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향

리포트

리포트는 KOSEN 회원님들이 작성하는 최신연구동향 보고서입니다.
국내외 연구기관에서 발간하는 최신 동향보고서를 제공합니다.

전체 46913

글쓰기
전체 46913
글쓰기

고분자 복합재료에 대한 최근 기술 동향 스크랩

  • *
  • |
  • 재료

이 자료는 보안문서로 등록이 되어 있습니다. 문서를 열람하시기 원하시는 분은 다음의 사용자 암호를 입력하신 후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사용자 암호 : www.kosen21.org 요 약 문 본 보고서는 복합재료 및 제작기술에 대하여 미국 내에서의 현재 상황과 미래에 대해서 조사, 요약하였다. 조사의 내용은 문헌을 통한 복합재료의 현재 상황을 서술하고 복합재료 기술에 대해서 가장 첨단을 접하고 있는 몇몇 대학과 연구소를 방문하여 그들의 생각을 직접 들어보고 이를 정리하였다. 또 그들이 현재 수행하고 있는 연구과제에 대해서도 조사하였으며 보유하고 있는 설비를 사진으로 수록하였다. 이 보고서는 처음 서론 부분에 간단하게 복합재료에 대한 설명으로 시작하였다. 그리고 복합재료에 대한 기술적인 문제보다는 현재 복합재료가 어떻게 쓰이고 있는가, 무엇이 문제인가, 그리고 앞으로 어떻게 발전할 것인가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정리하였다. 인터뷰 내용은 주재별로 설정하여 정리, 필요에 따라 수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한국이 취해야 할 향후발전 방향 및 전략, 그리고 결론으로 맺는다

2002-03-18


미국 차세대 첨단 소재산업의 최신 동향과 미연방정부의 정책 스크랩

  • *
  • |
  • 과학기술과 인문사회

이 자료는 보안문서로 등록이 되어 있습니다. 문서를 열람하시기 원하시는 분은 다음의 사용자 암호를 입력하신 후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사용자 암호 : www.kosen21.org 선진 외국에서는 먼 미래를 내다보고 투자를 하는 분야들이 많이 있다. 현실적으로는 가치가 없어 보여도 분명 미래에는 과학 기술의 중심축으로서의 역할을 맡을 분야가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렇게 특정 분야를 예측하기에는 엄청난 비용과 투자가 사실상 어려운 실정이다. 그러므로, 냉철한 판단력과 정확한 분석을 통해서 핵심적인 과학 기술을 선정하여 지속적인 투자를 아끼지 말아야 할 것이다. 본 프로젝트는 선진 미국에서 선정한 미래의 과학 기술의 중심을 이룰 두가지 과학 기술에 대해 정리를 하였다. 그 두가지가 바로 나노 과학 기술(Nano Technology)과 생체 재료 (Bio Materials) 분야이다. 현재의 나노 과학기술과 생체 재료의 눈부신 발전 속도로 보아 수 년이내로 새로운 기술들을 예견할 수 있다. 이러한 과학 기술은 기존의 산업 기술과 사회에 많은 영향을 끼칠 것이며 전혀 새로운 기술 개발과 상룸을 유도하게 될 것이다. 결국 인류를 위한 건강, 재료 및 에너지의 소비, 그리고 심지어 환경에까지 깊은 영향을 미치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나노 과학기술 및 생체 재료를 이용한 응용분야는 광대하며 많은 노력이 필요한 분야이므로 한국의 정부, 산학연은 함께 확신을 가지고 지속적인 연구 투자 및 개발에 노력해야 한다. 본 프로젝트의 목적은 선진 미국의 과학 기술의 협력체제 및 현재의 기술 상황을 소개하고, 한국의 나노 과학 기술 및 생체 재료 분야의 공학 및 교육 분야 증진을 촉진시키는데 기여함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미국내의 주요 연구소, 기업체, 대학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연구 및 교육분야의 협력 체제의 중요성을 인식시키며, 타 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첨단 연구의 시너지를 창출해야 함을 알리고자 한다.

