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향

리포트

리포트는 KOSEN 회원님들이 작성하는 최신연구동향 보고서입니다.
국내외 연구기관에서 발간하는 최신 동향보고서를 제공합니다.

전체 46913

글쓰기
전체 46913
글쓰기

Innovation & Technology Transfer : Exchange of good practice 스크랩

  • 강지훈 강지훈
  • |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
  • 과학기술과 인문사회

Contents Policy News - European Research area - co-ordination of cancer research - New EU copyright derective - Complementary EC-EIB funding for research Dossier Transnational exchange of innovation policy measures - The Trend Chart - a platform for interaction and mutual learning - Success factors for transfer of innovation support schemes - Innovation Scoreboard 2001 - a preview by the Director-General - Care study - how a Norwegian scheme spread around Europe - Case study - Ireland adapts a Danish approach to networking - Case study - national company visit programmes go European Innovation / SMEs programme - What future for industrial relations in the new economy? - JRC collaborates with industry to improve car safety - Innovation projects reveal need for EU-wide authorisation procedures - Innovation project event links policy-making and business - SME Specific Measures - take-up by small firms grows - CRAFT project - new building restoration mortar IRE Network News - Support for regional innovation under FP6 - New Innovative actions aim to narrow the regional innovation gap - RITTS case study - Eastern Macedonia and Thrace - RIS case study - Yorkshire and the Humber - Trans-Regional Innovation Project - northern Finland and Sweden - European forum on innovation strategies in metropolitan regions - Rinno web service for the exchange of regional innovation policy

2001-12-10


Implementing the Government Performance and Results Act for Research 스크랩

  • 강지훈 강지훈
  • |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
  • 과학기술과 인문사회

Conclusion 1 : All five agencies have made a goodfaith effort to develop reporting procedures that comply with the requirements of GPRA. Conclusion 2 : Some agencies are using the GPRA process to improve their operations. Conclusion 3 : The most effective technique for evaluating research programs is review by panels fo experts using the criteria of quality, relevance, and, when appropriate, leadership. Conclusion 4 : Oversight bodies and some agencies need clearer procedures to validate and verify agency evaluations. Conclusion 5 : Agencies choose to aggregate their research programs at different levels. Conclusion 6 : The development of human resources as an agency objective sometimes does not receive explicit emphasis or visibility in GPRA plans and reports. Conclusion 7 : Agencies often receive conflicting messages from oversight bodies about the desired format, content, and procedures to be used in GPRA compliance. Concluson 8 : Due to timing requirements built into the legal guidelines of GPRA, agencies find that they must begin work on performance plans before the relevant performance reports are complete. Conclusion 9 : Communication between agencies and oversight groups is not sufficiently regular, extensive, or collaborative. Conclusion 10 : The degree to which the results of GPRA reporting of research programs are being used by oversight groups for progrmmatic decision-making is not clear.

2001-12-10


WORKFORCE of the Future 스크랩

  • 강지훈 강지훈
  • |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
  • 과학기술과 인문사회

이 자료는 보안문서로 등록이 되어 있습니다. 문서를 열람하시기 원하시는 분은 다음의 사용자 암호를 입력하신 후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사용자 암호 : www.kosen21.org This document reflects the proceedings of a workshop organized by the Interagency Working Group on the U.S. Science and Technology Workforce of the Future, of the National Science and Technology Council, Committee on Science. This workshop, which included several panels totaling more than 60 national experts in science, mathematics, engineering and technology research, education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was organized to provide advice to the Interagency Working Gruop. THis document is not intended to reflect government policy.

