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향

리포트

리포트는 KOSEN 회원님들이 작성하는 최신연구동향 보고서입니다.
국내외 연구기관에서 발간하는 최신 동향보고서를 제공합니다.

전체 46913

글쓰기
전체 46913
글쓰기

태양전기, 또 하나의 에너지 대안 스크랩

  • 박정영 박정영
  • |
  • 미등재기관
  • |
  • 지구과학(지구/대기/해양/천문)

1. 자료명 : Photovoltaics: Energy for the New Millennium-The National 2000-2004 Photovoltaics Program Plan 2. 저자 : NREL(National Renewable Energy Laboratory) 3. 출판사 : NREL 4. 출판날짜 : 2000년 5. 내용소개 : 미국 에너지부 산하 NREL에서 작성된 것으로 제목에서와 같이 5년간의 향후 연구 방향, 목표, 방법 등이 기술되어 있다. 우리 나라는 대부분의 에너지를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며 대부분 화석연료이다. 따라서 사실 한국이 대체에너지의 개발에 힘을 쏟아야 함에도 불구하고 국가적 차원의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 보고서는 미국의 태양에저지에 대한 관심과 노력을 잘 엿볼 수 있는 있다고 생각된다. 6. 목차 1) The promise of photovoltaics 2) System engineering and application 3) A national endeavor 4) Technology development 5) Guiding the effort 6) Delivering the promise 7) Five-year PV program technical areas and milestones 분석자 서문 : 이 보고서는 미국 재생에너지 연구소(National Renewable Energy Laboratory) 산하 국립광기전력 연구센터 (National Center for Photovoltaics)에서 발간되는 자료들을 취합, 정리한 것이다. 특히 2001년 상반기에 출간된 두 편의 자료 (1사분기와 2사분기)를 묶어 분석보고서를 구성하였다. 주요 내용은 광기전력의 첨단 연구 현황, 광기전력 산업의 로드맵, 이를 통해 본 광기전력의 미래, 광기전력 연구를 위해 새로 지원되는 과제, 그리고 광기전력에 연관된 여러 현실과 한계에 대한 분석 등이다. 원 보고서는 사설, 주요 기사, 소식란 등으로 구성되어 다소 산만한 감이 있어 본 분석보고서에는 가장 핵심적인 부분을 추려 재구성하여 다음과 같이 7장으로 정리하였다. 2장에 는 광기전력 연구에 있어 대학의 역할을, 3장은 광기전력 산업의 로드맵에 대하여 소개하였다. 4장은 가장 최근의 연구성과, 5장은 여러 가지 방향의 광기전력 연구와 광기전력의 미래 진흥안에 선정된 여러 프로젝트들을 다루게 된다. 6장에서는 미국 광기전력 연구센터 소장인 Larry Kazmerski가 언급한 광기전력에 관한 7가지 그릇된 인식을 다루었다. 마지막으로 7장은 결론적으로 광기전력 연구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물리학 용어번역을 위해서는 한국물리학회 (http://mulli2.kps.or.kr/) 에서 제공하는 물리학용어집이 사용되었다. 이 자료의 분석은 University of Maryland College Park에 계신 박정영님께서 수고해 주셨습니다. 궁금하신 점은 박정영님께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e-mail : jpark30@yahoo.com 첨부 .Solar Electricity - Park jeongyoung.pdf

2001-11-19


Special Issue on Fostering High-tech Spin-offs : A Public Strategy for Innovation 스크랩

  • 강지훈 강지훈
  • |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
  • 과학기술과 인문사회

Contents - Introduction : The new spinon spin-offs - Generating spin-offs evidence from across the OECD - The AUTM survey : Its development and use in monitoring commercialisation in north america - An institutional and resource-based explanation of growth patterns of research-based spin-offs in Europe - Spinning off in the United States : Why and How? - Institutional structures and arrangements at australian public sector laboratories - Entrepreneurship skills and incentives - Spin-offs from public research : Trends and outlook

