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향

리포트

리포트는 KOSEN 회원님들이 작성하는 최신연구동향 보고서입니다.
국내외 연구기관에서 발간하는 최신 동향보고서를 제공합니다.

전체 46913

글쓰기
전체 46913
글쓰기

6가 크롬의 생물학적 정화 스크랩

  • Applied Molecular Evolution
  • |
  • 생명과학

요 약 문 산업혁명 이후 산업의 급격한 발달로 인한 환경 오염문제가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나 현재까지 이에 대한 완벽한 해결책은 없는 실정이다. 특히 중금속의 경우 미량이라도 일단 흡수되면 잘 배설되지 않고 체내에 지속적으로 축적됨으로써 장기간에 걸쳐 다양한 부작용을 나타내게 된다. 각종 폐수나 자연환경으로부터 중금속을 제거하기 위한 기존의 물리, 화학적 공정들이 기술적인 혹은 경제적인 문제점을 지니고 있음에 따라 최근에 생물학적인 방법을 사용해서 중금속을 제거하려는 시도가 미국 등 선진국을 중심으로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6가 크롬의 경우 다양한 종류의 산업체에서 광범위하게 쓰이기 때문에 그 오염정도나 범위가 다른 중금속에 비해 훨씬 많은 실정이다. 크롬 도금공장이나 스테인리스 스틸 가공공장을 비롯해서 6가 크롬을 사용하는 많은 산업체 주변이 방출된 크롬으로 급격히 오염되었거나 오염되어 가고 있다. 또한 6가 크롬은 물에 잘 녹기 때문에 지하수 등을 통해 쉽게 다른 지역으로 퍼져나가게 되고 인체에 지속적으 로 축적되면 각종 독성이나 돌연변이 및 암을 유발하는 등 그 폐해가 심각하다. 최근에 6가 크롬을 독성이 거의 없고 물에 잘 안 녹는 형태인 3가 크롬으로 환원시키는 미생물들이 발견되고 해당 효소의 순수정제 및 유전자 클로닝이 이루어짐으로써 이를 이용한 6가 크롬의 정화가능성에 초점이 모아지고 있다. 그러나 아직은 이와 같은 시도가 실용화되기까지 해결해야 할 문제점들이 많이 있다. 본 보고서에서는 6가 크롬 환원 미생물 및 효소에 대한 지금까지의 연구결과를 소개하고 이를 이용한 6가 크롬의 정화가능성 및 산업화와의 연계가능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2002-03-08


자기적 방법을 이용한 구조재료의 비파괴적 평가 스크랩

  • 한국원자력연구소
  • |
  • 건설/교통

원자력 발전소나 교량 등 중요 구조물에서 구조물의 안전성을 확인하는 방법으로 구조물 자체를 파괴하는 것은 경제성/안전성 측면에서 현실적이지 못하므로 주로 비파괴적인 검사법이 이용된다. 이러한 비파괴 시험의 목적은 제작/건설/운전 단계에서 비파괴 시험을 실시, 조기에 불량품을 제거하고 제조경비를 절감하기 위한 것 외에 구조물, 설비, 재료 등의 파괴인자가 되는 결함을 탐지, 안전성 및 신뢰도를 향상시키는 데에 있다. 이러한 경향은 산업의 고도화에 동반한 산업구조 설비의 대형화, 고용량화, 이에 대한 안전관리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품질확보 노력의 일환으로 더욱 중시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사용되는 비파괴 검사법은 검사 시간의 과다소요, 데이터 취득 및 해석오류 등으로 그 적용 타당성에 대해 의문점이 대두되고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선진국(미국, 일본 등)에서는 자기적 방법을 이용한 원거리 검사법을 실용화 하는 등 자기적 방법을 이용한 비파괴 검사법에 대해 활발히 연구하고 있다. 이 방법은 검사의 신속 ·정확성을 위해 가까운 장래에 기존의 비파괴 검사법을 대체할 것으로 전망되므로 이의 타당성을 사전 조사하 국내 기술 개발 및 적용에 대비해야 할 것이다. 특히 원자력 발전소와 같은 거대 구조물을 구성하고 있는 재료의 열화는 구조물의 내구성 및 파괴저항성을 저하시켜 안전성에 큰 위협이 된다. 이러한 재료의 성질 변화를 초기에 감지하기 위해서는 비파괴 기술을 사용하여 계속적인 감시 (monitoring)를 수행, 구조물의 갑작스런 파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계획을 수립해야 한다. 이처럼 특별한 기술을 사용함에 있어 한가지 어려움은 열화에 의해 손상을 입은 구조물의 미세조직 변화를 비파괴 신호로 바꾸어 서로를 연관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는 손상된 물질에 대하여 미세조직 검사를 수행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다. 그림 1에 재료평가 절차 및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본 보고서의 목적은 재료의 열화손상을 감시할 수 있는 새로운 비파괴 기술을 소개하고 이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2002-03-08