2001-12-10


새로운 시대의 물리학 스크랩

  • 김상훈 김상훈
  • |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
  • 물리학

1. 자료명: Physics in a New Era 2. 저자: Physics Survey Overview Committee, Board on Physics and Astronomy, National Research Council 3. 출판사: National Academy Press 4. 출판날짜: 2001년 5. 내용소개: 미국 National Research Council의 Board on Physics and Astronomy가 작성한 물리학 관련 보고서이다. 이 보고서는 크게 세부분으로 나누어져 있는데, (1) 물리학의 새로운 연구 분야에 대한 소개, (2) 물리학과 사회와의 관계, (3) 물리학 발전을 위한 제안을 논의하고 있다. 최근 KOSEN/OSTIN을 통하여 소개되었던 "Materials in a New Era"와 함께 시리즈를 이루는 보고서로서 물리학 연구의 동향과 전망을 파악하는데 유용한 참고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6. 목차: 1. Introduction Part I Physics Frontiers 2. Quantum Manipulation and New Materials 3. Complex Systems 4. Structure and Evolution of the Universe 5. Fundamental Laws and Symmetries Part II Physics and Society 6. Physics Education 7. Health and Biomedical Sciences 8. The Enviornment 9. National Security 10. The Economy and the Information Age Part III Investing in Our Future: 11. Priorities and Recommendations 12. A New Era of Discovery 13. Recommendations I: Physics and the Wider Society Investment, Education, and National Security 14. Recommendations II: Strengthening Physics Research Partnerships, Federal Science Agencies, and Physics Information 분석자 서문 : 이 자료는 미국 국가 연구 평의회(National Research Council, NRC)가 미국 물리학 전반에 대해 개관한 책이다. 이를 위해 물리학 개관 위원회(Physics Survey Overview Committee)가 구성되었고, 이들이 현재 미국내 물리학 전 분야를 개괄하고, 우선 과제를 선정, 권고사항을 작성했다. 개관서 곳곳에서 위원회는 물리학이 그 동안 얼마나 과학, 기술, 사회-특히 국방- 각 분야에 기여해 왔고, 앞으로도 얼마나 많이 기여할 것인가를 누누이 강조했으며, 특히 우선 보기에 별 실용성이 없는 기초분야 연구가 장기적으로 얼마나 실용적으로 기여하는가를 강조하였다. 또한 우주와 기본입자 분야에서는 궁극의 원리를 이해하려는 시도에서 얼마나 진전이 있어왔고, 앞으로 행하게 될 연구에서는 얼마나 많은 진전이 있을 것인가를 매우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이로써 물리학이 실용성과 지식탐구 모두에서 없어서는 안 되는 학문임을 강조하여 물리학에 대한 지속적인, 나아가 더 확대된 투자를 요청하고 있다. 이 밖에 규모가 너무 커져서 한 국가가 감당하기 어려워진 거대한 과제들-주로 가속기를 이용한 기본입자 연구에 대해서는 국제적인 협동연구를 권고하지만, 미국이 주도권을 잃지 않아야 함을 상기시키고, 물리학 전분야에서도 역시 미국이 가진 주도권을 지켜가야 함을 강조했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물리학을 전공하는 미국 시민의 비율이 높아져야 한다는 점도 강조하고 있다. 철저히 미국의 국가 이익적 관점에서 쓰여진 책이지만, 지금 물리학 각 분야의 최첨단은 어디인지, 앞으로의 가능성은 무엇인지, 앞으로 물리학에 대한 투자는 어느 방면에 집중될 것인지를 둘러보기에는 유용한 자료이다. 이 자료의 분석은 독일 Fritz-Haber-Institut에 계시는 김상훈님께서 수고해 주셨습니다. 궁금하신 점은 김상훈님께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e-mail : ginnre@yahoo.com 첨부 .physics in a new era - Kim sanghoon.pdf 원문은 관련 URL을 보시기 바랍니다

