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향

리포트

리포트는 KOSEN 회원님들이 작성하는 최신연구동향 보고서입니다.
국내외 연구기관에서 발간하는 최신 동향보고서를 제공합니다.

전체 46913

글쓰기
전체 46913
글쓰기

생명정보공학 심층보고서 스크랩

  • 영국 케임브리지대학
  • |
  • 생명과학

저자: 박종화. 생정보학 연구실장 MRC-DUNN Human Nutrition Unit, 영국 케임브리 지대학 e-mail 요약 : 생명정보공학 또는 생명정보학(Bioinformatics) 은 현대생물학의 핵심적인 위치로 나아가고 있다. 이는 전자공학의 막강한 자본과 기술이 실용적 단계의 생물학과 결혼함으로써 생기는 거대한 생산력을 과학기술자, 상인 그리고 정치인들까지도 인식하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이 글은 생명정보공학 의 중요 부분들과 방향을 분석한다. 한국은 생명정보공학의 발전에 필요한 기본산업이 발달되어 있어 21세기의 생명공학의 선두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 ------------------------- ------------------------------------- 궁금하신 점이 있으시면 저자에게 직접 문의하세요

2002-02-28



미국 투자전문회사의 생명공학투자 보고서 스크랩

1. 자료명: 생명공학 동향 (Biotech Trend) 2. 저자: Christopher J. Martin (Btechnews.com) 3. 출판사: Btech Investor 4. 출판날짜: 2001. 10. 11. 5. 내용 소개: 나스닥 상장 바이오벤처를 중심으로 9개 제품군과 4개 기술군으로 분류하여 기술동향과 향후 전망을 해 놓은 자료임. 투자자들을 위한 자료로 만들어져 있지만 연구자들에게도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고 생각됨. 분석자 서문 : 20세기가 정보 혁명의 시대였다면 21세기는 바이오 혁명의 시대이다. 1990년대에 수행된Human Genome Project(HGP) 의 성과가 이제 본격적으로 가시화되고 있는 것이다. 이미 1000여개 이상의 생명공학 관련 기업이 있고, 현재도 왕성하게 새로운 기업이 설립되고 있는 미국에 비한다면 우리나라의 생명공학 관련 기업은 아직 태동기에 머물러 있다고 볼 수 있다. 선진국의 경우 생명공학 관련 기업은 이미 조정기에 접어들어 투자가들은 오히려 기술이 없는 기업들은 도태될 것으로 여기고 있다. 이러한 때에 미국 투자전문회사의 생명공학분야에 대한 투자보고서를 통해 이들이 앞으로 유망하게 보고 있는 생명공학 관련 기술 분야들을 살펴보고, 각 분야의 잠재성을 분석해보는 것은 생명공학산업 분야의 미래를 준비하는 데 있어 의미있는 일로 생각된다. 아래 분석문에는 주요 기술 동향을 설명하였으며, 원문에 각 기업에 대한 상세 분석이 나와 있으므로 개별 기업에 관심이 있는 분들은 원문을 참조해 주기 바란다. 이 자료의 분석은 삼성종합기술원에 계시는 이연수 박사님께서 수고해 주셨습니다. 궁금하시 점은 이연수박사님께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e-mail : yslee2@sait.samsung.co.kr

2002-02-28


살충제가 중국 농업과 농민건강에 미치는 영향 스크랩

  • 김재능 김재능
  • |
  • Yanbian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 |
  • 지구과학(지구/대기/해양/천문)