블루투스 시스템 스크랩

  • Department of Electrical Engineering, Arizona State University
  • |
  • 전기/전자

서론 당신이 가지고 다니는 디지털 핸드폰을 이용해 모빌 PC에서 E-mail을 자동으로 확인해 볼 수 있는 상황을 상상해 보라! 당신의 서류가방에서 핸드헬드 PC (Handheld PC)를 꺼낼 필요 없이, 당신의 모빌 PC (Mobile PC)와 핸드헬드 PC간에 동기화가 이루어 지는 상황을 상상해 보라! 바로 이러한 디바이스 접속성과 상호운용성은 현재 혁명적인 기술로 인식되고 있는블루투스 (코드명: Bluetooth) 기술 또는 코드리스 (Cordless) 기술로 가능하다. 블루투스 (Bluetooth, 옛날 덴마크 왕 Harald Bluetooth 940-986)는 무선접속 (Wireless or seamless connectivity)에 관한 세계 표준기술로 전 세계의 무선통신 및 컴퓨터업계 리더그룹 (Ericsson, IBM, Intel, Nokia, Toshiba) 즉 SIG (Special Interest Group)을 주축으로 연구 개발되어 왔으나 지금은 전세계적으로 연구되고 있다. 이것은 디지털 전자 제품들 (특히 이동통신과 컴퓨터 제품들)간의 연결을 케이블 없이 근처에 가져가기만 하면 알아서 서로 연결이 되고 동기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기술이다[1-8]. 이를 위해서는 제품들에 블루투스를 지원하는 칩 (수 러 정도의 저렴한 가격으로 공급할 예정)이 내장되어 있어야 한다. 블루투스는 사용자가 자신의 모빌 컴퓨터 (Mobile computers), 디지털 셀룰러 폰 (Digital Cellular phones), 핸드헬드 디바이스 (Handheld devices), 네트웍 액세스 포인터 (Network access pointers)와 기타 모빌 디바이스(Mobile devices)를 아무 제한 없이 근거리 무선 링크 (Short-range radio link)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게 한다[1-10]. 목 차 1. 서론 1.1. 개요(General Overview) 1.2. 기술의 중요성 2. 본론 2.1. 블루투스의 개요 2.2. 블루투스시스템 구성 2.3. 선진국의 연구동향 2.4. 연구성공사례 2.5. 가장 활발한 연구를 하고 있는 연구소 또는 연구자 3. 결론 3.1. 향후 발전 방향 및 산업화와의 연계 3.2. 국내에서의 발전방향 또는 권고 사항

