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향

리포트

리포트는 KOSEN 회원님들이 작성하는 최신연구동향 보고서입니다.
국내외 연구기관에서 발간하는 최신 동향보고서를 제공합니다.

전체 46913

글쓰기
전체 46913
글쓰기


The BRIDGE (NATIONAL ACADEMY OF ENGINEERING) 스크랩

  • 강지훈 강지훈
  • |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
  • 과학기술과 인문사회

이 자료는 보안 문서로 등록이 되어 있습니다. 문서를 열람하시기 원하시는 분은 다음의 사용자 암호를 입력하신 후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사용자 암호 : www.kosen21.org - Getting the most out of information technology - The digital dilemma - Wiretapping the net - NAE news & notes - Great achievements and grand challenges - A 21st century renaissance - Digits of Pi: Barriers and enablers for women in engineering - The quest to replace antipersonnel landmines - A glimpse into the DOD S&T program - A white paper on the defense against ballistic missiles - Renewal of the military-service laboratories - Changing Global and social determinants for nuclear power - Technology, safety, human resources, and nuclear power - Economic determinants and the role of industry in the future of nuclear power - Nuclear power for the 12st century

2002-02-19


Going Underground for Testing, Characterisation and Demonstration 스크랩

  • 강지훈 강지훈
  • |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

This Technical Position Paper has been prepared in order to provide a compilation, in an international perspective, of information on underground testing facilities for the deep disposal of high-level and/or long-lived radioactive waste. It is based on the results of a questionnaire that was sent out to the national organisations (implementing agencies, regulatory authorities, Research & Development institutions) represented within the SEDE (the NEA Co-ordinating Group on Site Evaluation and Design of Experiments for Radioactive Waste Disposal) and represents their views on the subject, together with input from other recent commentaries and reviews of the use of underground facilities for the deep disposal of high-level and/or long-lived radioactive waste. The Position Paper is aimed at being beneficail to technical decision-makers in helping them in planning underground programmes, so that the best use can be made of existing and planned underground facilities. It concentrates on potential future uses of existing and planned underground facilities by analysing strategic and programmatic aspects, the regulatory framework in which to view the future uses of underground testing facilities, and the link with the overall dicision-making process in the stepwise approach to repository development. In particular, it reviews the possible requirements for further work after nearly 30 years of in situ activities and assesses the relationships and contrasts between underground facilities where generic R&D takes place and those located at proposed disposal sites.

