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향

리포트

리포트는 KOSEN 회원님들이 작성하는 최신연구동향 보고서입니다.
국내외 연구기관에서 발간하는 최신 동향보고서를 제공합니다.

전체 46913

글쓰기
전체 46913
글쓰기

ASM/NCID POSTDOCTORAL RESEARCH ASSOCIATES PROGRAM 스크랩

  • 강지훈 강지훈
  • |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
  • 과학기술과 인문사회

◆ ASM/NCID POSTDOCTORAL RESEARCH ASSOCIATES PROGRAM ◆ OPPORTUNITIES FOR RESEARCH - BACTERIOLOGY : Division of Bacterial and Mycotic Diseases - Hospital Infections Program - Division of Vector-Borne Infectious Diseases - Arctic Investigation Program - Division of AIDS, STD, and TB Laboratory Research - MYCOLOGY : Division of Bacterial and Mycotic Diseases - PARASITOLOGY : Division of Parasitic Diseases - VIROLOGY AND RICKETTSIOLOGY : Division of Viral and Rickettsial Diseases - Division of Vector-Borne Infectious Deseases - Division of AIDS, STD, and TB Laboratory Research

2001-12-01


NRC CSARP 기술회의 및 MELCOR 워크샵 참석 스크랩

  • 박재홍(null / null)
  • |
  • 환경

NRC CSARP (Coorperative Severe Accident Research Program) 기술회의가 2001. 5. 7 - 5. 9일에 걸쳐 3일간 진행되었고, 기술회의는 현상연구 및 실험과 전산코드개발 및 평가에 대한 내용으로 진행되었음. - MELCOR 1.8.5 코드 Workshop은 14개국에서 40여명이 참석하여 2001. 5.10 - 5.14일에 걸쳐 4일간 진행되었고, Basics of building and renning MELCOR problems, MELCOR 1.8.5 Topics (RN package and Aerosol modeling, CVH for modeling natural circulation, Core blockage modeling) 및 Case study of selected plant decks에 대한 강의가 진행되었음.

2001-11-26


EU의 다이옥신 노출과 보건 스크랩

  • 김상헌 김상헌
  • |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
  • 지구과학(지구/대기/해양/천문)