2002-03-18


바이오 대체에너지 기술개발 및 환경친화적 대체물질 기술개발 현황분석 스크랩

  • *
  • |
  • 지구과학(지구/대기/해양/천문)

이 자료는 보안문서로 등록이 되어 있습니다. 문서를 열람하시기 원하시는 분은 다음의 사용자 암호를 입력하신후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사용자 암호 : www.kosen21.org 환경 문제의 심각성은 1980년 대 초기부터 선진국 과학 기술계에서 심각하게 받아들여졌고, 환경 문제의 해결을 위한 노력을 본격적으로 시작하였다. 이의 결과, 리오 환경 회의 등 국제 환경 회의가 연달아 개최되고, 환경에 관련한 국제 규제 강화됨에 따라 각 정부는 환경 문제 해결이 관련 제품들의 경쟁력 확보라는 인식에서 환경 공해 저감 대책 및 환경 안전 제품 개발을 국가의 전략 연구군으로 선정하기에 이르렀다. 따라서 선진국의 환경 관련 연구는 1990년대 이후 본격적으로 실행되기 시작하였고, 환경친화 제품의 개발 생산이 앞다투어 이루어지고 있다. 현재 국가가 주도하고 있는 화학 관련 환경 사업은 크게 다음과 같이 두 분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ㅇ 저공해 대체 에너지 기술 개발 ㅇ 인체 및 환경에 독성을 유발하는 제품의 대체 기술 개발 현재 저공해 데체 에너지 기술 개발의 중심이 되고 있는 액체 형태의 새로운 연료 개발은 식물성 재료를 원료로 하여, 유럽 및 미국을 중심으로 지난 80년대 초부터 활발하게 추진되고 있다. 농산물을 원료로 하여 유럽 및 미국을 중심으로 지난 80년대 초부터 활발하게 추진되고 있다. 농산물을 원료로 한 연료는 재생산성 연료로서뿐만 아니라, 식물의 성장 과정에서 공기 중의 이산화탄소 및 질소 화합물의 흡수와 산소의 방출 등 부가적 이익을 가져다줄 뿐 아니라 식물성 연료에는 석유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공해물질(발암성 방향족, 유황 등)이 포함되어 있지 않아, 연소시 공해 물질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러한 지에서, 셀룰로오스, 당분, 전분에서 발효되어 생산되는 알코올과 해바라기 콩 등에서 생산되는 식물성 오일, 그리고 이를 이용하여 생산된 분자들에 대한 연료의 응용이 폭 넓게 연구되고 있다. 그 결과 휘발유 대체하는 물질로는 바이오 에타놀을 화학 변화시켜 생산하는 Ethyl-tert-isobutylether(ETBE)가 사용하고 있으며, 환경친화적 디젤 연료로는 유체유, 해바라기유 등, 식물성 오일과 메타놀과 반응시켜 얻은 메틸에스테르를 사용하고 있다. 동식물성 오일 등을 원료로 환경 친화 제품 개발 분야 역시 국가의 주요 전략 연구군으로 채택되어 활발한 연구 수행되고 있다. 이 연구를 통하여 개발된 제품들은 인체에 미치는 독성이 없고, 환경에서 생분해되기 때문에 환경에 미치는 악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현재 주로 연구되는 제품군은 공업용 환경 분해성 고성능 계면 활성제, 항공기 및 자동차의 환경 분해성 합성 윤활유, 비독성 플라스틱 가소제 및 각종 첨가제, 비독성 용제 개발 등 매우 광범위하다. 따라서 본 보고서에서는 환경친화적 제품에 관련된 유럽의 주요 연구 현황을 현재 진행되고 있는 유럽 대형 연구 과제를 중심으로 각 분야별로 연구 개발 동기, 현재까지의 연구 개발 성과 및 연구 개발 방향 그리고 국가의 전략/정책을 제품군으로 분류하여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을 수행하여, 국내의 관련 기관에게 환경친화적 대체 물질 개발에 대한 개념을 정립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2002-03-18


폐기물처리용 열분해 기술의 적용방안 스크랩

  • *
  • |
  • 지구과학(지구/대기/해양/천문)

