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향

리포트

리포트는 KOSEN 회원님들이 작성하는 최신연구동향 보고서입니다.
국내외 연구기관에서 발간하는 최신 동향보고서를 제공합니다.

전체 46913

글쓰기
전체 46913
글쓰기

구조물 수명연장, 보수·보강방안 관련 국제학술회의 참석 및 차세대 원전 구조물의 장기안전성확보 관련 기술협의 스크랩

  • 이계현(null / null)
  • |
  • 건설/교통

이 자료는 보안문서로 등록이 되어 있습니다. 문서를 열람하시기 원하시는 분은 다음의 사용자 암호를 입력하신후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사용자 암호 : www.kosen21.org 구조물 수명연장, 보수·보강방안 관련 국제학술회의는 토목 및 건축구조물의 안전성 증진을 위해 매 2년마다 열리는 국제적인 학술회의로 금년도가 9차에 해당된다. 해당주제에 3일간의 연구 논문 발표와 함께 토목 및 건축구조물의 장기 안전성확보를 위한 최신 기술을 전시하는 전람회로 구성되어 있다. 이번 학술회의는 교량의 안전성 평가, 콘크리트 및 합성구조물의 안전성 평가, 빌딩 및 토목구조물의 안전성평가 등 3개의 Session하에서 약 230여편의 논문이 발표되었으며, Hilti, Freyssinet, Fugro 등 토목구조물 관련 50여 유수회사의 장비전시 및 설명이 있었다.

2001-11-21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NIH) Update on Existing Human 스크랩

  • 강지훈 강지훈
  • |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

* 웹문서 자료입니다. Contents ◆ Stem Cell Research ◆ What do we know about existing human embryonic stem cell derivations? ◆ What do we know about the deriv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human embryonic stem cells? ◆ How is the NIH implementing the President's decision? ◆ What are the technology transfer issues relevant to NIH-funded investigators gaining access to human embryonic stem cells? ◆ What happens next?

2001-11-21


6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Document Analysis and Recognition 스크랩

  • 김상선 김상선
  • |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
  • 정보/통신

학회개요 : ICDAR 학회는 문서 분석 및 문자 인식을 주제로 하는 모임이다. 문서 영상의 이미지 처리, 패턴인식, 문서 구조분석, 자연어 처리 등이 포함된다. 올해에는 32개국에서 297편의 논문이 접수되었고 이 중 143편의 구두 발표 논문과 93편의 포스터 발표 논문이 채택되었다. 구두 발표는 나흘동안 3개 track에서 이루어졌다. 이번 학회의 전반적인 경향은 문자인식을 이용한 실용적인 시스템의 개발에 관한 것이었다. 전자펜으로 필기한 온라인 문자 인식 시스템의 개선, 전자 도서관을 위한 OCR 시스템, 우편 자동화를 위한 주소인식 및 처리 시스템, 신문 영상의 영역 분할, 수식 인식, 서명 인증에 관한 논문들이 주로 발표되었다. 이 학회의 보고서는 KAIST 전산과에 계시는 조성정님께서 수고해 주셨습니다. 궁금하신 점은 조성정님께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e-mail : sjcho@ai.kaist.ac.kr 첨부 .ICDAR2001- Cho seongjeong.pdf