2001-12-10


2001 IEEE/RSJ Intelligent Robots and Systems (IROS2001) 스크랩

  • 김상선 김상선
  • |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
  • 기계

학회 개요 : IROS (Intelligent Robots and Systems)는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의 지능형 로봇 관련 학회로서 기계, 로봇 분야에 있어서는 세계적인 학회로 꼽힌다. 인공지능 로봇 분야는 물론 차기 로봇의 대세인 인간친화형 감성 로봇의 개발과 제어 이론, 고도로 지능화된 로봇의 구현을 위해 필수적인 스마트 액츄에이터의 개발과 활용, 영상처리와 비전 시스템의 연계 등 향후 지능형 로봇을 구현하기 위한 각 분야 기술이 총체적으로 접목되는 마당이라 할 수 있다. IROS 학회는 매년 가을 정기적으로 열리며, 2000년에는 일본 타카마추에서, 올해는 미국 하와이 마우이의 Outrigger Wailea Resort에서 6일간 진행되었다. 인공지능을 적용한 로봇 제어, 응용기술에 있어서 세계적으로 저명한 학회이니만큼 전세계적으로 700편 이상의 논문이 최종 제출되었으며, 그 중 382편이 채택, 발표되었다. 세계 각국에서 500 여명 이상이 참석하였고 총 2개의 총회세션 (튜토리얼 성격), 2개의 Workshop & Discussion 세션, 11개의 대세션과 87개의 소 세션으로 구분되어 진행되었다. 지능형 로봇과 이와 관련된 총체적인 기술발전 성과를 한눈에 알아볼 수 있는 자리였다. 특히 최근 인터넷을 이용한 로봇제어와 지능형 로봇에의 감성기술 적용에 지대한 관심이 모아지고 있음을 확실히 느낄 수 있었다. 또한 회의 기간 중 IEEE가 주관한 ‘IEEE Nano Conference 2001’도 같은 장소에서 열려 향후 미세기술을 접해볼 수 있는 값진 자리였다. 이 학회의 보고서는 KAIST에 계신 김병준님께서 수고해 주셨습니다. 궁금하신 점은 김병준님께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e-mail : zizi@kaist.ac.kr 첨부 .2001 IEEE ICIRS - Kim byungjoon.pdf

2001-12-06


CORDIS 스크랩

  • 강지훈 강지훈
  • |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
  • 과학기술과 인문사회

In this issue Busquin and Russian research minister hole 'intensive dialogue' Issues discussed ranged from the ERA and FP6 to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new technology, security co-operation... Commission proposes collection of new science and innovation statistics The European Commission has outlined plans for new statistics on science, technology and innovation in a proposal to the European Parliament and the Council of Ministers... Special focus on the Joint Research Centre Featuring an exclusive CORDIS News interview with the JRC's Director-General, Barry McSweeney, it contains an analysis of the JRC's role in the enlargement process and a look at the reorganisation plans for the JRC... Innovation : policy and practice section The Committee of the Regions makes a call for a greater local role in innovation, plus news of a new CORDIS innovation service

2001-12-05


The National Academies : Illustrative Reorts 스크랩

  • 강지훈 강지훈
  • |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
  • 과학기술과 인문사회

◆ Illustrative Reports 1993-1999 ◆ Illustrative Reports 1993-2000 From its creation vy a congressional charter in 1863,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and its affiliate institutions - the National Academy of Engineering, Institute of Medicine, and National Research Council - have been committed to advising the nation on matters of science, technology, and health. Each year, the National Academies, as these institutions are known, issue more than 200 reports and disseminate the information contained in them to the people of the United States and the world. Following are some of the publications released in recent years.