2001-11-19


Nuclear Law Bulletin : Supplement to No. 67 스크랩

  • 강지훈 강지훈
  • |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

Act on Radiation Safety and Nuclear Safety Chapter I Section 1 : Terms used in the Act Section 2 : Purpose of the Act and scope of application Section 3 : Basic principles of radiation safety and nuclear safety Chapter II Section 4 : The Radiation Safety Centre Section 5 : Primary tasks of the Centre Section 6 : Powers of the Radiation Safety Centre Section 7 : Powers of the Radiation Safety Centre inspectors Section 8 : The Radiation Safety Board Section 9 : Allocation of resonsibilities among authorities involved in inspections Section 10 : Radiation monitoring Chapter III Section 11 : Issue of special permits (licences) and permits for practices involving ionising radiation sources Section 12 : Procedure on co-ordination of establishment of ionising radiation facilities of state significance or of essential modifications thereto Chapter IV Section 13 : Basic responsibilities of the operator Section 14 : Basic resonsibilities of the job manager Section 15 : Provision of information Section 16 : Information on emergencies Chapter V Section 17 : Basic responsibilities of workers Section 18 : Employment of adolescents, pregnant women and breast-feeding mothers Section 19 : Partly dangerous practices Section 20 : Protection of visitors Chapter VI Section 22 : Physical protection of ionising radiation sources Section 23 : Conditions for packaging, marking and supply of ionising radiation sources Section 24 : Contents of safety data sheet Section 25 : Installationand maintenance of ionising radiation sources Section 26 : Procedure for accounting and control of nuclear material Chapter VII Section 27 : Radioactive waste Article 28 : Termination of operation of ionising radiation equipment/apparatus which does not contain radioactive substances Chapter VIII Section 29 : Compensation of loss and nuclear damage Section 30 : Requirements for the management of unlawfully used ionising radiation sources