2002-03-08


근원 세포(Stem Cell)를 이용한 질병의 치료 및 연구 스크랩

  •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 |
  • 보건의료

사람의 태아에서 얻은 embryonic stem cell (ES cell)과 어른의 조직에 존재하는 stem cell (adult stem cell)은 이미 널리 이해되고 있는 것처럼 조직으로의 분화와 기능을 이해하는 데 매우 새롭고 이점이 많은 model system을 제공할 뿐 아니라 신약의 개발과 그 시험을 위한 새로운 전략을 제공해 준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현재 ES cell과 adult stem cell을 부화시켜서 얻을 수 있는 조직과 기관을 이용한 세포 혹은 장기 이식에 의한 치료방법의 가능성을 제시함으로써 새로운 의학의 혁명을 일으키고 있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우리나라에서는 현재 이에 대한 연구가 극소수의 실험실을 제외하고 거의 전무한 실정이다. 이제는 포유류 (사람 포함)의 발생학 (mammalian developmental biology)과 분자생물학의 급격한 발전으로 분화된 ES cell이 실제 생명체의 조직이나 기관의 세포와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보다 정확히 진단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보다 효율적으로 분화를 유도 할 수 있도록 culture system의 개선에 관한 연구가 널리 수행되고 있는 등 mammalian development의 이해에 중요한 기회와 재료를 제공해 주고 있다. 근래에 주목할 만 것은 사람의 조직으로부터 pluripotent ES cell과 embryonic germ (EG) cell이 분리되어 큰 반향을 불러 일으켰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연구목적으로 human embryo를 사용하는 데 있어서 윤리적인 문제점도 제기되어 큰 논쟁거리가 되었다. 그래서 처음에는 각 나라마다 매우 강경한 입장을 고수하였지만 human ES cell에 대한 연구의 중요성과 필요성이 충분히 인식되어 그 제약을 완화하는 추세로 향하고 있다. Adult stem cell에 대해서도 현재 많은 연구가 진행 중이다. 최근의 연구 결과들은 adult stem cell에 있어서 지금까지의 그와 관련된 생물학에 대한 기존 인식을 바꾸고 있다. 지금까지는 포유류에서 multipotent adult stem cell이 그 분화의 과정을 바꾸어 다른 종류의 세포로 분화한다는 데에 관한 증거는 없었다. 하지만 이에 관한 증거들이 근래에 속출하고 있다. 또한 stem cell이 분화하여 조직 및 기관을 형성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것은 이들이 3차원적인 구조를 형성할 뿐만 아니라 이미 생체내에서 존재하고 있는 조직에 integration되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는데 최근에 한 예로 뼈의 형성과정 (osteogenesis)에서 이런 과정을 가능하게 할 수 있음이 보고되었다. 본 review에서는 stem cell biology의 최근 동향을 정리하고자 한다.

2002-03-08


데이터마이닝 분야의 연구, 개발 및 활용 스크랩

  • 미국 Datamat System Research Inc
  • |
  • 정보/통신

이 보고서는 데이터마이닝의 필요성과 중요성에 대해 강조하며 국내 데이터마이닝의 연구 및 개발의 촉진을 위하여 그리고 국내 데이터마이닝의 다양한 활용을 위해 쓰여졌다. 데이터마이닝은 통계학, 데이터베이스, 패턴인식, 기계학습, 데이터 비주얼라이제이션, 그리고 고성능 계산기법 등과 같은 여러 학문들이 관여하는 분야이므로 그들 각각의 연구와 개발뿐만 아니라 그들 학문들의 효과적인 협력이 매우 중요하다. 그리고 데이터마이닝의 새로운 활용 분야는 점점 커지고 있다. 예를 들면 인터넷의 빠른 보급으로 전자 상거래와 같은 이비즈니스(E-business)의 발달로 인하여 데이터의 온라인 분석과 같은 새로운 요구가 있으며 바이오 인포메틱스 같은 분야에서 방대한 유전자 정보의 분석을 필요로 한다. 또한 지질학, 해양학, 기상학과 같은 수많은 관측된 데이터들을 이용하는 학문에서도 최근에 데이터마이닝이 매우 중요한 기술로 등장했다. IT 선진국인 미국은 과거의 데이터마이닝과 관련된 여러 학문들을 바탕으로 활발한 데이터마이닝 연구를 하고 있으며 여러 데이터마이닝 소프트웨어들을 이미 개발하여 상품화시켜 미국 시장은 물론 한국을 비롯한 아시아 국가들의 시장을 대부분 점유하고 있다. 그러나 여러 다양한 분야의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유일한 데이터마이닝 솔루션은 없기 때문에 국내 산업 환경에 익숙한 국내 데이터마이닝 전문가와 과학자들에 의해 국내 특성에 맞는 데이터마이닝 연구와 개발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정부와 기업들의 후원이 필요하다.