2002-02-18


영국 나노기술의 산업 응용 가능성 스크랩

  • 이성재 이성재
  • |
  • 미등재기관
  • |
  • 과학기술과 인문사회

1.자료명:OPPORTUNITIES FOR INDUSTRY IN THE APPLICATION OF NANOTECHNOLOGY(영국) 2.대표저자 : Professor Graham J Davies, General Manager, Technology Acquisition, BT Group Technology 3.출판사 : web 상의 문서입니다. (http://www.nano.org.uk/contents.htm) 4.내용소개 : 영국의 NT 분야는 불확정성 시대의 절대적인 핵심기술이며 10-20년 후에는 영국산업 분야에 영향을 미칠 것임에 분명하다. 저자는 NT분야 적용기술이 미국, 일본, 유럽에서 잠재적 시장 기술로 되면, 가까운 장래에 전 산업분야에 중요성을 공감하는 데는 반론의 여지가 없다고 한다. 영국이 이런 도전적인 기술에 경제적 비용 투자와 인력 개발 관리 부분과 연구개발비용 측면을 다루는데 어떻게 대처할 지를 소개하고 있다. 내용에는 NT의 중요성 소개와 화학,측량,전기,자동차산업,에너지,재료,광학,전자,정밀산업,인간과 관련된 산업(생물,식품,의약)과의 NT의 적용 부분을 기술하고 NT의 사회적 환원과 시장성을 위한 재정지원을 부분적으로 다루고, NT의 문제점도 일부 표현하였다. 마지막의 NT의 영역을 영국의 산업분야별로 세밀하게 응용성을 나타낸 것은 재미있는 표로 보여진다. 이 보고서는 이제 NT가 우리 생활 전반에 획기적인 변화를 가져올 새로운 시대에 직면한 우리들의 하나의 상식기술로 되기에 일반인들도 쉽게 이해할 필요가 있어 추천한다. 분석자 서문 : 이 보고서는 나노기술이 어떻게 산업 전반에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고찰을 목적으로 작성된 것이다. 나노기술은 과학자들의 연구노트에 기록된 사장된 이론이 아니고 그 응용이 현재 진행 중이며 가까운 미래에 산업전반에 걸쳐 엄청난 파급효과를 몰고 올 기술이다. 미국, 일본, 유럽에서는 이미 그 중요성을 인식하여 국가가 나 지원을 하고 있다. 영국은 전통적으로 기초과학이 튼튼한 대학들이 많아 나노기술 연구에 적합한 토양을 갖추고 있다. 그러나 한정된 재원으로 효과적이고 빠르게 나노기술을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우선 여러 나노 산업분야를 고찰하고 어느 분야에 집중 투자해야 하는가를 생각지 않을 수 없다. 이 보고서는 나노기술이 응용될 수 있는 산업 분야를 체계적으로 분류, 기술하였다. 이런 분류는 영국의 어떤 산업분야가 나노기술과 결합되었을 때 국제경쟁력이 있는가에 대한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이 보고서에서는 센서, 가상현실, 촉매작용, 화학, 나노측정, 나노전자기술, 자동차산업, 나노기술과 에너지, 재료, 생명공학, 광섬유 통신시스템 등 여러 분야에 걸쳐 현재 기술과 미래의 나노기술이 결합된 신기술 소개와 그에 따른 응용가능한 적용분야를 각 분야별로 소개하였다. 2 장에서는 나노기술에 대한 간단한 소개를 하였다. 3장에서는 여러 분야에 대해서 나노기술과 결합된 신기술을 소개하고 그 기술이 앞으로 경제에 미칠 효과에 대해 분석하였다. 4장은 각국의 나노기술 현황이며 마지막으로 5장은 맺음말이다. 이 자료의 분석은 Iowa State University의 Ames Laboratory에 계시는 이성재박사님께서 수고해 주셨습니다. 궁금하신 점은 박사님께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e-mail : sjlee430@yahoo.com 첨부 .application of nanotechnology - Lee seongjae.pdf 원문은 관련 URL을 보시기 바랍니다.

2002-02-18


REVIEW OF THE CURRENT STATUS, ACTIVITIES AND FUTURE OF EXISTING BIOLOGICAL RESOURCE CENTRES 스크랩

  • 강지훈 강지훈
  • |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
  • 과학기술과 인문사회

This paper was discussed by the Working Party on Biotechnology (WPB) in February 2001 and subsequently declassified by the Committee for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Policy (CSTP). This paper was prepared by Dr. Mark J. Bailey, Institute of Virology and Environmental Microbiology, Oxford, United Kingdom, at the request of the WPB Task Force on Biological Resource Centers. It is a background report which has provided important, up-to-date information for the main report "Biological Resource Centers : Underpinning the Future of Life Sciences and Biotechnology".