. 자료명 : FARM PESTICIDES, RICE PRODUCTION, AND THE ENVIRONMENT 2. 대표저자 : Jikun Huang, Fangbin Qiao, Linxiu Zhang and Scott Rozelle 3. 출판사 : 중국 농업정책 연구소 Center for Chinese Agricultural Policy Chinese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s 4. 출판날자 : 2000년 2월 5. 내용소개 : 이 문서는 EEPSEA(Economy and Environmental Program for Southeast Asia)의 지원과 중국 국립 자연과학기금에 의해 수행된 중국의 살충제 현황 과 환경적인 문제를 다룬 보고서이다. 이 보고서는 중국의 농업현장에서 살충제의 사용현황에 대한 연구 및 농약의 합리적 사용과 농약관련 법률 및 규정을 소개하면서 정부의 농업정책을 재조명해보고 농업관련 학자들이 현지 실험을 통한 경작 유형을 조사하여 살충제로 인한 경제적 손실을 추정한 내용이다. 실제로 절강성의 두 지역의 4개의 경작형태와 다른 마을의 농민들에 대한 경작지 현지조사와 농민들의 농업사용방법 및 농약이 그들의 신체에 대한 영향을 연구하는 방법을 통하여 농민의 쌀생산에서의 농약의 사용에 관련되는 여러가지 인자들중에서 농민들의 농산물 산량의 감소와 살충제의 관계에대한 이해와 농민의 살충제에 대한 사용의 위험성에 대한 인식 혹은 태도가 그들의 살충제 사용 여부에 크게 영향을 준다는 결론을 내렸다. 또한 농민들의 농약사용으로 쌀 생산량이 높기는 하지만 그들의 신체 부분과 환경에 대한 악영향을 고려한다면 사실상 아무런 이득도 없다는 재미있는 결론을 내렸다. 중국에 농업과 살충제에 관한 것이 요구되어 왔으나 이 보고서가 이런 부분의 의문점을 해결해주는 내용이라 추천한다. 분석자 서문 : 이 자료는 EEPSEA(Economy and Environmental Program for Southeast Asia)의 지원과 중국 국립자연과학기금에 의해 수행된 살충제 사용으로 인한 쌀 생산 및 건강문제 등을 다룬 보고서이다. 이 보고서는 중국 농업정책연구소의 Jikun Huang, Fangbin Qiao, Linxiu Zhang and Scott Rozelle에 의해 작성되었으며, Center for Chinese Agricultural Policy Chinese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s출판사에서 2000년 2월 출판되었다. 전체 분량은 138 페이지이며 모두 영어로 되어 있다. 보고서는 중국의 실제 모델 농가를 표본으로 한 조사, 실험을 바탕으로 작성된 것이다. 절강성(중국의 상해의 아래쪽 항주가 있는 중국의 성)의 두 현(county)(Anji, Jiaxing: 항주 왼쪽과 오른쪽에 지역에 있는 현급 도시)의 4개 마을의 경작형태와 다른 마을의 경작지 현지조사, 실제 농가에서의 실험을 통해 농가에서 농업용 살충제가 쌀의 생산과 농민들의 건강에 미치는 긍정적 및 부정적 영향, 중국에서 사용되는 살충제의 경제적 측면, 쌀 생산 관련 병충해와 잡초 현황, 쌀 생산에 사용되는 살충제의 현황, 살충제가 쌀 생산 증대와 농민 건강에 미치는 영향 등을 개발된 모델을 통해 수치적으로 계산, 이에 대한 결과를 산출해냈다. 또한 살충제 사용에 관련된 여러 가지 인자 중에서 농민들의 농산물 생산량 감소와 살충제의 관계에 대한 이해와 살충제 사용 위험성에 대한 농민의 인식 혹은 태도가 살충제 사용 여부에 미치는 영향도 평가하였다. 결론적으로, 현재 중국 농민들은 살충제를 적정치 이상 과도하게 사용하고 있으며, 살충제 사용으로 건강상에 미치는 악영향을 고려한다면 이의 사용으로 증가된 쌀 생산량이 사실상 아무런 이득도 없다는 것이다. 이 분석물에서 주의할 것은 화폐단위 “원”은 중국 인민폐이다. 현재 환율은 중국인민폐 1원당 한국 원화 약 160원에 해당한다. 또한 전문용어와 해석이 애매한 부분은 영문 표기를 그대로 살려두었다. 이 자료의 분석은 연변과학기술대학의 김재능박사님께서 수고해 주셨습니다. 궁금하신 점은 박사님께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e-mail : kimn@ybust.edu.cn 첨부. Farm pesticide - Kim jaeneung.pdf Farm pesticide - Original.zip