2002-03-08


전자 관련소재 산업의 최근 마켓동향 스크랩

  • Center for Advanced Materials, University of Massachusetts
  • |
  • 전기/전자

극소 전자 공학 산업은 가격이 몇 센트밖에 안 되는 단순한 전기 접속기부터, 하나의 칩에 수백만개의 트랜지스터를 가지고 있는 합성 회로, 하나에 수백만 달러나 하는 복잡한 반도체 제조 기계까지, 광범위한 생산품을 제조한다. 이러한 대부분의 생산품들은 컴퓨터, 정보통신, 소비자 전자 공학, 자동차, 우주 공학, 의학 등 여러 산업분야에 판매된다. 전 세계 극소 전자 공학 산업은 정보 기계 상품의 수입 관세를 줄이자는 Information Technology Agreement(ITA)의 이행으로 모두 이익을 얻고 있다. 아시아 재정 위기는 미국 전자 성분 제조업체들과 전자 제조 장비 공급자들에게 중대한 영향을 끼쳤다. 그러나 일본, 인도네시아, 중국 등의 계속되는 침체에도 불구하고 한국과 타이랜드 등의 경제 회복으로 위해 전 세계 전자 장비 판매는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다. 전자 관련 소재 산업인 반도체와 관련 장치와 제조장비, CRT, PCB, 수동 부품 소자의 국내외 산업 경향, 향후 5년간 산업과 성장계획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1. 반도체 국내외 산업 경향 2. 전자 진공관(CRT) 경향 3. 인쇄 회로 판자(PCB) 4. 반도체와 관련 장치(Semiconductors and Related Devices) 5. 수동 부품 소자(Passive Components) 6. 반도체 제조 장비

2002-03-08


자연어를 이용한 인간과 컴퓨터의 대화 스크랩

  • Bell Labs, Lucent Technologies
  • |
  • 전기/전자

지난 30년 동안 실험실내에서만 시도되어 오던 음성인식 및 합성기술이 21세기에 들어 컴퓨터, 인터넷과 휴대전화가 대중화되면서 이 세 부분을 통합할 수 있는 새로운 응용분야로 주목을 받기 시작했다. 본 논문에서는 음성과학의 각 세부 분야별로 지금까지 미국에서 진행되어온 연구 결과와 향후 중점 연구 과제를 소개한다. 현재 미국에서 실제로 제공되고 있는 여러 가지 음성 이용 서비스의 일례로서 tellme.com의 음성 포탈 서비스를 심층 분석하며, 보다 진보된 시스템을 위한 DARPA Communicator과제를 소개하여 그 전망을 알아보기로 한다. 마지막으로, 음성 과학 분야에 활발한 연구 활동을 수행중인 미국내 주요 대학 및 연구소, 그리고 회사들을 소개하기로 한다. 1. 서론 2. 연구분야 2.1. 음성인식 2.2. 음성합성 2.3. 자동번역 및 자동통역 2.4. 화자인식 및 화자인증 2.5. 언어인식 및 방언인식 2.6. 기타 연구과제 3. 응용분야 3.1. 개인간 통신 3.2. 가전기기 제어 3.3. 공공정보 서비스(음성포탈) 4. 연구 성공 사례 4.1. DARPA communicator 과제 4.2. tellme.com의 서비스 5. 연구소 및 연구자 5.1. 대학연구소 5.2. 기업 연구소 및 사설 연구소 5.3. 기타 6. 향후 발전 방향 및 결론 7. 참고문헌

2002-03-08


미국의 메디칼 테크놀러지 현황 스크랩

  • Sr. Scientist & Brachytherapy Team Leader, Medtronic Inc
  • |
  • 생명과학

요 약 문 최근 바이오 테크놀러지의 급격한 발전과 더불어 메디 칼 테크놀러지 분야도 많은 사람들의 관심의 상대가 되 기 시작했다. 메디칼 테크놀러지는 생물학과 약학을 바 탕으로 하는 바이오 테크놀러지와는 조금 다르게 병원 에서 흔히 볼수 있는 의료기기나 수술방법 등을 통괄하 는 분야이며, 생물학과 약학은 물론이고 물리학, 화공 학, 재료공학, 의용공학 등 여러 전문분야의 지식의 합 산체라고 할 수 있다. 본 분석 보고서는 미국에서의 메 디칼 테크놀러지 시장 및 기술 현황을 살펴보고 앞으 로 발전 가능한 분야와 핵심 기술을 제시하는데 그 목 적이 있다. 목 차 1. 전반적 시장 현황 2. 기술현황 2.1. 기술혁신 2.2. 진단기기 2.3. 심혈관계 3. FDA 4. 차세대 메디칼 테크놀러지 4.1. 심혈관계 4.2. 정형외과 분야 4.3. 신경계 4.4. 혈당 측정기 4.5. 수술 대체기술 5. Bibliography