2001-12-05


*중국 과학 기술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2000 高技術發展報告) 스크랩

  • 박종원 박종원
  • |
  • 연세대학교
  • |
  • 과학기술과 인문사회

1. 자료명 : 2000 高技術發展報告 2. 저 자 : 중국과학원 "고기술발전보고" 과제팀 3. 출판사 : 중국과학원 과학출판사 4. 출판날짜 : 2000년 3월 5. 내용소개 : 이 책은 중국과학원이 여러 대중에게 중국과학의 발전 정도를 알리기 위해 2000년도 과학기술발전보고서로서 "고기술발전보고"의 첫 원본이다. 이 보고서는 9개 부분으로 구성되였으며 중국과학기술의 발전 경로를 소개하였으며 중국 과학계가 고급기술과 고급기술 산업 발전의 추세를 반영하고 있으며 중국 고급기술발전의 전략과 정책을의 단면을 보여주고 있다. 이 보고서는 사회의 여러계층이 중국의 과학기술발전의 역사, 현황 및 발전추세를 알아가는데 도움을 주도록 편집되었고 내용면에서도 아주 실질적인 부분을 자세하게 나타내고 있다. 1999년도 부터 나왔는데 2001년판도 있지만 2000년도 판은 분야별로 현재의 중국과학고급기술의 단면을 보여주기에 추천한다. 6. 페이지와 내용(목차) 서론 제1장 중국과학기술의 review와 전망 정부의 노력, 핵기술, 우주기술, 반도체과학기술, 계산기, 자동화기술, 신재료발전, 농약생물기술, 해양기술, 가속기, 레이저기술, 통신기술, 인공지능기술발전의 review와 전망 제2장 중국의 고급 기술발전의 개괄 및 전망 제3장 두각을 나타내고 있는 정보기술 micrielectronics , 반도체, 디지털, IP기술, 정보기술, 소프트웨어 제4장 정보기술 산업화 전망 광전자기술, micrielectronics , 정보산업 제5장 중국 고급기술의 국제 경쟁력 평가 중국고급기술 산업국제경쟁력평가 제6장 고급기술과 사회-정보웹사이트의 심각한 영향 21세기의 웹사이트경제, 정보시대, 정보기술발전, 정보안전와 사회의 가속적인 발전 제7장 국외 고급기술 및 산 발전전략과 정책 미국, 유럽, 일본, 인도의 고급기술 및 산업발전정책 제8장 전문가 토론 중국고급기술발전의 문제, 중국마이크로전자의 발전, 중국웹사이트기술와 발전, 21세기 계산기 기술전망, 정보축척기술발전전망, 중국정보화전망등 분석자 서문 : 중국은 이미 1970년대 이전에 “양탄일성 (兩彈一星: 2개의 탄과 1개의 위성 즉, 원자탄,수소탄, 인공위성)계획”으로 과학기술의 기초를 마련했고, 개방개혁 이후 계획 경제 체제의 강력한 추진력을 이용, 선진 외국과 같은 과학기술 수준을 달성하기 위해 과학기술 인력을 양성하여 자주적이며 비교적 빠른 속도로 고급 기술을 발전시켜왔다. 이는 위로는 “과학기술이 국가 제일의 생산력(등소평)”이며, “새로운 기술개발은 한 국가의 핵심이며 한 국가의 부흥과 발달의 원동력(강택민)”임을 표방한 정부의 강력한 의지와 아래로는 정부가 목표하는 기술개발을 위한 연구기관에의 직접 투자와 효과적인 관리 시스템, 그리고 기술개발 결과를 곧바로 현실에 적용하도록 독려하는 국가 단위의 국영기업 운영방식이 이루어 낸 중국식 개방개혁의 결과이다. 사회주의 체제하에서 다져진 기초과학의 발전으로 다른 국가와 견주어 뒤지지 않는 국방력의 비약을 이룩했고 기술개발 인재를 꾸준히 키워 응용기술의 기초와 과학기술사업의 발전을 광범위하게 이끌어 왔다. 결과적으로 중국은 정부의 체계적인 과학기술 계획이 기술 발전을 주도했다 할 수 있겠고 개혁개방 이래 20년, 국제적인 고급 기술 연구 추세에 발 맞추어 중국 정부는 직접 과학기술 연구분야를 설정하고 이를 연구기관에 위임, 현실적인 결과를 얻도록 장려하여 고급 기술의 산업화를 실현하였다. 그 동안의 발전과정을 간략히 살펴본다. 1단계는 19?2010년)으로 경제적인 발전과 과학기술력, 국방력 등 모든 방면의 보조를 맞추어 중국 사회주의 개방개혁의 대역사를 세계에 알리고자 준비하고 있다. 중국은 사회주의 시장경제하의 20년 개혁 성과를 기점으로 고급기술 연구와 산업화를 멈추지 않고 정진할 것이다. 사회주의하의 현대화 사업은 과학기술발전의 원동력으로 앞으로도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이에 본 보고서는 중국의 분야별 과학기술 개발 내용을 정리하여 미래의 중국의 우위 기술 분야를 짐작하기 ?2010년)으로 경제적인 발전과 과학기술력, 국방력 등 모든 방면의 보조를 맞추어 중국 사회주의 개방개혁의 대역사를 세계에 알리고자 준비하고 있다. 중국은 사회주의 시장경제하의 20년 개혁 성과를 기점으로 고급기술 연구와 산업화를 멈추지 않고 정진할 것이다. 사회주의하의 현대화 사업은 과학기술발전의 원동력으로 앞으로도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이에 본 보고서는 중국의 분야별 과학기술 개발 내용을 정리하여 미래의 중국의 우위 기술 분야를 짐작하기 ?2010년)으로 경제적인 발전과 과학기술력, 국방력 등 모든 방면의 보조를 맞추어 중국 사회주의 개방개혁의 대역사를 세계에 알리고자 준비하고 있다. e-mail : pjwojs@hope.ybust.edu.cn 첨부 .Development of China's Tech - Park jongwon.pdf