2002-02-26


정보시대의 미국 경제성장 분석 스크랩

  • 민주헌 민주헌
  • |
  • 무소속
  • |
  • 과학기술과 인문사회

1. 자료명: U.S. Economic Growth in the Information Age 2. 저자: Dale W. Jorgenson 3. 출판사: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 the National Academy of Engineering, and the University of Texas at Dallas 4. 출판날짜: 2001년 가을 5. 내용소개: 본 자료는 Harvard 대학 경제학과 교수인 Dale W. Jorgenson이 쓴 article로 컴퓨터, 통신, 소프트웨어, 반도체 등의 Information technology가 1990년대 후반의 미국경제성장에 어떤 영항을 미쳤는가를 분석한 자료이다. 6. 목차: Faster, better, cheaper The growth resurgence What happens next? Recommended reading 분석자 서문 : 본 보고서는 1995년 이후 미국 경제 성장의 중추적인 역할을 해온 정보기술(IT: Information Technology) 분야, 특히 반도체 기술의 발전이 미국 경제에 미친 영향에 대해 분석한 것이다. 1990년대 후반 미국 정보기술 산업의 발전은 1990년대 초 클린턴 행정부가 주도했던 정보고속도로 (Information Super Highway) 건설계획을 기반으로 한 꾸준한 투자와 기업의 연구개발, 그리고 인터넷을 통한 네트워크 기반구조의 확립을 그 배경으로 한다. 이러한 배경하에서 지난 반세기의 경제자료를 토대로 정보기술 분야가 미국 경제의 재기에 미친 영향을 경제학자의 시각에서 서술하고 있다. 아울러 미래의 경제정책 결정과 기업들의 사업 방향 설정을 위한 정보기술 분야의 통계 분석 자료 확보, 그리고 기준을 확립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이 자료의 분석은 EBSCO Publishing사에 계시는 민주헌박사님께서 수고해 주셨습니다. 궁금하신 점은 박사님께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e-mail : jmin70@yahoo.com 첨부 .U.S. Economic Growth - Min jooheon.pdf 원문은 관련 URL을 보시기 바랍니다.

2002-02-26


2010년의 환경 - 우리의 미래, 우리의 선택 스크랩

  • 김애리 김애리
  • |
  • 미등재기관
  • |
  • 지구과학(지구/대기/해양/천문)

1) 자료명 ; The Sixth Environment Action Programme of the European Community 2001-2010 2) 출판사 ; Commission of the European Communities 3) 출판날짜 ; 2001년 1월 24일 4) 내용소개 ; 이 보고서는 2000년 12월로 끝나는 제 5차 Environment Action Programme을 뒤이어 향후 2001년부터 2010년까지 취할 제 6차 Environment Action Programme 이다. 현재 유럽국회에 상정되어 있는 이 입안서는 각 유럽 국가들이 향후 제정, 수행할 환경정책의 골격이라 할 수 있다. 이 6차 programme은 특히 Climate change, Nature and Biodiversity, Environment and Health, Natural Resources and Waste등 4개 분야를 우선적인 정책을 수립하고 Action을 취해할 분야로 선정하고 있다. 환경분야에 종사하는 모든 사람들이 한번 읽어볼 만한 자료이다 분석자 서문 : 유럽이 세계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5%밖에 되지 않는 반면, 온실 효과를 유발하는 기체의 방출은 15%에 이르며, 1인당 자원 소비량은 개발도상국에 비해 50배나 높다. 세계 경제를 이끄는 중심축의 일부로서 유럽 공동체(European Community, EC)는 이러한 국제적 책임과 역할을 의식, 환경문제에 대처하기 위한 방안으로 제6차 환경 대책 계획안(The Sixth Environment Action Programme of the European Community)을 내놓았다. 이 계획은 ‘2010년의 환경 : 우리의 미래, 우리의 선택’이란 부제 하에 2001년부터 2010년까지 유럽이 환경을 위해 취해야 할 행동지침, 특히 현재 지구환경에 많은 위협을 가하고 있는 기후 변화, 생물 다양성과 자연 서식지의 소실, 토양의 소실과 질적 저하, 쓰레기량 증가, 화학물질에 의한 위협, 소음 및 수질과 대기 공해와 관련된 문제점에 대한 구체적 대응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1992년 착 되어 2000년 12월에 끝난 제 5차 환경 대책 계획 (‘지속 가능성을 향하여’)에 대한 위원회(Commission) 의 전반적 평가 결과, 유럽 연합(European Union, EU) 차원의 광범위한 환경 법령에도 불구하고 각 회원국의 이행이 미비한 것으로 드러났는데, 따라서 제 6차 계획은 각 회원국 내에서의 환경 법령의 입법과 그 이행을 강화함을 최우선 목표로 취하고 있다. 환경 입법에 있어서는, 지속 가능한 개발을 위하여 환경에 압력을 가하는 모든 경제, 사회 정책에 환경 요소를 결합시킴을 원칙으로 한다. 특히 경제 발전으로부터 환경의 파괴를 분리하는 것이 최대의 관건이다. 또한 환경문제에 대한 EC 또는 정부차원에서의 노력이 입법단계에서 끝나지 않도록 이행을 강화하기 위하여 관계법령의 확실한 이행과 그 진전 상황을 추적, 평가할 수 있는 체계의 마련에 중점을 두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모든 행동이 올바른 과학적 지식을 바탕으로 실현되도록 뒷받침하는 연구에 대한 지원이나, 일반대중과 산업체 등 모든 분야간의 대화와 참여를 유도하기 위한 정부의 투명성 유지에 관한 조항들도 중요한 사항이다. 이 계획은 국제 사회 내에서의 유럽, 특히 향후 10년간 더 확대될 유럽 공동체의 주도적 역할을 지향하며, 범 지구적 차원의 지속 가능한 개발을 위한 국제 협약에 동참하고 적극 실행함을 목표로 삼고 있다. 그러므로 이 계획안에 대한 분석과 이해는, 환경 보존을 위한 국제사회의 노력과 맥락을 같이하는 우리의 정책 마련을 위하여 도움이 될 것이다. 다음은 EC의 위원회가 유럽 의회(European Parliament)와 이사회(Council), 경제 사회 위원회(Economic and Social Committee)와 지역 위원회(Committee of the Region)에 제시한 제6차 환경 대책 계획안의 전문을 요약한 것이다. 이 자료의 분석은 파리 제6대학에 계신 김애리박사님께서 수고해 주셨습니다. 궁금하신 점은 박사님께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e-mail : kim@cicrp.jussieu.fr 첨부 .Environment Action Programme - Kim aeri.pdf 원문은 관련 URL을 보시기 바랍니다.

