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향

리포트

리포트는 KOSEN 회원님들이 작성하는 최신연구동향 보고서입니다.
국내외 연구기관에서 발간하는 최신 동향보고서를 제공합니다.

전체 46913

글쓰기
전체 46913
글쓰기

IAEA주관 파키스탄 KANUPP원전의 안전성향상 관련 기술자문을 위한 운영위원회 참석 및 연구로/핵주기시설 기술기준관련 협의 스크랩

  • 이석호(null / null)
  • |
  • 환경

IAEA는 1991년부터 "파키스탄의 DANUPP발전소에 대한 안전운전을 위한 기술자문('Safe Operation of KANUPP)을 해왔으며, 2000년부터는 KANUPP의 안전성향상을 위한 새로운 기술협력과제("Improving Safety Features of KANUPP)를 수행하고 있다. 본 자문회이에서는 신규 협력과제에 대한 수행 내용 및 협력방안에 대한 사전 기술자문을 협의하였다. ㅇ 주요 협의내용 - 기존 협력내용(안전현안문제 등) 검토 및 평가 - 2001-2002 이행필요 업무협의 - 카나다 및 타국 협력사항 협의 향후 이행할 현안중 가동중검사계획, PSA, 환경검증, SAR 개정 등 10개 항목을 중점적으로 협의하였고, 한국은 비상운전절차서 개정, 가동중검사방법, 터빈, 전기모터관련 전문가를 파견하여 기술자문을 수행하기로 협의하였다. 또한 연구로 및 핵주기시설에 대한 국내의 기술기준개발 그리고 IAEA의 기술개발 추진 현황 및 계획 등을 협의하였다.

2001-11-08



National Ignition Facility: Management, Technical, And Other Issues 스크랩

  • Richard Rowberg
  • |
  • 과학기술과 인문사회

The U.S. Department of Energy is building a very large laser facility at Lawrence Livermore National Laboratory that is designed to simulate the behavior of nuclear explosions. This project, the National Ignition Facility, is a key element of the Administration’s program to maintain the nation’s nuclear weapons stockpile in the absence of nuclear testing. Recent problems with the NIF project that are likely to result in a major cost increase have sparked new controversy about the project. This report describes the background of the NIF and presents a detailed assessment of the major managerial and technical problems facing the project.

2001-11-08


Alternative motor fuels and vehicles : Impact on the transportation sector 스크랩

  • 강지훈 강지훈
  • |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
  • 과학기술과 인문사회

◆ Purchases of Alternative Fuel Vehicles and the Use of Alternative Motor Fuels Remain Limited ◆ Fundamenta economic impediments hinder the acquisition and use of alternative fuel vehicles and alternative motor fuels ◆ Tax incentives promote the acquisition and use of alternative fuel vehicles and alternative motor fuels