2002-02-18


호주의 나노기술 - 2001/4월 워크샵 보고서 스크랩

  • 윤석민 윤석민
  • |
  • 미등재기관
  • |
  • 과학기술과 인문사회

1. 자료명: Nanotechnology in Australian Industry 2. 저자: Department of Industry, Science, and Resources (Australia) 3. 출판사: Australian Government 4. 출판날짜: April 2001 5. 내용소개: 이 자료는 2001년 3월 30일 호주의 시드니에서 개최되었던 나노기술 워크샵의 보고서이다. Department of Industry, Science, and Resources의 Advanced Manufacturing Section과 Commonwealth Scientific and Industrial Research Organization (CSIRO)이 이 워크샵을 주최하였다. 대학, 산업계, 연구소 등에서 70 여명이 워크샵에 참여하여 나노기술의 산업응용을 위한 방안을 논의하였다. 호주 나노기술 산업의 동향과 전망을 파악하는데 유용한 참고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6. 목차: 1) Introduction 2) Background 3) Executive Summary 4) Section 1 5) Section 2 분석자 서문 : 이 보고서는 상공자원부 협찬으로 호주 시드니에서 개최되었던 하루 동안의 워크샵에서 토의되었던 내용을 정리한 것이다. 워크샵에서는 호주의 나노산업에 대해 거론되었는데, 현재 호주 나노산업의 강점과 단점 , 그리고 앞으로 호주의 나노 산업을 발전시키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에 대한 추천 항목들이 추려졌다. 4명의 초빙인사가 연사로 참석, 워크샵을 이끌었는데 이들의 이름, 소속 및 직위는 이 보고서 마지막에 첨부되어 있다. 호주의 나노산업은 반도체 산업이 매우 발달한 한국에 비해 뒤처져 있어서 이 보고서에서 논의되거나 건의된 사항이 한국 실정에 꼭 맞는 것은 아니지만 한국이 상대적으로 뒤져 있는 바이오 나노 산업 등에 관한 논의 사항과 건의사항은 한국의 정책결정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이 자료의 분석은 Lam Research Corporation의 윤석민박사님께서 수고해 주셨습니다. 궁금하신 점은 박사님께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e-mail : smyun@ferp.ucsd.edu 첨부 .Nano in Australian Industry - Yoon seockmin.pdf 원문은 관련 URL을 보시기 바랍니다.

2002-02-15


자동차 응용을 위한 수소저장 재료의 기술현황과 전망 스크랩

1. 자료명: Hydrogen-Storage Materials for Mobile Applications 2. 저자: L. Schlapbach and A. Zuttel 3. 출판사: Nature 4. 출판날짜: 2001년 11월 5. 내용소개: 2002년 1월 부시 행정부는 외국산 원유에 대한 의존성이 낮추기 위한 에너지 정책의 하나로 Freedom CAR (Cooperative Automotive Research)라는 자동차 연구 프로그램을 발표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클린턴 행정부 시절부터 운영되어 오던 Partnership for a New Generation of Vehicles (PNGV) 프로그램을 대체하게 된다. Freedom CAR는 수소를 주연료를 이용하는 전기 자동차 개발에 초점을 맞추고 있어 수소저장 재료에 대한 관심이 더욱 고조되고 있다. 이 자료는 네이쳐지 최근호의 특집기사로, 자동차 응용을 위한 수소저장 재료의 기술개발 현황과 전망을 리뷰논문 형식으로 보고하고 있다. 국내외의 수소저장 연구개발 관계자들에게 유용한 참고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6. 목차: - Introduction - Conventional Hydrogen Storage - Hydrogen Adsorption on Solids of Large Surface Area - Hydrogen Storage by Metal Hydrides - Alanates and Other Light Hydrides - Visions for the Future 분석자 서문 : 석유파동 이후 본격적으로 시작된 대체에너지에 대한 연구는 화석연료의 고갈과 이의 대체개념으로 출발하였으나, 화석연료의 지속적 사용에 의한 환경오염과 지구온난화 등의 문제로 그 필요성이 점증되고 있다. 수소는 신재생에너지로부터 쉽게 얻어질 수 있는 에너지 매체이며, 석유나 천연가스 등의 화석연료를 대체할 수단으로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동안 자동차 연료분야에서도 수소의 사용이 검토되고 연구되었다. 내연기관을 이용한 수소자동차는 70년대부터 개발이 이루어져 액체수소, 고압수소, 수소저장합금을 이용한 수소저장 기술 등으로 수소자동차가 제작되었으나, 그 어느 것도 가솔린이나 디젤의 연료저장 수단에 필적하는 안전성, 경량성, 취급의 용이성을 확보하지는 못하고 있다. 최근 연료전지 기술의 개발이 급진전되어 이를 자동차에 적용하려는 연구가 자동차 제조회사를 중심으로 추진되고 있다. 2002년 1월 미국이 Freedom CAR (Cooperative Automotive Research)라는 자동차 연구 프로그램을 발표하였는데, 이는 수소를 주연료로 이용하는 연료전지 자동차 개발에 초점을 맞추고 있어 수소저장 재료에 대한 관심이 더욱 고조되고 있다. 아래 논문에서는 기존의 수소 저장방법에 대하여 분석하고, 내연기관 수소자동차보다 2배 이상의 연료효율을 갖는 연료전지 자동차에서 필요로 하는 2∼4kg의 수소를 효율적으로 저장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방법을 검토하였으며, 미래에 이용이 가능한 혁신적인 수소저장 물질에 대한 최근의 연구내용과 그 전망을 밝히고 있다. 이 자료의 분석은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에 계시는 심규성박사님께서 수고해 주셨습니다. 궁금하시 점은 박사님께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e-mail : kssim@kier.re.kr 첨부 .Hydrogen-Storage Materials - Shim kyuseong.pdf 원문은 관련 URL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2002-02-15