1) 자료명 ; Dioxin exposure and health 2) 저자 ; Dr Deborah Buckley (AEA Technologiy) 3) 출판사 ; European Commission Environment 4) 출판날짜 ; 1999년 10월 (개정 2000년 10월) 5) 내용소개 ; 이 보고서는 점점 늘어나고 있는 Dioxin에 대한 염려를 과학적으로 증명하기 위하여 아래의 목차 같이 9개 Task로 나누어 연구를 수행한 결과를 종합한 보고서이다. 6) 목차 ; Task 1 - Member State legislation and programme Task 2 - Environmental levels Task 3 - Environmental fate and transport Task 4 - Human exposure Task 5 - Human tissues and milk levels Task 6 - Trends Task 7 - Ecotoxicology Task 8 - Human toxicology Task 9 - Genetic issues 분석자 서문 : 벨기에의 오염 사료 유출 파동 이후 다이옥신의 위험성은 공공의 관심사가 되었고, 우리나라에서도 소각장의 다이옥신 배출농도에 대한 많은 논란이 있었다.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다이옥신 관련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으나 연구역사는 극히 짧다. 본 보고서에서는 유럽지역의 다이옥신 관련 연구결과들을 바탕으로 다이옥신의 인간노출과 보건에 초점을 맞추어 기술하였다. 먼저 각국의 규제와 정책들을 소개하고 지금까지 보고된 각 환경매체(대기, 수질, 토양, 전이, 동식물)중 다이옥신 농도를 바탕으로 시간과 공간 분포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각 환경매체의 모델과 여러 환경매체에 산재해 있는 다이옥신의 거동을 추정하기 위한 다매질 모델을 소개하고 있다. 또한 인간에게 노출될 가능성이 있는 여러 경로들에 대한 평가와 다이옥신으로 인한 독성 연구 결과들을 총 9개의 Task로 구분, 정리하였다. 각 Task는 개요, 본문, 결론 및 제안의 순서로 구성되어 있고, 본문에 인용 각 자료를 Technical Annex에 각 국가별로 자세히 소개하였다. 독일과 영국은 이미 오래 전부터 다이옥신류에 관심을 가지고 모니터링 프로그램을 수행하여 효과적인 규제와 정책으로 대처하고 있다. 그러나 남부 유럽이나 유럽연합 새 회원국들은 비교적 다이옥신 관련 연구에 있어 취약한 상황인데, 이 보고서에서는 다이옥신 분석 및 자료 해석과 관리 등을 표준화하여 모니터링 프로그램을 수행할 것을 제안하고 있다. 이 지역의 특성상, 여러 국가들을 흐르는 강과 대기를 통한 국가간 오염물질의 이동 및 식료품 등의 소비재 수출입이 자유롭기 때문에 종합적인 관리가 요구되기 때문이다. 끝으로 영국 Southeast 지역의 Rothamsted Experimental Station에서 1861년 이후의 식물 샘플을 모두 보관하여 HRMS 사용이 비교적 보편화된 이후 다이옥신 이성체를 분석하고 이를 배경 reference value로 사용한 것처럼, 보고서에서 인용된 연구사례들은 지속적이고 장기적인 환경정책의 좋은 귀감이 될 것이다. 1장. 입법과 정책 1. 개요 지난 20년 이상 유럽의회는 건강에 미치는 악영향을 막기 위해 다이옥신 배출을 제어, 감축할 목적으로 폭넓은 입법조치들을 시행해 왔다. 그러나 WHO (The World Health Organisation)는 최근 다이옥신의 1일 섭취량을 몸무게 1kg당 10 pg 2,3,7,8,-TCDD에서 1-4 pg WHO-TEQ/kg으로 (PCB 포함) 낮추도록 권고했다. 이 권고가 유럽연합 회원국들에 의해 받아들여지면 인체 노출을 감소시키기 위한 적절한 수준까지 다이옥신 수준을 낮추어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조치들은 현재의 전문적인 지식과 이미 각 개별 회원국들에 의해 시행되고 있는 부가적인 조치, 법률의 효율적인 집행으로 잘 달성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한 정책들을 수립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와 자료들을 수집, 정리하는 것이 이 프로젝트의 주 목적이다. 이 보고서에서는 개별 회원국들의 다이옥신의 농도를 제어하기 위한 입법조치들을 수집, 비교, 분석하였다. 각국의 상세한 정보는 부록에 정리하였고, 요약 부분에는 (Summary Report) 연구 범위와 방법론에 대해서, 이어 회원국들의 현재 상황을 분석(Analysis)했다. 결론과 제안에서는 다이옥신의 인체 노출을 축소, 제어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했다. 이 자료의 분석은 베를린공대 Institute of Technical Environmental Protection에서 환경화학전공 박사과정에 계신 김상헌님께서 수고해 주셨습니다. 궁금하신 점은 김상헌님께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e-mail : kimscmgh@sp.zrz.tu-berlin.de 첨부 .Dioxin Exposure and Health - Kim sanghun.pdf (2.63 MB) 원문은 관련 URL을 보시기 바랍니다

2001-11-26


Quinsan 원자력발전소에서 개최된 Workshop에 참여하여 Natonal report 발표 및 토의 참여 스크랩

  • 이승혁(null / null)
  • |
  • 환경

IAEA측에서는 본 공동 워크?事?개최 취지 및 그간의 실적에 대한 설명, 그리고 IAEA의 발행문서 체계에 대한 일반적인 설명과 함께 본 워크?事?주제와 관련되며 최근에 발간 및 개정된 문서에 대한 설명이 있었음. - 본 워크?事?주제에 맞는 IAEA 문서에 대한 설명으로 Fundamental에 제시되어 있는 원자력시설의 안전성을 충족시켜야 하는 이유에 대한 다음과 같은 내용을 요약 설명하였으며, 두번째 상위 문서인 Requriements로는 예전의 Safety Code50-C-O(Rev1)를 대체하는 문서인 NS-R-2에 설명과 그 하위문서인 Safety Guide에 대한 예시적인 설명이 있었음. - 다음으로 IAEA사무총장의 자문기구인 INSAG에서 최근에 발간한 문서인 INSAG-13, "Management of Operational Safety in Nuclear Power Plant"과 안전문화에 대한 문서인 INSAG-12, "Safety Culture"에 대한 요약 설명이 있었음.