이 자료는 보안 문서로 등록이 되어 있습니다. 문서를 열람하시기 원하시는 분은 다음의 사용자 암호를 입력하신 후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사용자 암호 : www.kosen21.org 오늘날 폐기물처리 방식은 보다 환경 친화적이고 보다 경제적이며 보다 효율적인 방법이어야 한다. 또한 새롱누 처리 기술이란 최소의 최종 폐기물만 매립을 하며 가능한 대부분의 모든 폐기물은 재생을 할 수 있는 기술들이어야 한다. 이러한 추세에 병행하여 유럽에서는 1990년 초부터 기존의 소각방식을 개량하거나 대체할 수 있는 여러 기술, 즉 순수산소취입기술, 플라즈마 이용기술, 메탄 가스 발생기술, 유동상식 처리기술, 화석화 처리기술, 열분해기술 등의 개발이 시도되었다. 이들 기술 중 프랑스 정부차원에서 지원을 아끼지 않은 개발기술은 열분해 기술로 이는 2002년부터 제재되는 매립장의 순매립 금지 (다시 말해 최종폐기물만 고형화/안정화 처리후 매립)로 필요한 160개의 새로운 소각장 건설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사실 건류성 연소기술(Pyrolytic Combustion ; 초반 열분해방식으로 하다 후반 연소방식으로 전환)이라 불리는 이 기술은 이미 유럽에서는 1980년대에 중-소형 산업폐기물 소각설비에서 폭넓게 사용되어온 기술로 밀폐된 연소실내에 공기의 취입율을 기존의 50% 이하로 낮춤으로서 폐기물의 완전연소를 이루면서 폐 가스의 발생량을 낮춤으로써 후단 폐연 처리설비의 규모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을 얻었다. 이러한 기술발전에서 한 걸음 진보한 무산소 열분해기술은 처리 폐기물 당폐가스 발생량을 더 낮춤으로써 고가의 후단 폐연 처리설비의 설치비용을 낮추므로 중.소 도시 근거리에서 경제성 있는 중.소형 도시폐기물처리 설비로 발전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였었다. 하지만 기술개발의 선주 주자인 독일의 SIEMENS사(PTR 공정)가 많은 시간과 투자비를 투자하여 기술을 개발한 후 적용단계에서 기술 실패를 인정하고 중간 (1999)에서 포기하므로 이 따른 충격과 또한 상용화 단계의 다른 기술들도 기존 환경법규를 준수하기 위한 공정변경과 발생되는 부산물 재활용의 어려움 때문에 현재로선 이들 기술들에 걸었던 기대이상의 결과를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 본보고서는 이러한 현실을 바탕으로 지금까지의 열분해 기술개발 동향을 검토하여 그의 문제점과 장점들을 분석하여 향후 발전전망을 도출해내고 이를 발판으로 한국 내에서 적용 전략 방안을 추천하고자 한다.

2002-03-18


중금속의 생물학적 정화 스크랩

  • *
  • |
  • 지구과학(지구/대기/해양/천문)