U.S. NUCLEAR REGULATORY COMMISSION NEWS RELEASES 스크랩

  • 강지훈 강지훈
  • |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

- NRC announces availability of license renewal applications for catawba, mcguire - NRC monitors ammonia leak near waterford 3 nuclear plant - NRC approves guidance documents for license renewal - NRC to meet with nuclear fuel services to discuss apparent violation of NRC requirements - NRC to meet with proposed mixed oxide fuel facility applicant to discuss NRC requests for additional information - NRC plans additional inspection at oconee nuclear power plant due to multiple performance deficienceis - NRC to meet with public on july 31 to discuss use of risk information in regulating nuclear waste and materials - NRC to meet with public on july 31 to discuss use of risk information in regulating nuclear waste and materials - NRC holds public meetings at global nuclear fuel plant august 7 to discuss plant performance and revised NRC oversight program - NRC advisory committee on nuclear waste elects chairman and vice chairman

2002-02-14


베트남 및 싱가폴 과학기술 및 인력개발 관련조사 스크랩

  • 채우철(null / null)
  • |

이 자료는 보안문서로 등록이 되어 있습니다. 문서를 열람하시기 원하시는 분은 다음의 사용자 암호를 입력하신후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사용자 암호 : www.kosen21.org 21세기 지식기반 경제를 맞이하여 비록 국가경제발전의 수준에 차이는 있긴 하지만 베트남 및 싱가폴 두 국가는 자국의 과학기술인력을 적극적으로 육성시킴으로써 국가경쟁력을 창출하기 위한 정책을 추구하고 있다. 특히, 베트남 사람들은 아직까지 경제성장이 우리나라에 비하여 뒤쳐져있기는 하지만, 그들의 근면성, 교육수준 및 정부의 인력양성 정책 등을 고려해 볼 때 향후 엄청난 성장잠재력을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우리도 21세기를 대비하여 과학기술 양성 및 창조적 인력육성을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 같다.