2001-11-20


The 19th International Conference of System Dynamics Society 스크랩

  • 윤영곤 윤영곤
  • |
  • 미등재기관
  • |
  • 정보/통신

학회개요 : 제 19회 시스템 다이너믹스 국제 컨퍼런스가 2001년 7월 23일부터4일동안 미국 아틀란타에서 개최되었다. 이 컨퍼런스에는 전세계로부터 약 400명의 시스템 다이너믹스(System Dynamics) 전문가들이 참석, plenary sessions, parallel sessions, post sessions으로 나뉘어 일정이 전개되었다. 주요 분야로는 비즈니스, 경제학, 엔지니어링, 보건 그리고 system dynamics와 system thinking의 공공정책에의 적용, 피드백의 역할 강조 연구, 시뮬레이션 도구와 기술의 발전, 모델링 과정과 집단 모델 구축 (group model building), 사회과학과 자연과학 이론 정립에서system dynamics의 기여, 복잡한 비단선형 다이너믹스(complex nonlinear dynamics) 연구, 유치원-고등학교 그리고 대학에서의 system dynamics 교육재료와 방법의 발전 등이 집중적으로 논의되었다.그동안 다소 미흡했던 사회과학 분야에서의 발전이 특히 주목되었는데 이를 통해 종합학문적 접근이 가능하게 되었다. 특히 한국, 중국, 일본에서의 공공정책 및 사회과학적 분석이 진일보했음을 느낄 수 있었다.또한 다양한 워크샵이 진행되었는데 ‘Starting a System Dynamics Program in Your School for Students in Grades K Through 12’과 같은 초중고에서의 시스템 다이너믹스 도입 뿐만 아니라 ‘Ford Motor Company Enterprise Wide Advantage: A Study in Computer Based Simulations Applied at Ford Motor Company to Drive Business Process Transformation’과 같은 실용적인 적용은 이론적인 한계를 뛰어넘어 ‘현실 적용’이라는 본래의 취지에 부합하는 성과였다.이번 19회 시스템 다이너믹스 국제회의는 실제성, 미래성, 다양성 그리고 다학문성이란 면에서 크게 발전한 컨퍼런스였다. 이 학회의 보고서는 University of New South Wales에 계시는 윤영곤님께서 수고해 주셨습니다. 궁금하신 점은 윤영곤님께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e-mail : y-yoon@adfa.edu.au

2001-11-20


기술 위원회 회의 참석 스크랩

  • 윤영원(null / null)
  • |
  • 환경

이 자료는 보안문서로 등록이 되어 있습니다. 문서를 열람하시기 원하시는 분은 다음의 사용자 암호를 입력하신후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사용자 암호 : www.kosen21.org 회의 기간 중에는 총 15편의 논문이 소개되었으며, 필자도 한국의 가동원전의 안전성 현안과 이에 대한 규제기관의 대응 노력을 소개하는 "Regulatory Policy Strategy for Operating NPPs in Korea"라는 논문을 발표하였다. 필자의 논문에서는 4개의 주요 안전현안 즉, 원전의 노후화, 주기적 안전성 평가, 위험도 기준 규제 및 원전 규제검사를 다루었다. 금번 회이ㅡ에서 다루어진 논문의 내용은 첨부 2에 나타내었다. 참석자들은 대부분 원전 안전성에 대한 대중의 이해가 호전되어가고 있다는 점에 공감을 하였으며, 원전의 운전 및 안전 정보를 어떻게 효과적으로 대중에게 전달할 수 있는지를 토의하였다. 또한, 원전 안전에 대한 대중적인 지지 기반을 확충하기 위해서는 보다 폭넓게 관련 인사의 교육이 이루어져야한다는데 인식을 같이하였다. 이외에도 원전 안전에 대한 신뢰를 구축하는 방안으로 IAEA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며, 국가간의 상호협력체제를 구축하기 위한 IAEA의 지원이 필요하다는데 인식을 같이하였다.

2001-11-20


Stem cells : Scientific progres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스크랩

  • 강지훈 강지훈
  • |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

Contents Executive summary Chapter 1 : The stem cell Chapter 2 : The Embryonic stem cell Chapter 3 : The human embryonic stem cell and the human embryonic germ cell Chapter 4 : The adult stem cell Chapter 5 : Hematopoietic stem cells Chapter 6 : Autoimmune diseases and the promise of stem cell-based therapies Chapter 7 : Stem cells and diabetes Chapter 8 : Rebuilding the nervous system with stem cells Chapter 9 : Can stem cells repair a damaged heart? Chapter 10 : Assessing human stem cell safety Chapter 11 : Use of genetically modified stem cells in experimental gene therapies ※ 원문을 보실 수 없습니다.