이 자료는 보안 문서로 등록이 되어 있습니다. 문서를 열람하시기 원하시는 분은 다음의 사용자 암호를 입력하신 후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사용자 암호 : www.kosen21.org 급속한 산업발전의 피할수 없는 부산물인 환경오염 문제는 날로 심각해지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휴, 폐금속광산이나 각종 산업폐수를 통해 유입되는 중금속은 주변 농경지와 지하수 및 하천 오염을 일으키고 있는데 다른 오염물질과는 달리 중금속은 분해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문제가 되고 있다. 일부 금속은 미량일 경우 동물이나 인체의 대사 과정에 꼭 필요한 필수영양소로 작용하지만 지속적으로 체내에 고농도로 축적되면 오히려 여러 가지 해를 끼치게 된다. 도금산업이나 도료산업 등의 산업활동을 통해서 오염된 지역의 지하수를 지상으로 퍼 올린 후 물리, 화학적 처리를 통해서 정화시킨 물을 다시 환경으로 되돌려 보내거나 혹은 오염이 심한 지역의 토양을 처리한 후 매립하는 등의 방법을 주로 사용하게 되는데 이러한 방법들은 정화하는데 드는 비용이나 시간에 많은 투자를 해야 하므로 보다 효율적인 정화방법의 개발이 요구된다. 각종 폐수나 자연환경으로부터 중금속을 제거하기 위한 기존의 물리적, 화학적 공정들이 기술적인 혹은 경제저인 문제점을 가지고 있음에 따라 최근 생물학적인 방법을 사용해서 중금속을 제거하려는 시도가 미국 등 선진국을 중심으로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아직은 본격적으로 사용되고 있지는 않지만 그 동안의 연구를 통하여 이러한 생물학적 중금속 정화방법이 많은 잠재력을 지니고 있음이 밝혀짐에 따라 미국의 환경부나 에너지성 등에서는 거액의 연구비를 지원하면서 연구를 촉진시키고 있다. 이에 본 보고서를 통해 미국 국,공립기관의 환경관련 정책과 더불어 현재 개발되고 있는 신기술에 대한 정보를 수집, 분석하고 한국의 당면과제 및 해결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2002-03-18


IMT-2000 비동기 시스템에 관한 보고서 스크랩

  • *
  • |
  • 전기/전자

이 자료는 보안문서로 등록이 되어 있습니다. 문서를 열람하시기 원하시는 분은 다음의 사용자 암호를 입력하신 후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사용자 암호 : www.kosen21.org 요 약 문 1990년대 후반부터 시작된 3세대 이동 통신은 개개 해당 기업의 경쟁을 뛰어넘어 국가간 혹은 세계 지역간의 경쟁이라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유럽의 경우 180 조원이 전 서유럽지역을 커버하기 위한 주파수 구입자금으로 사용되고 120조원이 네트워크를 구성하기 위해 필요하다고 예측이 되고 있다. 동시에 단말기 시장을 포함한 도합 6500억 유로화 (780조원)가 3세대 통신 장비의 구축에 소요될 예상이다. 따라서 3세대 통신 시장의 중요성에 미루어 필자는 3세대 비동기 방식의 IMT-2000에 대한 영국 현지 조사에 결과를 수집하고 이에 본 보고서에 요약 분석을 하였다. 본 보고서는 첫째 3세대에 관련하여 90년대 후반 및 2000년 한 해동안 기술, 경영 및 정부 정책에 대해 출간된 자료에 대한 분석을 다루고 있다. 연구 분야의 산실이라 할 수 있는 영국내 대학에 대한 조사를 통해 인력의 수급 상황 및 현재 연구 과제들에 대한 조사를 포함하였다. 동시에 영국 현지에서 굴지의 기업에 종사하고 있는 관련 전문가와의 면담을 통해 현장의 정보를 싣고자 하였다. 기업과 대학의 통신주체의 일부인 영국 정부에 대한 조사를 벌여 3세대 및 차세대에 관련된 정부관련 통신 연구 조직에 대해 그 구성 및 목적에 대해 비교적 상세히 알아보았다. 특히 차세대에 대한 연구는 유럽 중앙 통신 위원회가 활발히 활동하고 있는 이에 대한 조사도 본 보고서는 포함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본 보고서는 국내 3세대 통신에 대한 문제점의 제기와 4세대 대응에 대한 논의를 포함한다.

2002-03-18


일본 우주 산업의 현황 및 전망 스크랩

  • *
  • |
  • 지구과학(지구/대기/해양/천문)