2002-02-14


Study on Environmental Reporting by Companies 스크랩

  • 윤영곤 윤영곤
  • |
  • 미등재기관
  • |
  • 지구과학(지구/대기/해양/천문)

1) 자료명 ; Study on environmental reporting by companies 2) 저자 ; Kathryn Jones at Centre for Environmental Informatics, University of Sunderland 3) 출판사 ; European Commission, DG XI 4) 출판년도 ; 1999년 5) 내용소개 ; 최근들어 기업 환경회계 및 환경보고는 투자자, 정부, 사회조직등 기업의 주요 이해관계자에게 큰 영향을 끼침으로써 기업경영에 큰 이슈로 등장하고 있다. 본 보고서는 EU내 기업들의 연차보고서 및 재무보고서상의 환경정보를 분석하여 이들의 비교가능성 및 연관성을 찾아내고 이에 대한 Best Practice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 보고서는 또한 기업환경정보 공개의 비교가능성, 유용성 및 신뢰성을 증진하기 위한 제안사항을 담고 있다. 6) 목차 ; 1- Executive Summary 2- Introduction 3- Methodology 4- Introduction to Environmental Information in the Annual/Financial Report 5- Environmental Information in the Annual Report 6- Environmental Information in the Financial Report 7- Questionnaire Responses and Forum Discussions 8- Discussion and Recommendations 9- Reference and further reading 분석자 서문 : 투자자, 정부 그리고 국민들 사이에 기업들의 환경개선을 위한 노력과 성과가 재무적 측면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관심이 증폭됨에 따라 환경에 관한 회계와 리포팅이 중요성을 더해가고 있다. 연간 리포트와 재무 리포트는 기업의 활동, 발전 그리고 미래 계획에 대해 주주들이 정보를 얻는 주된 통로로서 EFFAS의 연구에 따르면 실제로는 단지 소수의 투자자들만이 기업의 환경 정보에 근거해서 결정을 내리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는 환경 정보에 대한 기준이 확립되지 않았고 이 정보를 해석하는 분석기준도 모호하기 때문이다. 이 문제에 대해1995년 Accounting Advisory Forum에 의한 ‘재무 보고에서의 환경 이슈’에서는 환경 재무정보의 정의, 측정, 그리고 세부사항을 제시하였고 (원문Appendix D 참조), EUROSTAT도 산업체의 환경보호를 위한 지출 관련 정의를 발표하였으며 (원문Appendix C 참조), 이외에도 1998년 United Nation은 ‘기업 차원에서의 환경 재무회계와 리포팅’이란 안내서를 발간하였다. 이 보고서는 이러한 추세에 맞추어 기업의 연간/ 재무 리포트에서 환경 데이터와 관련된 분석 및 수입/비용을 평가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다시 말해 이 연구의 목적은 연간/ 재무 리포트에서 제시하는 환경정보의 표준화와 함께 비교연구를 가능케 하기 위한 데이터 분석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 보고서는 방대한 자료를 바탕으로 체계적으로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그 가치가 크다 하겠다. 참여 기업의 선정에서 분석에 이르기까지 일관된 연구 목적을 위해 분석을 행하고 있는데 특히 설문조사와 포럼 토론을 통한 Cluster Analysis 기법은 중요한 분석 근거를 제시하고 있다. 또한 20개에 이르는 제안사항을 데이터를 바탕으로 하여 제시함으로써 기업의 정책결정과 표준화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단, 이 보고서에서도 지적한 바와 같이 사용되는 용어에 대한 기술적 연구가 미흡하고, 연구를 수행함에 따른 문제점, 특히 기업간의 환경 차이를 극복하는 방안 분석 등이 미흡하다. 그리고 특정 지표선택에 따르는 근거와 더불어 윤리적, 사회적 정보와 환경 정보의 통합에 대한 연관성 설명 부족 등이 지적될 수 있지만, 전반적으로 기업의 보고에 환경 이슈를 도입함으로써 정책 결정의 주요 근거를 제공할 수 있는 좋은 보고서라 평가될 수 있다. 이 자료의 분석은 University of New South Wales에 계시는 윤영곤님께서 수고해 주셨습니다. 궁금하신 점은 윤영곤님께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e-mail : y-yoon@adfa.edu.au 첨부 .Environmental Reporting- Yoon younggon.pdf .Environmental Reporting - original 1.pdf .Environmental Reporting - original 2.pdf

2002-02-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