2001-11-20


AAPS 2001 Annual Meeting and Exposition 스크랩

학회개요 : AAPS (American Associations of Pharmaceutical Scientists) 는 미국 약학 관련 업계와 학계 종사자들의 모임이다. 1986년에 설립된 이 학회는 약학 연구와 개발을 통해 인간 복지를 증진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현재 약 1만명 이상이 회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약학에 관한 모든 분야를 다루는 학회이기 때문에 자체 규모가 상당히 크다. 약학은 새로운 약물의 개발과 치료 방법 발견을 위해 다양한 분야의 과학을 접목시키는 분야이다. 따라서 이 학회에서 다루는 대표적인 분야는 다음과 같다. 약물의 개발과 설계(Drug Discovery and Design)에서는 새로운 약물의 합성과 설계를 다루며 의학, 화학, 생물공학 등의 분야가 여기에 포함된다. 약물 전달(Drug Delivery)은 약물을 효과적으로 원하는 장소, 시간에 전달하는 기술이며, 테이블렛, 주사제, 페취, 등이 대표적인 예이다. 이 분야에는 약학, 생물소재, 약물동력학 등이 포함된다. 약물 작용(Drug Action)은 약물이 살아있는 유기체에서 어떻게 동작하는가를 알아보는 분야로서 동물, 장기, 세포, 분자 수준에서 연구될 수 있다. 여기에는 약학, 약물동력학, 독성학, 생화학 등이 포함된다. 이번 학회는 미국 콜로라도 주 덴버 컨벤션 센터에서 10월 21일부터 25일까지 열렸다. 미국 테러 전쟁 중에 열린 학회여서 예년보다는 참석한 회원은 적었으나 많은 업계에서 다양한 전시회를 열었다. 덴버는 록키산맥의 지형적인 위치 때문에 정확히 해발 5280피트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학회 측에서는 높은 고도로 인한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수분을 많이 섭취하고 알코올, 카페인 섭취를 피하고 염분 섭취를 줄일 것을 권유했다. 참여한 전시회 업체수만 500개 이상이었고 3일간에 걸쳐 포스터 발표와 구두 발표가 이어졌다. 학 발표보다는 업체 발표가 주를 이루었다는 것도 이번 회의의 특징이었다. 이 학회의 보고서는 KAIST에 계시는 유혁상님께서 수고해 주셨습니다. 궁금하신 점은 유혁상님께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e-mail : hsyoo@bioneer.kaist.ac.kr 첨부 2001 AAPS - Yoo hyucksang.pdf

2001-11-20


Stem Cells : A Primer 스크랩

  • 강지훈 강지훈
  • |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

This primer presents background information on stem cells. It includes an explanation of what stem cells are; what pluripotent stem cells are; how pluripotent stem cells are derived; why pluripotent stem cells are important to science; why they hold such great promise for advances in health care; and what adult stem cells are. Recent published repots on the isolation and successful culturing of the first human pluripotent stem cell lines have generated great excitement and have brought biomedical research to the edge of a new frontier. The development of these human pluripotent stem cell lines deserves close scientific examination, evaluation of the promise for new therapies, and prevention strategies, and open discussion of the ethical issues. In order to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this discovery as well as the related scientific, medical, and ethical issues, it is absoutely essential to first clarify the terms and definitions.

2001-11-20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Guidelines for Research Using Human Pluripotent Stem Cells 스크랩

  • 강지훈 강지훈
  • |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

The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NIH) is hereby publishing final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Guidelines for Research Using Human Pluripotent Stem Cells.“ The Guidelines establish procedures to help ensure that NIH-funded research in this area is conducted in an ethical and legal manner. These Guidelines are effective on August 25, 2000. The moratorium on research using human pluripotent stem cells derived from human embryos and fetal tissue put in place by the Director, NIH, in January 1999, was lifted on August 25, 2000.

2001-11-20


Nuclera Law(Bulletin 67, Volume 2001/1) 스크랩

  • 강지훈 강지훈
  • |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
  • 과학기술과 인문사회

This issue of the Nuclear Law Bulletin attests once again to the strengthening of the legal framework governing nucler safety and radiation protection, both at domestic and international levels, in order to ensure a higher level of protectionin these fields. It contains an article on the IAEA code of conduct on the safety of radiation sources and the security of radioactive materials. In the chapter entitled "National Legislative and Regulatory Activities", the reader will also find information on the modernisation of nucler safety and radiation protection legislation in different countries of Eastern Europe. We refer in particular to the analysis of the new Latvian Act on Radiation Safety and Nuclear Safety, the text of which is reproduced in the Supplement to this Bulletin, and the description of the Polish Atomic Energy Act.

2001-1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