이 자료는 보안 문서로 등록이 되어 있습니다. 문서를 열람하시기 원하시는 분은 다음의 사용자 암호를 입력하신 후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사용자 암호 : www.kosen21.org ○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현재 국내에서는 위성개발사업을 시작으로 발사장 건설계획 및 우주 산업에 새로운 전기를 마련하려 하고 있다. 여기에 발사체 사정거리의 연장등은 호조건으로서 작용하고 있다. 하지만, 우주 산업은 연구자들만의 노력과 정열만으로 이루어지는 산업이 아니며 타산업에 비해 막대한 투자 및 정부의 추진력과 일관성이 요구되어지는 산업이다. 한국과 같이 초기 개발 단계에 있는 국가의 경우, 선진 우주기술국의 기술 개발단계에 있어서의 겅공 및 실패사례를 수집, 비교 검토함은 정책수립에 있어 예싼의 낭비와 실패의 전철을 피할 수 있는 하나의 요소가 될 것이다. 특히, 우리가 따라잡기 힘든 미국보다는 2차대전 패전후에 여러가지 어려웠던 여건들 속에서도 우주 개발을 착수하여 현재는 세계 세번째의 위성보유국이된 일본의 우주개발 역사는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리라 생각한다. 이에 본 연구 보고서에서는 일본의 최근 우주기술의 현황 및 전망을 조사 분석함으로써 국내 우주산업과의 기술력을 비교, 향후 국내 우주산업 기술개발의 방향성과 상정되어진 미션의 검토 및 기술목표 설정에 참고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하고있다. ○ 연구의 내용 및 범위 1. 일본 우주산업의 최신 동향 - 최근에 이어진 발사실패 후의 기술적 대응 방안 (문부성 우주과학연구소의 사례를 중심으로) - 향후 일본 우주산업개발 전략분야의 소개 (우주 기구/재료 및 우주구조 전략기술을 중심으로) 2. 우주산업분야에 있어서의 한국의 과제 3. 우주산업분야의 향후 발전 방향 및 한국의 대응전략 4. 수집기술 정보의 활용방안

2002-03-18


미국(캘리포니아 주)의 대기질 개선 현황 및 전망 스크랩

  • *
  • |
  • 지구과학(지구/대기/해양/천문)

이 자료는 보안 문서로 등록이 되어 있습니다. 문서를 열람하시기 원하시는 분은 다음의 사용자 암호를 입력하신 후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사용자 암호 : www.kosen21.org 연방 대기 환경법에 의하여 시행되는 미국 캘리포니아 주의 대기오염 관리체계는 연방정부와 주정부간의 조화에 의한 규제가 아주 효과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연방 대기 환경법이 목표를 지정하며 미 환경청이 그 세부 샐행안 및 연방표준을 만든다. 캘리포니아 주에서는 주의 독특한 상황을 고려하여 여기에 보와 한 주 기준 및 그 시행안을 제정하며 심각한 경우에 따라서는 독자적인 기준과 목표 시간설정을 한다. 규제물질의 정의는 연방차원에서 관리되는 일반오염물질과 각주의 특성상, 지역별, 시간별로 추가될 수 있는 독성오염물질로 나뉜다. 규제물질 배출허용 기준의 설정에는 인간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일?적으로 고려하나, 자동차 배기가스 경우와 같이 기술적 상용화 여부에 따른 목표설정을 한다. 자동차 배기가스의 규제는 60년초 규제전보다 약 20배 이상 강화되었고 이 과정은 정부와 제작사간의 새로운 저감기술의 채용여부에 관한 신경전의 역사이다. 그 결과 최신의 전자제어 엔진과 삼원 축매 장치가 장착되었으며, 앞으로 더욱 강화되는 규제에 대처하기 위하여, 냉시동, 전기/연료전지 잦동차 등이 개발되고 있다. 발전소와 같은 대규모 고정오염원의 규제는 주로 이산화질소, 이산화황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자동차 분야처럼 규제외 신기술의 채택 그리고 발전원가와의 갈등관계이다. 현재 저공해 연소장치 및 연소 제어 기술, 촉매를 이용한 후처리 기술을 중심으로 발전되고 있다.