2002-03-08


차세대 대용량 정보 저장 매체로서의 재료 공학 스크랩

  • Samsung Advanced Institute of Technology in Korea
  • |
  • 재료

본 보고서에서는 큰 세계 시장을 차지하고 있는 정보 저장 장치 산업 중에서 차세대 정보 저장 장치에 필요한 매체로서의 재료 연구에 대한 현재와 앞으로의 동향 및 발전 방향을 정리하였다. 현재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자성 저장 매체에 대해서 간단히 알아보고, 차세대 자성 정보 저장 매체의 연구 동향을 비롯하여 차세대 정보 저장 기기로 연구되고 있는 홀로그램의 원리를 이용하는 광학 저장 매체, 그리고 마지막으로 원자현미경을 이용한 다양한 차세대 대용량 정보 저장 장치를 위한 매체 재료에 대한 연구를 중심으로 논하였다. 목차 1. 여는 글 2.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2.1.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용 자성 기록 매체 연구 현황 2.2. 차세대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용 자성 기록 매체 연구 현황 2.3. 차세대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용 자성 기록 매체 연구 방향 3. 홀로그래픽 광학 정보 저장 장치 3.1. 홀로그래픽 광학 정보 저장 장치의 연구 현황 3.2. 홀로그래픽 광학 정보 저장 매체 연구 현황 4. 원자현미경을 이용한 정보 저장 장치 4.1. 원자현미경을 이용한 정보 저장 장치 및 매체 연구 4.2. STM을 이용한 정보 저장 장치 및 매체 연구 4.3. MFM 을 이용한 정보 저장 장치 및 매체 연구 4.4. SNOM을 이용한 정보 저장 장치 및 매체 연구 4.5. AFM을 이용한 정보 저장 장치 및 매체 연구 5. 맺음말 Reference

2002-03-08


북한의 정보통신기술(IT) 동향 스크랩

  • 포항공대 대학원장
  • |
  • 전기/전자

본 심층정보에 활용한 자료는 제 3국에서 만난 북한의 과학기술자와 북한을 방문한바 있는 해외동포과학기술자 및 외국인 과학기술자를 통해 구했으며 싱가폴에서 열린 COMDEX-Asia의 북한전시장, 일본 도쿄에 있는 북한자료 전문서점에서도 북한에서 개발한 소프트웨어를 구입하였다. 또한 2000년 9월 평양을 방문하여 평양정보쎈터(PIC) 매점에서도 그들이 연구개발한 소프트웨어를 구입하였다. 북한은 열악한 경제사정과 코콤(COCOM), 바세나르(Wassenaar) 협약 등 여러 규제 때문에 하드웨어분야 보다는 인간의 두뇌와 창조력만 있으면 개발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분야에 중점을 두고 있어 북한의 소프트웨어기술은 상당수준에 달하였다. 주요 개발기관으로 는 국가과학원, 조선콤퓨터쎈터, 평양정보쎈터 등 연구소와 김일성종합대학, 김책공업종합대학, 평양콤퓨터기술대학 등이 있으며 근래에는 기업체에서도 개발하고 있다. 북한의 소프트웨어제품의 특성은 1) 주로 개인용컴퓨터의 응용프로그램이고 2) 많은 것이 고려의학(동의학) 관련 제품이며 3) 어린이들이 게임을 하면서 배울 수 있는 에듀테인먼트(Edutainment)형이고 4) 인공지능 등 첨단기술을 활용한 것이다. 이 밖에도 공장이나 비행장에서 활용하는 제어관련 프로그램도 개발하였다. 북한에서는 아직 인터넷을 정책적으로 수용하지 않고 있으나 인트라넷, 방화벽, 통신망 보안 등과 관련된 연구를 많이 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머지않아 인터넷이 들어가리라 여겨진다. 목 차 1. 머리말 2. 북한의 정보통신기술 개관 2.1. 정보기술 정책 2.2. 하드웨어 현황 2.3. 소프트웨어 현황 2.4. 통신기술 현황 3. 소프트웨어기술 동향 3.1. 연구개발 기관 3.2. 소프트웨어 제품 4. 북한의 정보통신망 4.1. 통신시설 현황 4.2. 인터넷 현황 4.3. 국내 컴퓨터망 설치 운영 5. 맺음말 6. 참고문헌

2002-03-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