2001-11-08


일본 Biotechnology 기술현황 스크랩

  • 임태규 임태규
  • |
  • 주식회사 말콤
  • |
  • 생명과학

일본 특허청에서 2001년 5월 31일에 발표한 자료입니다. . 1. Biotechnology 기간 기술에 관한 기술동향조사 - 기술개발의 국제 경쟁력 - 특허에 따른 산업 분석 - 대학 특허의 국제화 2. Biotechnology 의 환경기술 분야 응용에 대한 기술동향조사- 실용화 - 특허 출원 경향 - 일본/미국/유럽의 기술 비교 - 국가정책, 미국의 대학/벤쳐 연구 동향 등 - 향후 방향과 과제 3. Biotechnology 의 의료기술분야 응용에 대한 기술동향조사- Bio 의료시장의 현황 - 특허출원으로 본 국제 경쟁력 - 주요 기업 및 연기기관의 동향 - 일본, 미국, 유럽의 산업정책 동향 (윤리제도, 발전 방향, 정책 등) - 금후 일본의 발전방향과 과제 (정책, 제도, 자원 분배 등) 분석자 서문 :컴퓨터의 개발을 이끈 전자공학기술이 4반세기의 세계경제를 변화시켰다면 생명과학기술을 근간으로 하는 바이오테크놀러지는 21세기의 경제 사회 전반에 걸쳐 커다란 변화와 발전을 도모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진 것으로 전망된다. 이미 유전자 조작기술의 발달로 고품질, 대량 수확 농작물 개발을 시작으로 한 환경보존형 농업의 확립, 유전자 치료와 새로운 의약품의 공급 등 농업분야, 의학분야의 기술혁신이 급속도로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종래에는 화학공정으로 이루어지던 물질의 생산이 최근에는 생물기능을 이용한 프로세스로 전환이 유도되고 있으며, 생분해성 플라스틱 등 신소재 개발, 바이오 센서, 기능성식품, 바이오 시약·기기 등의 신제품 생산, DNA감별과 생물 공정 등 새로운 서비스의 제공 등 화학, 식품, 전자, 기계, 환경, 에너지 분야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기술 혁신이 기대된다. 이는 산업기반 기술로서 신규산업·신규고용의 창출로 이어지기 때문에 바이오테크놀러지의 산업화, 실용화는 국가적 차원에서 중점 추진되어야 할 과제이다. 이 보고서는 바이오테크놀러지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앞으로의 발전을 위해 다양한 분야와의 협력이 필수적임을 설명하고, 국가적으로 추구해야 할 방향 및 방법론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또 최근에 이루어진 중요한 결과들을 정리하고 앞으로의 연구방향과 이를 위한 정책 등이 기술되어 있다. 개략적인 내용은 목차를 통해 알 수 있다.이 자료의 분석은 동경농공대학에 계신 임태규교수님께서 수고해 주셨습니다. 궁금하신 점은 교수님께 문의하시기 바랍니다.e-mail : taekyu@cc.tuat.ac.jp첨부.Japan Biotechnology - Taegyu.pdf원문은 관련 URL을 보시기 바랍니다.

2001-11-07


자기적 방법을 이용한 구조재료의 비파괴적 평가 스크랩

  • 박덕근 박덕근
  • |
  • 한국원자력연구원
  • |
  • 건설/교통

심층정보 프로그램을 통해 각 분야 최고의 전문가들이 조사분석하여 제공하는 살아있는 정보입니다. 이자료는 KISTI 의 해외과학기술동향 심층정보에서도 제공됩니다. --------------------------------------------------------------------------------------------------------- 저자 : 박 덕 근 (한국원자력연구소) e-mail : dgpark@nanum.kaeri.re.kr 요약 : 원자력 발전소나 교량 등 중요 구조물에서 구조물의 안전성을 확인하는 방법으로 구조물 자체를 파괴하는 것은 경제성/안전성 측면에서 현실적이지 못하므로 주로 비파괴적인 검사법이 이용된다. 이러한 비파괴 시험의 목적은 제작/건설/운전 단계에서 비파괴 시험을 실시, 조기에 불량품을 제거하고 제조경비를 절감하기 위한 것 외에 구조물, 설비, 재료 등의 파괴인자가 되는 결함을 탐지, 안전성 및 신뢰도를 향상시키는 데에 있다. 이러한 경향은 산업의 고도화에 동반한 산업구조 설비의 대형화, 고용량화, 이에 대한 안전관리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품질확보 노력의 일환으로 더욱 중시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사용되는 비파괴 검사법은 검사 시간의 과다소요, 데이터 취득 및 해석오류 등으로 그 적용 타당성에 대해 의문점이 대두되고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선진국(미국, 일본 등)에서는 자기적 방법을 이용한 원거리 검사법을 실용화 하는 등 자기적 방법을 이용한 비파괴 검사법에 대해 활발히 연구하고 있다. 이 방법은 검사의 신속 ·정확성을 위해 가까운 장래에 기존의 비파괴 검사법을 대체할 것으로 전망되므로 이의 타당성을 사전 조사하 국내 기술 개발 및 적용에 대비해야 할 것이다. 특히 원자력 발전소와 같은 거대 구조물을 구성하고 있는 재료의 열화는 구조물의 내구성 및 파괴저항성을 저하시켜 안전성에 큰 위협이 된다. 이러한 재료의 성질변화를 초기에 감지하기 위해서는 비파괴 기술을 사용하여 계속적인 감시 (monitoring)를 수행, 구조물의 갑작스런 파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계획을 수립해야 한다. 이처럼 특별한 기술을 사용함에 있어 한가지 어려움은 열화에 의해 손상을 입은 구조물의 미세조직 변화를 비파괴 신호로 바꾸어 서로를 연관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는 손상된 물질에 대하여 미세조직 검사를 수행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다. 그림 1에 재료평가 절차 및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본 보고서의 목적은 재료의 열화손상을 감시할 수 있는 새로운 비파괴 기술을 소개하고 이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 궁금하신 점이 있으시면 저자에게 직접 문의하세요. 첨부화일 undestructive test of structural material - park duckkeun

