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향

리포트

리포트는 KOSEN 회원님들이 작성하는 최신연구동향 보고서입니다.
국내외 연구기관에서 발간하는 최신 동향보고서를 제공합니다.

전체 46913

글쓰기
전체 46913
글쓰기

실리콘- 게르마늄(SiGe) 기술을 '이종접합 양극성 트랜지스터 (HBT)' 생산에 적용하기 스크랩

  • 김상훈 김상훈
  • |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
  • 전기/전자

1. 자료명: SiGe heterojunction bipolar transistors (HBT) 2. 저자: Mark D. Dupuis외 6인 (IBM Microelectronics Division) 3. 출판사: Micro Magazine.com 4. 출판날짜: 2001년 7/8월 5. 내용소개: 본 자료는 반도체 관련 기술중에서 공정제어, 수율향상, defect 저감기술 등에 주로 중점을 두는 Micro magazine에 수록된 article이다. 저자들은 IBM의 Microelectronics division의 연구원들이며 내용은 silicon을 기반으로하는 transistor와는 비교할 수 없는 초고속의(100 GHz정도) transistor를 실현하는 silicon과 germanium의 합금을 이용한 차세대 이종접합 양극성 transistor (HBT: heterojunction bipolar transistor)를 소개하는 것이다. SiGe HBT 연구에 가장 앞서 있는 IBM에서 작성한 article로 SiGe HBT 생산에 관련되는 최신 기술 동향을 볼 수 있는 자료이다. 5. 목차: Depositing SiGe Using Low-Temperature Epitaxy SiGe BiCMOS Process Integration SiGe HBT Device Yield Additional Technology Components Conclusion 분석자 서문 : 실리콘-게르마늄(SiGe)은 대표적인 반도체 재료인 실리콘(Si)에 게르마늄(Ge) 을 첨가해 만든 화합물 반도체이다. SiGe의 가장 큰 특징은 지금까지 값비싼 갈륨비소(GaAs) 반도체 만이 가지던 고주파 동작 특성을 가지면서도 전력 소모가 적으며, 기존의 실리콘 공정을 이용할 수 있어 저가로 생산될 수 있다는 점이다. 아직 본격적으로 실용화가 되지는 않았지만, 이미 이동 통신용 1∼10㎓대역 고주파 반도체 시장의 GaAs반도체가 대체되고 있고, 빠른 속력으로 고주파 반도체 시장이 SiGe 반도체로 대체될 것이다. SiGe기술은 1982년 부터 IBM이 처음 개발을 시작, 90년대 말에 상용화에 성공하였고, 그 사이 독일 Siemens나 일본 Hitachi등 몇 개 기업들이 원천기술을 확보하여 지금은 전세계적으로 상용화 경쟁이 붙고 있다. 한국에서도 전자통신연구원(ETRI)의 원천기술을 중심으로 몇몇 벤처 기업과 삼성, 하이닉스 등이 경쟁에 나서고 있다. 이 논문은 IBM이 SiGe 반도체를 개발하고 대량생산을 해오면서 확립한 공정에 대한 간단한 소개와 앞으로의 전망을 다루고 있다. 따라서 소자의 물리현상을 설명하기 보다는 공정상 구체적 문제점이나 소자 특성 등을 다루었다. 본문의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트랜지스터의 기본 구성과 원리, 반도체 공정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이 요구된다. 이 자료의 분석은 독일 Fritz-Haber-Institut der Max-Planck-Gesellschaft에 계신 김상훈님께서 수고해 주셨습니다. 궁금하신 점은 김상훈님께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e-mail : ginnre@yahoo.com 첨부 .Implementing SiGe technology - Kim sanghoon.pdf

2002-01-28



Commercial Remote Sensing by Satellite: Status and Issues 스크랩

  • Richard Rowberg
  • |
  • 전기/전자

This report presents a review of the current commercial remote sensing industry including the current status of the industry and an analysis of key issues that are likely to affect its future. It provides a description of the technology of satellite remote sensing followed by a review of the history of its development. It examines three areas that encompass most of the important issues relating to the industry's development: the commercial market potential and the role of the federal government as a purchaser and provider of remote sensing images; national security concerns about commercial remote sensing satellites; and federal regulation of the industry. Finally, the report presents a discussion of policy considerations.

2002-01-24


The Partnership for a New Generation of Vehicles: Status and Issues 스크랩

  • Brent D. Yacobucci
  • |
  • 과학기술과 인문사회

The Partnership for a New Generation of Vehicles (PNGV) is a cooperative research program between the federal government and the "big three" American automakers, Ford, DaimlerChrysler, and General Motors. It is financed by private contributions and the re-channeling of research funds for ongoing federal programs. The partners agree to share research responsibilities and achievements. The goals of the program are to improve domestic manufacturing capabilities and to develop prototypes of a mid- sized family car with three times the fuel economy of a comparable 1994 model. This report provides background information on the program and discusses the program's status.