2002-03-18


일본의 생명과학분야에 관한 기술조사 스크랩

  • *
  • |
  • 생명과학

이 자료는 보안문서로 등록이 되어 있습니다. 문서를 열람하시기 원하시는 분은 다음의 사용자 암호를 입력하신 후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사용자 암호 : www.kosen21.org 일본은 2001.4부터 향후 5년간 시행할 제2기 과학기술기본계획(안)에서 8대 국가중점과학기술분야중 생명과학분야를 지정하는 등 발전전략을 수립중에 있다. 특히 이것과 관련하여 일본과학기술회의는 2000.12.6 게놈 및 나노테크놀로지등 2개의 첨단분야에 대한 국가기본젼략을 발표하였다. 동 전략에 따르면 인간게놈(전유전정보)의 해독데이타 이용을 도모하는 "포스트게놈"과 10억분의 1미터 사이즈의 원자를 직접 조작하는 "나노테크놀로지" 등 2개 첨단분야에 대한 국가기본전략을 담았다. 포스트게놈에서는 단백질의 입체구조 및 기능의 해석에 중점을 두고 있다. 인간의 단백질에서 유용하게 될 약 1만 - 1만2천 종류에 대하여 향후 5년간 1/3이상의 구조결정이 가능한 체제를 만든다는 목표를 제시하였다. 한편 생명과학분야의 일선에서 연구중인 4명의 과학기술자와의 인터뷰를 통해 생명과학분야의 향후 중요부분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제1장 서론 제2장 생명과학분야의 최신연구동향 일본 생명과학연구개발의 개요 전문가 인터뷰 내용 제3장 생명과학분야의 향후발전 방향 및 한국의 대응전략 제1절 생명과학의 발전방향 제2절 한국의 대응방향 제4장 수집기술정보의 활용방안 제5장 결론 1. 전문가 면담록 2. 일본생명과학분야의 주목연구자 리스트

2002-03-18


Understanding Gene Testing 스크랩

  • 강지훈 강지훈
  • |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

이 자료는 보안 문서로 등록이 되어 있습니다. 문서를 열람하시기 원하시는 분은 다음의 사용자 암호를 이력하신 후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사용자 암호 : www.kosen21.org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의 National Cancer Institute에서 발간한 3편의 소책자이다. 1. Understanding Gene Testing Genes - the chemical messages of heredity - constitute a blueprint of our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The legacy of generations of ancestors, our genes carry the dey to our similarities and our uniqueness. When genes are working properly, our bodies develop and function smoothly. But should a single gene - even a tiny segment of a single gene - go awry, the effect can be dramatic: deformities and desease, even death. In the past 20 years, amazing new techniques have allowed scientists to learn a great deal about how genes work and how genes are linked to desease. Increasingly, researchers are able to identify mutations, changes within genes that can lead to specific disorders. Tests for gene mutations make it possible not only to detect deseases already in progress but also, in certain situations, to foresee deseases yet to come. This new ability raises both high hopes and grave concerns. On the one hand, predictive gene testing holds out the possibility of saving thousands of lives through prevention or early detection. On the other, the implications of test results are enormous, not only for the individual but also for relatives who share this genetic legacy, and for society as a whole. 2. Understanding Prostate Changes: A Health Guide for All Men - Why has interest soared? There are several reasons. Famous figures such as Harry Belafonte, Bob Dole, and Norman Schwartzkopf have gone public after being struck by prostate cancer. By doing that, they have spurred interest in the small gland and rallied support for increased research and better treatment choices. Also, more men are living to older ages - when prostate enlargement is common and prostate cancer becomes more likely - and huge numbers of previously unsuspected, symptom-free prostate cancers are being identified through simple blood- screening tests. Despite all the attention, however, issues surrounding the proststate, and prostate cancer in particular, are immersed in uncertainty. It is nor known, for instance, if the potential benefits of prostate cancer screening outweigh the risks, if surgery is better than no treatment in some cases. Because of these uncertainties, doctors and medical organizations effer conflicting advice for men who are weighing their options. As a result, men often find themselves confused about what to do next. 3. Post - Strok Rehabilitation In the United States more than 700,000 people suffer a stroke each year, and approximately two- thirds of these individuals survive and require rehabilitation. The goals of rehavilitation are to help survivors become as independent as possible and to attain the best possible quality of life. Even though rehabilitation does not "cure" stroke in that it does not reverse brain damage, rehabilitation can substantially help people achieve the best possible long-term outcome.

2002-03-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