2001-11-07


The proceeding of international conference on technology foresight 스크랩

  • 강지훈 강지훈
  • |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
  • 과학기술과 인문사회

International Conference on Technology Foresight Report Cosponsor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APEC Center for Technology Foresight and the Tsukuba EXPO'85 Memorial Foundation,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Technology Foresight was held on March 7 (Tuesday) and 8 (Wednesday), 2000 at Toshi Center Hotel (Hirakawa-cho, Chiyoda-ku, Tokyo). 1. Them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Technology Foresight - The Approach to and the Potential for New Technology Foresight. 2. Purpose of the conference With growing attention directed to it since the 1990s in many countries, especially in Europe and Asia, technology foresight has been widely practiced to set up a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and technology development program for these countries, using a variety of methods such as the Delphi approach. Under these circumstances,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was held with the aim of further promoting technology foresight activities, including the utilization of result of foresight studies. 3. Participant 4. Outline (Conclusion) The following common perceptions were senn lying beneath the sessions. (1) Developing countries, as well as advanced ones, recognize the necessity and usefulness of technology foresight. (2) The definition of technology foresight which the OECD defines as "the process involved in systematically attempting to look into the longer-term future of science and technology, the economy and society with the aim of identifying the areas of strategic technologies likely to yield the greatest economic and social benefits" is almost the same for countries concerned, although it varies slightly from country to country. (3) Currently, technology foresight is developing dynamically, encouraging many countries to work out an optimal combination of techniques. It is essential for countries carrying out foresight activities to exchange opinions and information with one another. In this sense, the conference was extremly significant. (4) In developing foresight activities, the OECD initiative, or the 1994 professional conference, played a critical role in bringing us to the second generation of foresight. Today, technology foresight is developing beyond the OECD area on a global scale. Many countreis are integrating socioeconomic factors into foresight to utilize it as an effective policy tool.

2001-11-06


Pregraduate Experience of Engineering 스크랩

  • 강지훈 강지훈
  • |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
  • 과학기술과 인문사회

The growing demand from various parties for high quality work experience before graduation was reinforced by the recommendations of the Dearing Committee. The Royal Academy of Engineering has responded by creating a working group to review and assess current initiatives and investigate how any further expansion of such experience might impinge on various 'stakeholders' There is widely and incresingly acknowledged evidence that high quality work experience assists considerably in attracting, recruiting and retaining able young people in engineering. The working group noted that the four universities involved in the Equipe project were well above average in terms of the proportion of their engineering graduates entering engineering employment. Work experience may take a variety of forms, with different advantages and costs. It would be unwise to be prescriptive about the form it should take. The benefits of such experience to students, employers,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and the engineering industry as a whole are acknowledged, but there are concerns about the feasibility of further expansion of high quality work experience. Nevertheless, the scale of the operation to provide work experience for all undergraduates seeking CEng registration does not appear to be insurmountable. The arrangements will need attention, and the quality of the provision will need to be managed. - Mechanisms to bring together students and potential providers of work experience need to be improved. Whilst some form of central brokerage may be helpful, the system must be sensitive to the needs of a variety of stakeholders, accommodating, creating and celebrating diversity of provision. - There are financial concerns for students, but these may be less significant than a variety of constraints on employers. - There are formidable difficulties in overcoming employers' reluctance to commit to taking on work experience sutdents, and providing the necessary personal commitment and support. Where such commitment and support are found the outcomes are very positive. There could be a role for the Academy in promoting such positive messages. - Although many HEIs already have consideralbe experience in organising, supervising and accrediting work experience, the spread of 'good practice', and diversity of provision, are issues which need attention. The attitudes of employers towards work experience may be rather different from those of HEIs, and both of them may be different again from the attitudes of the professional institutions. A more sustainable relationship has to evolve, to the benefit of young people, the professions and the economy alike. Work experience will need its champions amongst engineers if a new relationship is to be forged.