2002-02-26


유전체학을 이용한 신약개발 스크랩

1.자료명: Genomics based drug discovery 2.저자: Bennett Weintraub, Ph.D 3.출판사: Btechnews (http://www.btechnews.com/sample_reports/genomics.pdf) 4.출판날짜: 2001. 4. 9. 5.내용소개: 작년 초 발표된 인간유전체지도의 초안은 생명의 기원에 좀 더 접근할 가능성을 시사하며 인류에게 많은 변화를 줄 것을 예고했다. 이 보고서는 genome로부터의 신약개발까지의 과정을 구체적으로 서술하고 이에 덧붙여 투자관점에서의 Genomics와 Proteomics의 의미와 대표적인 기업들에 관해 언급하고 있다. Genome을 대상으로 연구하고 있는 분들에게 매우 유익한 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6.목차 1) Key Drivers 2) Recent Events 3) Target Identification 4) DNA Databases 5) Only 39,000 Genes! 6) Target Validation 7) Target ID vs. Target Validation Chart 8) Proteomics 9) Drug Identification 10) Gene Patents 11) Clinical Development 12) Biologics Manufacturing Capabilities 13) Conclusions & Outlook 14) IPO 2000 15) FDA Clinical Trials Appendix A,B,C,D 분석자 서문 : 본 보고서는 최근 급격히 발달하고 있는 유전체학이 신약 개발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크게 연구 개발단계와 임상단계로 나누어 분석하였고, 관련 제약회사 및 생명공학 회사들의 전망을 투자자 관점에서 비교, 분석하였다. 특히 부록에는 대표적인 유전체학 관련 회사들에 대한 개요와 사업모델, 현재 개발 중인 의약품에 대한 소개 및 주요 재무정보가 수록되어 있다. 현재 생명공학 분야 기업에 종사하고 있는 최고경영자들과 연구원들은 물론 생명공학 관련 회사의 취업에 관심이 있는 생명과학 분야 학생들에게도 산업계의 최근 동향을 파악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이 자료의 분석은 미국 Applied Molecular Evolution 사에 근무하고 계신 박철호박사님께서 수고해 주셨습니다. 궁금하신 점은 박사님께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e-mail : chpark@leland.stanford.edu 첨부. Genomics Based Drug Discovery - Park cheolho.pdf 원문은 관련 URL을 보시기 바랍니다.