2002-01-24


*대체 청정에너지로서 바이오디젤의 현황과 전망 스크랩

  • 김재남 김재남
  • |
  • 무소속
  • |
  • 지구과학(지구/대기/해양/천문)

요약문 : 세계대전 이후 구미 각국은 활발한 기술개발과 경제의 고도 성장으로 대량생산, 대량소비의 시대를 구가하였다. 중동국가의 석유 무기화 정책으로 경제개발초기의 우리와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의 타격을 받은 선진국은 절약사회로의 전환이라는 커다란 페러다임의 변화를 겪게 되었다. 에너지절약산업기술 개발과 대체에너지 개발에 주력하게 되었으며, 각국은 가장 대체가 어려운 운송분야의 유동성 연료개발에도 주력하여 1990년대 초반에 공정개발이 완료되었고 상용화가 이루어지는 시점이었다. 이같은 절약사회로의 의식전환은 환경문제의 심각성을 일깨우게 되었으며, 1992년 리우환경회의와 1997년 교토협약 이후 공해물질 규제와 이산화탄소의 배출량을 저감하는 재생산성 순환 에너지원인 바이오연료에 대하여 관심이 집중되었다. 특히 전세계 수송차량의 30% 이상을 처리하며 동시에 50% 이상의 공해를 발생시키는 디젤차량에 대한 청정 대체연료인 바이오디젤의 개발과 사용은 대체에너지 분야의 중심이 되었다. 유럽의 실질적인 대체에너지의 생산의 70% 이상을 점유하는 바이오디젤은 1993년 프랑스에서 3만톤의 상용공장이 가동된 이후 고도의 성장을 기록하며 현재 연간 120만톤 이상이 사용되어지고 있고, 각종 정책지원으로 2010년도까지 유럽에서 사용하는 전체 디젤연료의 12%를 대체하려는 정책이 수립되었다. 식물성 오일과 알코올을 반응시켜 만드는 바이오디젤은 기존의 경유와 물성이 동일할 뿐만 아니라 분자내에 산소를 포함하고 있어, 기존엔진의 어떠한 변경 없이 경유와 혼합하여 사용하며, 20%를 섞는 경우 20∼30%의 공해 감소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바이오디젤의 사용량의 증대는 주요 사용처인 도심의 대기환경 개선과 더불어 바이오디젤의 1톤당 2.2톤의 CO2를 저감할 수 있는 일석이조의 효과를 내고 있다. 이러한 바이오디젤의 생산과 보급은 한국의 경우에도 필수적인 선택이라는 분위기가 성숙되고 있다. 정부는 대체에너지 개발 및 이용보급 촉진법을 제정하여 개발을 권장하고 있으며, 국책연구소와 기업이 함께 참여하여 최첨단 공정 개발에 성공하여 바이오디젤의 상용화를 눈앞에 보고 있다. 또한 환경부에서는 바이오디젤의 국내 보급정책을 채택하여, 전국적인 사용을 권장함으로써, 심각한 도심 공해문제 해결과 CO2 저감을 동시에 이루려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러나 빠른 진척에 따른 일부의 이해부족으로 바이오디젤의 상용화가 지연되고 있는 실정에 있다. 바이오디젤의 보급의 선택은 선진국에서도 개발이 완료되어 가고 있는 분야로서 기술종속이 예견되는 시점에서 볼 때 산업적으로도 더 이상 늦출 수 없는 사안일 것이다. 더욱 강력하게 첨단 공정을 개발하도록 촉진함으로써 국내 자력보급 여건을 마련하고, 수출 상품화를 이룩하고 나아가 아시아 바이오디젤 시장을 선점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해야 한다. 한편 바이오디젤은 국가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는 어려워지는 농업경제에 이바지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줄 수 있다. 늘어나는 유휴지에 대체작물재배로 인한 농작물의 가격폭락을 막을 수 있는 방법으로써 바이오디젤의 대량수요가 발생하는 유지식물을 경작하여 국제가격으로 수매함으로써 농민과 산업체의 공동이익을 추구할 수 있으며 유채와 같은 겨울재배 식물은 현재 겨울재배를 하지 않는 경기 남부의 농지에 2모작으로 다량 재배함으로써 수십만 톤의 바이오디젤 원료 확보와 동시에 에너지원 식물의 재배에 따른 ha당 7톤 이상의 CO2 저감을 국가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이점을 얻을 수 있다. 마지막으로 폐기물 재활용 측면에서 약 20만 톤 가량 자연에 버려지는 폐식용유의 수거와 공정처리를 통하여 바이오디젤로 생산을 유도함으로서 토양 및 수질오염을 막고 연간 천억원대의 에너지 비용절감과 40만 톤 이상의 CO2 저감을 달성할 수 있는 가능성을 바이오디젤을 통하여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자료는 유정우 박사님께서 작성해 주신 자료입니다. 궁금하신 점은 유정우 박사님께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e-mail : jwyoo@wanadoo.fr 첨부 .Biodiesel - Yoo jeongwoo.pdf