2001-11-19


*금후의 에너지 정책에 대하여 (일본) 스크랩

  • 임태규 임태규
  • |
  • 주식회사 말콤
  • |
  • 과학기술과 인문사회

1. 자료명 : 금후의 에너지 정책에 대하여 (일본어), about the energy policy of Japan 2. 저자 : 종합자원에너지조사회 3. 출판날짜 : 평성 2001년 7월 4. 내용소개 본 보고서는 한국과 마찬가지로 부존자원이 없는 일본의 향후 에너지 정책방향에 관한 것이다. 일본은 에너지 정책의 기본목표를 공급의 안정성과, 환경보전 및 효율화를 동시에 달성하는 것에 두고 이 보고서를 작성하였다. 본 보고서는 에너지를 물이나 음식과 마찬가지로 현대 사회를 유지하고 있는 기반을 이루고 있는 불가결한 요소로 간주하고 있다. 특히 전후의 경제 발전에 따라 에너지 소비량은 급격히 증가되어 현재는 1955년 에 비하여 9배 석유위기 직전의 1907에 비하여도 1.8 배가 증가하였다고 한다. 그러나 에너지를 둘러싸고 있는 정세는 크게 변하고 있으며, 공급 안정성에도 불안한 조짐이 보이고 있다고 한다. 특히 1973년의 1 차 석유 위기는 에너지 공급의 대부분을 해외에 의존하고 있는 일본의 에너지 공급 구조가 취약하므로, 에너지원을 다양화함으로서 이를 강하게 하여야 할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특히 지구 온난화의 영향이 1980년대 후반부터 세계적인 중요성을 가지게 됨에 따라 이를 고려하여 에너지 정책을 세워야 한다고 하였다. 1997년에 일본 교토에서 개최된 COP3 회의에서 선진국의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할당하게 되었다. 감축 목표는 일본의 경우 2008년부터 2012년의 경우 평균 6%를 감축하여야 한다. 배출되는 온실효과 가스의약 80%는 이산화탄소가 차지하고 있다. 이것을 2010년에는 90년도 수준으로 억제하도록 하여야 한다. 일본의 에너지 정책은 "환경보전과 효율화의 요청에 대응하여 에너지의 안정적 공급을 실행"하는 것에 두고 있으며, 이러한 기본 목표를 현 상황에서 실행하는 것이 쉽지 않다고 보고 있다. 이 3 가지 목표는 서로가 모순되는 부분이 있다. 예를 들어 이산화탄소의 방출을 억제하기 위하여 는 소비를 억제하여야 한다. 그러나 과거의 예를 볼 때 경제성장에 따라 에너지 수요가 증가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지구온난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산화탄소의 방출이 없는 태양광발전 등의 신 에너지 이용을 확대하여야 한다. 또한 원자력 발전은 공급의 다양화를 실현할 뿐만 아니라 발전 과정에서 이산화탄소의 방출이 없으므로 목포를 달성하는데 큰 역할 을 한다. 그러나 최근의 우라늄 가공시설 임계사고 등의 국민의 신뢰를 손상시키는 사건이 발생하면 어려움을 격을 수 있다. 또한 공급 안정화의 측면에서도 에너지원의 다양화를 확보하기 위하여 원료 수입 선을 다변화하여야 한다. 이러한 바탕 위에서도 일본의 에너지 사정은 기본 목표를 동시에 달성하는데 아직 요원하다. 종합자원에너지 조사회 에서는 이러한 사정을 심각하게 인식하고 작년 4월부터 1년 이상에 걸쳐 기본 목표의 동시달성을 실현하기 위하여 에너지 수급을 지원하는 정책방향을 검토하였다. 5. 목차 I. 우리나라 (일본)의 에너지상황 1. 에너지 정책의 기본목표 2. 최근의 환경변화 II. 우리나라가 직면하고있는 과제 1. 우리의 생활변화 에너지소비의 합리화의 필요성 2. 새로운 환경변화 에서 에너지공급원의 다양화의 필요성 3. 아시아 지역과 에너지안정공급 확보의 필요성 III. 목표 에너지공급 수급상 1. 기본 케이스의 개요 2. 기본 목표실현에 있어서 금후의 구체적인 대책 3. 목표 케이스의 개요 분석자 서문 : 일본의 에너지 소비는 경제활동이 확대됨에 따라 일관되게 증가되어왔다. 거품 붕괴 후 잠깐 신장률이 저하되기도 했었지만 근래 들어 소비량은 다시 높아지고 있다. 이것은 전후 1955년과 비교하여 약9배 , 석유파동이 있었던 1970년과 비교해도 1.8배로 소비량은 매년 증가추세를 나타내고 있어, 공급의 안정성확보에 불안감을 안고 있다. 부문마다 따로 살펴보면, 산업부문의 에너지 소비 신장은 미약하지만 편리함과 쾌적함을 추구하는 생활양식으로의 변화로 운수, 민생부문에서의 소비량은 증가하고 있다. 한편, 일본은 에너지 공급의 대부분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고, 더군다나 양이 제한된 화석연료에 대부분 의존하고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에너지원의 다양화를 시도, 천연가스의 경우 1973년 전체 공급량의 1%를 차지하였던 것이 현재는 13%로 확대되었고, 원자력발전에 대해서도 34.5%로 성장했다. 이에 더하여 지구온난화 문제에 대한 대응 필요성 또한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에너지 수급 상황을 배경으로 근본적인 에너지 절약 강화책이 절실해졌다. 때문에 이 보고서는 종합적인 에너지 수요 억제를 중심으로 하는 일본 지구온난화 대책의 기본 방향에 대해 정리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 하에서는 일본은 환경보존, 효율화, 안정공급의 3가지를 향후 에너지 정책의 목표로 설정하고 있지만, 각 항목간 해결해야 할 문제점이 놓여 있어 목표 달성이 쉽지 않은 상황이다. 보고서에서는 일본의 에너지 사정을 상세히 설명하고 동시에 에너지 수급상황에 대해서도 점검해 보았다. 이 자료의 분석은 동경농공대학의 임태규교수님께서 수고해주셨습니다. 궁금하신 점은 임태규교수님께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e-mail : taekyu@cc.tuat.ac.jp 첨부 .Japan Energy Policy - yim taegyu.pdf 원문은 관련 URL을 보시기 바랍니다