2001-12-05


반도체 기술 동향 스크랩

  • 이승미 이승미
  • |
  • 한국표준과학연구원
  • |
  • 전기/전자

1. 자료명: Bell Labs Technology Trends and Developments Report: Semiconductors 2. 저자: Lucent Technologies 3. 출판사: Lucent Technologies 4. 출판날짜: 2000년 3/4분기 5. 내용소개: 본 자료는 20세기 전자공학 신기술의 산실인 Bell Lab에서 분기별로 발표하는 기술 동향 분석 자료 시리즈 중의 하나로 "반도체" 기술의 동향을 보고하고 있는 자료이다. 원 자료는 16쪽인데 "반도체" 기술의 동향을 분석하고 있는 부분은 1-9쪽 까지이다. 통신및 반도체 경기가 급속히 하강되기 전인 2000년 3/4분기에 작성된 보고서라서 많은 장및빛 전망이 있는 것이 현실과 많이 다르기는 하지만 반도체 기술의 흐름을 잘 집약해 놓은 보고서이다. 6. 목차: Technology predicted to usher in a golden age of silicon Low power and high speed enhance performance Unusual new alloys bring networks up to speed Plastic transistors bring welcome flexibility to a rigid silicon world Gate oxides go on a crash diet Cutting to the core of IC miniaturization Vertical transistor turns things upside down 분석자 서문 : 이 보고서는 미국 벨 연구소에서 분기별로 발표하는 기술동향 분석자료 중 하나로 반도체 기술 동향을 정리한 것이다. 주로 실리콘 기술의 발전 방향과 극복할 문제점, 현재까지의 연구진행 상황 등이 일목요연하게 정리되어 있고, 미래의 실리콘 시장에 대해 대단히 긍정적인 관점에서 쓰여져 있다. 원문에서는 이 분석보고서에 넣지 못한 그림들과 함께 연구소의 최근 결과들이 재미있게 기술되어 있으니 참조하기를 권한다. http://lucent.netlabs.net/minds/trends/trends_v4nn3 ). 지면 관계상 반도체의 역사 부분을 넣지 못했으므로 본 을 읽기 전에 훑어보면 도움이 될 것이다 (http://lucent.netlabs.net/minds/trends/trends_v4n3/timeline.html ). 또한 각주로 표시하여 URL 주소나 논문 출처를 명시한 경우, 그에 따른 더 많은 정보를 접해보면 좋을 것이다. 이 자료의 분석은 Fritz-Haber-Institut der MPG에 계시는 이승미님께서 수고해 주셨습니다. 궁금하신 점은 이승미님께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e-mail : ds4nzs@freechal.com 첨부 .Bell Lab Tech Report - Lee seungmi.pdf

2001-12-05


NASA : Status of Achieving Key Outcomes and Addressing Major Management Challenges 스크랩

  • 강지훈 강지훈
  • |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
  • 과학기술과 인문사회

NASA reported mixed progress in achieving its key outcomes. In general, NASA's strategies for achieving unmet performance targets for these outcomes are clear and resonable. As described below, NASA reported that it achieved most targets related to expanding knowledge of the Earth system. However, its progress in other areas was more limited. - Planned outcome : Expanding scientific knowledge of the Earth system. - Planned outcome : Expanding the commercial development of space. - Planned outcome : Deploying and operating the International Space Station safely adn cost-effectively.

2001-12-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