2002-01-24


CGIAR NEWS(JULY 2001) 스크랩

  • 강지훈 강지훈
  • |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

In This Issue - South Africa hosts Mid-Term Meeting - GCIAR Website Sports New Look - IRPRI's 2020 Vision Conference - Biotechnology Conference - Bangladesh Emerges as Leading Grower of Lentils - WARDA's Research Wins Praise - South Africa Day - South-Africa CGIAR Partnership - Climate Change Poses Risks to Poor Farmers - CGIAR Chairman Visits ICRISAT - Special Symposium on Sub-Saharan Africa - Durban Statement - CGIAR Internal Auditors Meet - New Center Directors Appointed - CGIAR Program of Seminars - CIAT Joins CONDESAN - China-CGIAR Partnership Strengthens - IBSRAM-IWMI Research Programs Merge - Announcements

2002-01-23



2001 Report : Fiscal Year 2000 Performance Report 스크랩

  • 강지훈 강지훈
  • |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
  • 과학기술과 인문사회

The Coast Guard has identified 16 performance goals in support of these strategic goals to help us measure our progress. Based upon our FY00 results and our long term performance trends, we have identified performance targets for FY02. These targets are discussed in detail in our performance plan. The U.S. Coast Guard's FY02 budget, which was developed in support of the United States Coast Guard's FY02 budget, which was developed in support of the United States Coast Guard's strategic plan, will enable us to improve our performance and further our ability to meet our strategic goals. A discussion of our performance results can be found later in this document. FY00 Performance Report / FY02 Budget in Brief - Budget Highlights - Service to America - Maritime Safety - Maritime Security - Protection of Natural Resources - Maritime Mobility - National Defense - Annual Performance Goals - Budget in Brief

2002-01-23


재불과협학술지(Volume 25, Number 2) 스크랩

  • 유정우
  • |
  • 과학기술과 인문사회

[기술논단] 유정우 세계의 바이오 연료 개발 현황 구재봉 Sensor Development by Siemens Automotive Sensor Division [논문] 서영진 Environmental impacts of municipal wastewater sludge treatments S. Akatimagool, D. Bajon, H. Baudrand Modeling of IC's elements on multilayered substrates with wave concept interactive procedure(WCIP) application to spiral inductors 유정필 Sensitivity Analysis of OFDM systems on the frequency perturbation 최영국, M.Salvia Processing and Modelling of Adaptative Glass/Epoxy Laminates with embedded Shape Memory Alloys wires 홍문근 MESURE PAR UNE SONDE OPTIQUE DE JETS LIQUIDE-GAZ DANS L'ATOMISATION PRIMAIRE L. Franck, F.Potorti GaliLEO : a simulation tool for LEO satellite constellations 변정수, A. Gabillon Implementation of a Local Timestamp System : A new approach 고병설 Recrutement des populations en milieu naturel : capacite de selection du substrat par les larves de polychetes

2002-01-22


인간과 컴퓨터 상호작용에서의 감정 인식 스크랩

분석자 서문 : 이 논문은 인간과 컴퓨터 상호작용에서 앞으로 중요한 문제가 될 인간의 감정(emotion, 정서) 상태 인식에 관련된 제반 연구와 시도들을 조사, 분석한 것이다. 감정의 인식은 패턴인식 중에서도 매우 어려운 분야인 만큼 뒷받침 되어야 하는 연구분야도 매우 다양하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심리학, 언어학, 신경생리학, 생물학, 컴퓨터학 등 광범위한 관련 분야의 현재 연구자료와 실험결과들을 소개하고, 그 결과 최소한의 감정 용어들의 목록부터 체계적으로 파악되어야 함을 근본적 요구사항으로 지적하고 있다. 전반부에서는 감정들을 분류하고 기술(describe)하려는 시도들을 소개하고, 감정을 알 수 있는 열쇠가 되는 ‘말(speech)’을 분석하는 연구들과 ‘얼굴’을 통한 감정 인식 연구들을 소개한다. 끝으로, 이 분야의 연구를 위해서는 앞으로도 많은 자료수집이 필요한데 현존 자료는 그 타당성 검증이 미흡하므로 앞으로 갖춰져야 할 자료들에 대한 요구사항도 제시되고 있다. 원문에서는 기존 연구자료의 감정상태 목록 등 다수의 도표를 포함하고 있으나 요약문의 성격상 수록할 수가 없으므로 구체적 자료에 대해서는 원문을 참고하기 바란다. 많은 도표들에도 불구하고 워낙 여러 분야의 방대한 연구를 섭렵하여 쓰여진 글이므로 추상적인 기술이 군데군데 눈에 띄어 심층 이해에는 어려운 부분도 있다. 따라서 인간의 감정인식을 다루는 현재의 연구들과 향후 방향에 대한 대략적이고 전반적인 지식을 취득하는 것을 목표로 이 자료를 읽는 것이 타당하겠다. 서문 끝에 언어학, 생리학 분야의 전문지식에 관계된 용어들이 다수 등장하므로 이 분야 전문가가 아닌 분석자의 용어선택이 다소 어색할 수 있음을 미리 양해를 구한다 이 자료의 분석은 세종대학교에 계신 남양희 교수님께서 수고해 주셨습니다. 궁금하신 점은 교수님께 문의 하시기 바랍니다. e-mail : yanghee@acm.org 첨부 .Emotion Recognition - Nam yanghee.pdf 원문은 여기를 보시기 바랍니다.

2002-0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