2002-02-26


재료공학과의 21세기 비전 스크랩

  • 홍승범 홍승범
  • |
  • 아르곤국립연구소
  • |
  • 재료

. 자료명: Materials Education for the New Century 2. 저자: M.C. Flemings and S. Suresh 3. 출판사: Materials Research Society (US) 4. 출판날짜: 2001년 11월 5. 내용소개: 이 자료는 2001년 11월호 MRS Bulletin지의 특집기사로, 재료분야의 연구 및 교육 현황을 리뷰논문 형식으로 보고하고 있다. 이 자료의 저자인 Flemings와 Suresh는 각각 MIT 재료공학과의 전, 현직 학과장이다. 미국과 유럽을 중심으로 재료분야 연구/교육의 역사, 현황과 전망을 논의하고 있어 국내외의 재료분야 관계자들에게 유용한 참고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6. 목차: - Introduction _ From Metallurgy to MSE in U.S. Universities - An Evolutionary Example: The Development of Solidification Teaching and Research - An Evolutionary Example: Teaching and Research in the Area of Mechanical Behavior of Materials - Technological Trends - Educational Opportunities in the Decades Ahead - References 분석자 서문 : 본 논문의 저자는 재료공학이 하나의 학문으로 정립되어 간 과정을 관련 산업의 발전과 연관시켜 설명하고 있다. 금속재료에서 출발한 재료공학이 새로운 산업이 창출되고 번성함에 따라 변모해가는 과정을 상세하게 다루고 있다. 급변하는 주위 환경에 맞추어 많은 교과목들이 개편되고 학과 이름도 바뀌었지만 재료공학의 이론을 뒷받침하는 근본 패러다임인 ‘구조-공정-물성-성능’만은 변하지 않았음을 강조하고 있다. 또한, 재료공학도들이 기본 패러다임을 근간으로 정립된 재료 이론들을 제대로 이해하고 산업기술에 적용시킴으로써 현대 산업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고 저자는 주장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재료공학의 변천사, 현황, 그리고 비전을 다루고 있다. 이 자료의 분석은 삼성종합기술원에 계시는 홍승범박사님께서 수고해 주셨습니다. 궁금하신 점은 박사님께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e-mail : bum4won@hanmail.net 첨부 .Materials Education - Hong seungbum.pdf

2002-02-22


FUNDAMENTAL PRINCIPLES OF RESEARCH ON THE HUMAN GENOME 스크랩

  • 강지훈 강지훈
  • |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

이 자료는 보안 문서로 등록이 되어 있습니다. 문서를 열람하시기 원하시는 분은 다음의 사용자 암호를 입력하신 후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사용자 암호 : www.kosen21.org Stunning recent developments in the life sciences, and the progress in the technology that has underpinned these developments, are deepening our scientific understanding of what it is that constitutes human life. At the same time these developments makes great contributions to the improvement of our life, in increasing levels of health and enhancing the prevention, diagnosis and treatment of disease. Humankind ahs thus reaping tremendous benefit from this steady march forward. However, through these advancements, it is becoming possible for humans to place their mark, one could even say interfere, in the inner workings of all stages of life from birth to death. The result has been the emergence of various ethical, legal and social issues, leading to a renewed awareness of the human dignity and. We cannot focus exclusively on what benefits may be gained through the developments of life sciences in areas of human health and the fight against disease, but must also look at the ethical values and principles involved and carefully evaluate whether problems may arise. Herein lies the reason why a heightened awareness of bioethics as an important aspect of human society has begun to take centre stage in recent periods. Progress in research into the human genome, often referred to as the blueprint of human life, is deeply approaching the origin of the human life and thus opening up the possibility of a total transformation both in how we view what it is that makes us human and in how we view life itself. it also has the potential to shake the entire system of values that we hold as a society. This scenario makes it imperative that we consider what limits should be set, on how far human genome research requires the provision of numerous sample from many participants, whose genetic information will be revealed in the results obtained during the course of this research, there is concern that far more and even bigger problems will arise in this research in the future. It is for this reason that an urgent establishment of fundamental ethical norms, based on bioethical considerations is needed for human genome research. 첨부1. Statement on prohibition of human cloning 첨부2. The Law Concerning Regulation Relating to Human Cloning Technique and Other Similar Techniques

2002-02-21


과학기술관련 학회 및 학술 단체 스크랩

  • 강지훈 강지훈
  • |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
  • 과학기술과 인문사회

이 자료는 보안 문서로 등록이 되어 있습니다. 문서를 열람하시기 원하시는 분은 다음의 사용자 암호를 이력하신 후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사용자 암호 : www.kosen21.org 1. 이공/자연계 학회 및 관련 단체 가. 저명과학자 단체 나. 과학기술진흥 및 대중화 단체 다. 주요 전문학회 2. 회원 규모 및 예산 3. 학회 직원 수 4. 정부의 학회 지원 규모 및 지원 현황 가. 왕립과학한림원 지원 나. 왕립공학원 지원

2002-0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