2001-11-19


SIGGRAPH 2001 스크랩

  • 김동현 김동현
  • |
  • (주)피케이엘
  • |
  • 정보/통신

학회 개요 : SIGGRAPH는 ACM (Association for Computing Machinery) SIGGRAPH (Special Interest Group on Computer Graphics)가 해마다 미국에서 개최하는 학회로 올해가 28번째이다. 논문 발표 세션 이외에도 Course, Panel 등과 함께 대규모 전시회도 함께 열린다. SIGGRAPH는 컴퓨터 그래픽스 분야에서 논문을 발표하기가 가장 힘든 학회이며 다른 관련 저널들보다 뛰어난 논문들이 많이 발표되는 곳이다. SIGGRAPH는 그 규모뿐 아니라 개최되는 세션도 매우 다양하다. Animation Festival, Educators Program, sigKIDS 등 학술 목적과는 다소 거리가 먼 행사들도 다양하게 개최되며 컴퓨터 그래픽스에 종사하는 학자, 프로그래머, 애니메이터, 예술가들이 모두 함께 참여하는 행사이다. 이 학회의 보고서는 The George Washington University의 김동호님께서 수고해 주셨습니다. 궁금하신 점은 김동호님께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e-mail : dkim@seas.gwu.edu 첨부 .SIGGRAPH 2001 - Kim dongho.pdf

2001-11-16


Scenario Development Methods and Practice 스크랩

  • 강지훈 강지훈
  • |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

이 자료는 보안문서로 등록이 되어 있습니다. 문서를 열람하시기 원하시는 분은 다음의 사용자 암호를 입력하신후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사용자 암호 : www.kosen21.org This document is the final product of the Workshop. The main text is intended mainly for technical specialists and managers with tasks and responsibilities related to repository safety assessment. This is supported by Appendices with information that is of interest mainly to scenario development specialists. The main text of the report summarises the current status of scenario development methods and their application based on the consensus views of participants established via the Questionnaire and discussion at the Workshop. - Chapter 2 presents commonly agreed matters based mainly on the responses to the Questionnaire. - Chapter 3 presents the position statements on key issues developed during the Workshop. - Chapter 4 presents a discussion and conclusions on the status of scenario developmenet. A list of attedees at the Workshop is given in Appendix 1. The Workshop Questionnaire is reproduced in Appendix 2. A summary of responses to the questionnaire is given in Appendix 3. Papers submitted to the Workshop are reproduced in Appendix 4.

2001-11-16


White paper on science and technology 2000 스크랩

  • 강지훈 강지훈
  • |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
  • 과학기술과 인문사회

Contents Part 1 Towards the 21st Century 1.1 Changes in Human Society 1.2 Science and Technology's Contribution to Human Society in the 20th Century and Issues to be Addressed in the Future 1.3 The Relationship between Science and Technology, and Society in the 21st Century Part 2 The Current Status of Science and Technology in Japan and Other Nations 2.1 R&D Expenditures 2.2 Research Personnel 2.3 Trends Related to Research Performance 2.4 Efforts to Establish New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Indicators Part 3 Policies Implemented for the Promo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3.1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Development 3.2 Development of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Policies 3.3 Promotion of Research Activites

2001-11-16


White paper on science and technology 1999 스크랩

  • 강지훈 강지훈
  • |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
  • 과학기술과 인문사회

Contents Part 1 New Developments in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 Responding to National and Societal Needs 1.1 What does the society request to Japan's Science and Technology Now 1.2 Japan's Science and Technology Today 1.3 Future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in Japan Part 2 The Current Status of Science and Technology in Japan and Other Nations 2.1 R&&D Expenditures 2.2 Research Personnel 2.3 Trends Related to Research Performance 2.4 Efforts to Establish New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Indicators Part 3 Policies Implemented for the Promo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3.1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Development 3.2 Development of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Policies 3.3 Promotion of Research Activities

