함을 엿볼 수 있었다.

2002-04-15


중국 CNNIC 보고서 스크랩

  • 중국 인터넷 정보센타
  • |
  • 과학기술과 인문사회

지금 세계는 산업화시대에서 정보화시대로 진입하였 다. 중국도 세계의 발전환경에 비추어 정보화로 진입 하는 단계에 이르렀다. 그러나 중국의 정보화 발전 의 속도는 다른 나라에 비해 늦다. 중국인이 인터넷 을 사용하는 서막을 열어놓은 것은 1987년 9월 20일 중국에서 첫 번째의 전자우편 즉 이메일을 발송한 것 을 계기로 하였다. 그로부터 시작하여 중국은 인터넷 발전에 모든 심혈을 기울였다. 1994년 5월 15일 중국 과학원 고에너지 물리연구소에서 중국에서 처음으로 웹서버를 건립하고 첫 번째의 웹 싸이트를 만들었 다. 중국은 이로부터 인터넷에 관하여 많은 정보와 기술을 개발하였고 지금에 와서는 많은 중국인들이 인터넷을 사용하고 있다. 중국의 인터넷을 사용하는 컴퓨터수량, 사용인수, 사용분포, 정보량분포, 지역 등록등의 통계정보는 중국의 정보화 발전 정책을 세 우는데 증거로 제공해 주는데 중요한 의의가 있다. 1997년 국가 관리부문의 연구를 거쳐 중국인터넷정보 센터(CNNIC)가 4개 인터넷회사와 공동으로 통계사업 을 실시한다고 결정하였다. CNNIC는 1997년, 1998 년, 1999년, 2000년, 2001년 매년 <<중국인터넷 발전 상황통계보고>>를 발표하였다. 통계보고가 발표된 후 많은 사용자들이 CNNIC가 새로운 통계보고를 제공 해 줄 것을 요구하였다. 이에 CNNIC는 1998년부터 매 년 1월과 7월에 통계보고를 발표할 것을 결정하고 추 진하고 있다. 본 보고서는 CNNIC의 2002년 1월에 발간한 것(30 페 이지,중문판)으로 최근의 중국 정보화 정도를 파악하 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되어 분석 요약하였다.

2002-04-11


GENOMES to LIFE 스크랩

  • 강지훈 강지훈
  • |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

이 자료는 보안 문서로 등록이 되어 있습니다. 문서를 열람하시기 원하시는 분은 다음의 사용자 암호를 입력하신 후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사용자 암호 : www.kosen21.org Built on the continuing successes of international genome-sequencing projects, the Genomes to Life program will take the logical next step: a quest to understand the composition and function of the biochemical networks and and pathways that carry out the essential processes of living organisms. This roadmap sets forth an aggressive 10-year plan designed to exploit high-throughput genomic strategies and centered around four major goals: - Identify and characterize the moecular machines of life - the multiprotein complexes that execute cellular functions and govern cell form. - Characterize gene regulatory networks. - Characterize gene regulatory networks. - Characterize the functional repertoire of complex microbial communities in their natural environments at the molecular level. - Develop the computational methods and capabilities to advance understanding of complex biological systems and predict their behavior.

2002-04-11


과학기술백서(일본) 스크랩

  • 강지훈 강지훈
  • |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
  • 과학기술과 인문사회

이 자료는 보안 문서로 등록이 되어 있습니다. 문서를 열람하시기 원하시는 분은 다음의 사용자 암호를 입력하신 후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사용자 암호 : www.kosen21.org 이 보고서는 과학기술기본법 (평성 7년법률 제 130호) 제 8조의 규정에 기초하여 과학기술 진흥에 관하여 구성한 시책에 대한 보고이다. 본 보고서에서는 제1부 및 제2부에서, 광범위한 여러 갈래에 걸쳐 과학기술활동의 동향을 소개하고 제 3부의 과학기술 진흥에 관하여 구성한 시책을 이해하는 데 일조를 하고 있다. 제1부에서는 [일본 과학기술의 창조력]이란 제목으로, 일본 과학기술의 성과와 수준을 국제비교에 따라 나타내는 동시에, 과학기술의 창조력을 산출하는 시스템에 대하여 현황과 과제를 분석했다. 제2부에서는 각종 데이터를 이용하여 일본과 주요국의 과학기술활동을 비교했다.

2002-04-11


Assessment of BNFL's Business Case for the Sellafield MOX plant 스크랩

  • 강지훈 강지훈
  • |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

BNFL's Sellafield MOX Plant (SMP) plans to produce Mixed Oxide (MOX) fuel to meet demand from customers who are recycling their spent fuel. Appendix A1 gives an introduction to the role of MOX in recycling, and the alternative to recycling, namely management of the separated plutonium as a waste. Significant investment has already been made in SMP. However, under the European Union's Basic Safety Standards Directive (96/29/Euratom), it cannot operate without passing a test of justification: the benefits of a practice involving ionising radiation need to outweigh any environmental or other detriments. The Government announced its provisional view in 1999 that full operation of SMP would be justified, but that a final decision would depend on the outcome of further consultation on the economic assessment of the practice and on the market for MOX fuel. The consultation took place in June 1999. However, because of the MOX fuel data falsification incident, identified in August 1999 at BNFL's MOX Demonstration Facility (referred to as the MDF incident, and described in Appendix A4), and a new business case put forward by BNFL in 2001, the Government decided that further consideration of the case was needed. The Department for Environment, Food & Rural Affairs (DEFRA) has asked Arthur D. Little(ADL) to conduct an economic assessment of SMP before a decision on SMP approval is made.

2002-04-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