2001-11-06


세계 동향과 미국 기술정책의 방향 스크랩

  • 신동민 신동민
  • |
  • 주 독일 대한민국 대사관
  • |
  • 과학기술과 인문사회

1. 자료명: The Global Context for US. Technology Policy 2. 저자: Graham R. Mitchell 3. 목차 1) Policy Context 2) Focus on Economic Growth 3) Changes in Relative U.S. Position 4) Evolution of Global Technology Policy 5) Shifting Focus U.S. Industrial R&D 6) Conclusions 분석자 해설 : 90년대 미국, 특히 클린턴 행정부의 과학기술정책은 크게 두 가지 측면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하나는 미국의 전후 과학기술정책사적 맥락에서 정책의 기본틀을 바꾸려는 시도가 그 어느때보다 적극적으로 이루어진 시기였다는 점에서이고, 또 다른 하나는 이 시기에 제시된 정책기조 가운데 상당수가 조지 W. 부시 행정부의 출범 이후 이전 정책으로의 회귀 경향 속에 미국 국내에서는 수정 또는 심지어 폐기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 유럽을 비롯한 많은 곳에서는 벤치마킹의 대상이 되고 있을만큼 21세기 과학기술정책의 한 방향을 시사한 것이라는 점에서이다. 물론 이 둘 사이에는 연관성이 있다. 왜냐하면 이 시기 미국 과학기술정책은 미국 국내 정치의 변화와 과학기술정책 상의 역사적 맥락, 소위 '지식기반경제'로의 구조변화 가속, 환경오염과 기후변화와 같은 전지구적 문제의 심각성, 기술혁신주기와 상품수명주기의 단축 및 연구개발에서 민간부문의 비중 증가, 과학과 사회와의 관계 변화, 생명공학과 나노기술과 같은 새로운 분야의 발전 등 여러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이지만, 무엇보다 냉전종식이라는 세계적 지각변동과 더불어 급속히 변화된 세계 과학기술환경이 정책전환의 중요한 한 요인이었고 이는 단지 미국에만 해당되는 문제가 아니었기 때문이다. 이처럼 상호연관된 정책을 분절화하기는 원론적으로 불가능하지만, 여기서는 분석대상인 원문과 관련해 이 부분만을 간략히 언급한다. ... (계속) 이 자료의 분석은 동아사이언스 기자로 계신 신동민님께서 수고해 주셨습니다. 궁금하신 점은 신동민님께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e-mail : hisdm@orgio.net 첨부 .U.S. Technology Policy - Shin dongmin.pdf .U.S. Technology Policy - Original.pdf

2001-11-05


제 10 회 고성능 분산 처리 국제 학술 대회 스크랩

  • 김상선 김상선
  • |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
  • 정보/통신

학회개요 : 올해로 10회째를 맞이하는 HPDC국제 학술 대회는 그리드 컴퓨팅에 관련된 가장 큰 국제 학술 대회중의 하나이다. 올해는 대략 200여편의 논문이 제출 되었으며, 이중 39편이 채택, 발표되었다. 그러나 이 학회에서 다루는 주제는 그리드 컴퓨팅에만 제한된 것이 아니라 클러스터 컴퓨팅, 네트워크 관련 기술 등 분산 컴퓨팅에 관련된 전반적인 기술들을 다루고 있다. 이 학회의 보고서는 University of Minnesota에 계시는 이병대님께서 작성해 주셨습니다. 궁금하신 점은 이병대님께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e-mail : blee@cs.umn.edu 첨부 .HPDC - Lee byungdae

2001-1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