2001-11-16


일본의 Post Genome 전략 : 21세기 생명과학의 Key 스크랩

  • 강지훈 강지훈
  • |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

이 자료는 보안문서로 등록이 되어 있습니다. 문서를 열람하시기 원하시는 분은 다음의 사용자 암호를 입력하신후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사용자 암호 : www.kosen21.org ◆ 일본의 Post Genome 전략 - 21세기 생명과학의 Key - 1. post genome전략 구축에 있어 기본인식 2. 금후 강화해야 할 분야 3. 긴급 분야에서의 구체적추진 방향 4. post genome연구의 응용 5. post genome연구의 실용화 6. post genome연구의 진전을 지탱하는 기반과 체조 7. 생명윤리, 사회·자연과의 조화 [첨부 1] 일본의 Post Genome 전략 - 구조 Genome과학 - 1. 구조 Genome과학연구의 중요성 2. 구조 Genome과학연구 project 에 대한 대책 [첨부 2] Genome 정보과학 - Bioinformatics - 1. genome정보과학의 현상과 장래전망 2. 인재양성 3. Data base구축의 체조 4. 정보해석기술의 개발 Genome과학 연구개발 장기적 사고방식 - 일본과학기술회의(1998.7) 발표 - 1. Genome 과학 2. Genome과학의 의의 3. Genome과학을 수행하는 전략

2001-11-16


고속열차의 공기 역학 스크랩

1. 자료명: (영문) Aerodynamics of High-speed Trains (한글) 고속열차의 비행역학적 연구 2. 저 자: Joseph A Schetz 3. 출판사 : Annu. Rev. Fluid Mech. 2001 , Vol. 33: 371-414 4: 내용소개: 국내에서 고속 기차의 비행역학에 대하여 서울 부산간 고속열차의 운행을 앞두고 많은 관심속에 연구들이 진행되어오고 있다. 본 논문은 고속기차가 비행기와는 달리 지면 가까이 운행하기 때문에 측풍의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보고 측풍이 있는경우와 없는 경우에 대하여 실험과 해석연구를 비교하여 정리하고 있으며, 여러 형태의 터널을 통과하는 경우에 대하여서도 실험과 해석방법을 이용하여 연구한 결과를 정리하였다. 그외에도 비행역학적 소음과 자기부상열차에 대하여 기술하고 있다. 본 논문을 소개하므로서 고속열차의 주위에서 작용하는 양력, 측력 그리고 모멘트에 대한 개념을 이해시킬 뿐만아니라, 실험실에서의 모델과 실제크기에 대한 실험과 이론해석에 따른 비행역학적 차이를 이해할 수 있어 이에대한 연구의 개념을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5. 목차: ABSTRACT 1. INTRODUCTION 2. ISOLATED TRAINS IN THE OPEN WITHOUT CROSSWINDS 3. EFFECTS OF CROSSWINDS 4. TRAINS IN TUNNELS 5. TRAINS PASSING TRACKSIDE STRUCTURES AND EACH OTHER 6. AERODYNAMIC NOISE 7. AERODYNAMICS OF MAGNETIC LEVITATION TRAINS 분석자 서문 : 현재 건설중인 경부고속철도는 우리나라의 교통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국책사업으로 국내 철도분야 기술 발전에 새로운 전기가 되었다. 고속전철의 도입과 함께 국내 기술을 이용하여 시속 350km의 한국형 고속전철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도 현재 국책연구과제로 진행 중에 있다. 아울러 고속 열차의 공기역학적 특성에 대한 연구 역시 수행되고 있다. 본 논문은 고속 열차의 공기역학적 특성에 대한 리뷰 논문으로서 100여 편의 참고문헌에 기초하여 실험 및 해석에 의한 최신 연구 결과들을 소개하고 있다. 열차 고유의 특징인 측풍에 의한 영향, 터널 통과시의 문제, 상호 교행, 소음 그리고 자기부상열차의 공기역학적 문제들에 대해 참고문헌의 관련 내용을 인용하며 짚고 있다. 이 논문을 통해 고속 열차의 공기역학적 주요 이슈에 대해 깊이 있는 이해를 얻기는 힘들겠으나 실험 및 해석적 연구와 관련하여 전반적인 개념을 파악하는 데는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고속열차의 공기역학은 다른 주행물체에 비해 특성이 다르기는 하지만 항공우주, 자동차 등의 관련 공기역학 기술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는 분야이므로, 적절한 투자가 이루어진다면 선진국의 고속전철에 비해 손색없는 한국형 고속전철의 공력설계가 가능할 것이라고 판단된다. 이 자료의 분석은 항공우주연구원에 계신 김형진박사님께서 수고해 주셨습니다. 궁금하신 점은 박사님께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e-mail : hyoungjin@kari.re.kr 첨부 .High Speed Trains - Kim hyoungjin.pdf 원문은 관련 URL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2001-1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