2001-11-26


Electricity Technology Roadmap 스크랩

1.자료명: Electricity Technology Roadmap 2.저자: Electric Power Research Institute (EPRI) 3.출판사: Electric Power Research Institute (EPRI) 4.출판날짜: July 1999 5.내용소개: 본 보고서는 전기 기술 로드맵에 대해 다루고 있다. 본 전기 기술 로드맵은 전기관련기업과 그것이 제공하는 사회에 광대한 기술적, 제도적인 변화의 기간과 앞으로의 변화에 대해 다루고 있다. 로드맵 발전의 첫 1년에 대한 자료가 또한 본 보고서에 언급되어 있다. 또한 본 보고서는 전기공급, 전기전달, 전기 및 경제적 성장, 환경 및 전세계적으로 인정된 기술 개발 등에 대해 다루고 있다. 추천 대상을 상대로한 주요 결론이 포함되어 있다. This report describes about Electricity Technology Roadmap. The Electricity Technology Roadmap Initiative explores a period of immense technological and institutional change in the electricity enterprise and in the society it serves. The first year of the Roadmap’s development is synthesized in this report. It is supplemented by topical area reports on electricity supply, electricity delivery, electricity and economic growth, the environment, and global sustainable development. Key conclusions and recommendations are included. 6. 목차: · Introduction to the Electricity Roadmap · The Power System Challenge · The Customer Challenge · The Economic Challenge · The Energy/Carbon Challenge · The Global Demographic Challenge 분석자 서문 : 이 분석 보고서의 원문은 미국 ‘EPRI (Electric Power Research Institute)’ 주도하에 개발되고 있는 ‘전기 기술 로드맵 (Electricity Technology Roadmap)’이다. 원문에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전력산업의 도전과 기회가 무엇인지 찾고, 이에 대처할 수 있는 기술개발과 뒷받침할 수 있는 연구자금 투자, 구체적인 목표 등을 명시해 놓았다. Roadmap은 먼저 세계적 성장 (global growth)에 필요한 여러 요건들을 고려하여 상호 의존적인 장기 목표를 설정하고, 목표지점에 도달하기까지 필요한 지식과 능력의 gap을 식별하는 것으로부터 시작하고 있다. 미래 지향적인 성격을 띤 이 전기기술 Roadmap의 발기 (initiative)에는 전력사업에 종사하는 150 여개 기관이 참여하였으며, 하나의 활동 목표를 향해 행보할 것이다. 부록에는 Roadmap 참가자 리스트, 또 다른 미래 시나리오, Roadmap Module Summary, 그리고 참고문헌 등이 들어 있으나 본 분석보고서에는 포함시키지 않았다. Roadmap 분석과 연관지어 세계 여러 지역의 전력산업 현황 내지 전망을 비교하는 것도 의미있을 것이다. 미국의 경우 최근 5년간의 최대 변화와 관심은 전력산업의 구조 조정과 이에 수반된 전력회사들간의 인수, 합병, 그리고 최근 캘리포니아에서 발생한 전력위기 문제를 들 수 있다. 이러한 변화들은 전력기술 개발의 순위 매김과 기획에 커다란 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어, 캘리포니아의 전력위기는 송배전 인프라의 강화 및 새로운 기술, 그리고 새로운 발전소 시설의 필요성을 절실하게 하였다. 서유럽의 경우에는 궁극적으로 시장 단일화를 통해 경쟁을 촉발시킨다는 차원에서 1996년 유럽공동체 (European Union) 15개국이 ‘electricity directive’를 채택한 바 있다. 따라서 서유럽에서는 무엇보다도 앞으로 가열될 시장 경쟁에서 고객 만족의 저렴한 전기 및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이 우선될 듯하다. 일본의 경우에는 10년 넘게 계속된 경제불황으 전력 수요가 제자리 걸음을 하고 있다. 전력 수요는 향후 2020년까지도 불과 연 1.3 % 증가선에서 머물 것으로 추정된다. 일본의 전기요금은 세계에서 가장 높은 편에 속하며 이를 보완하기 위해 늦게나마 전력산업 개혁을 시도하고 있다. 이러한 경제 침체와 전력사업 환경의 변화는 앞으로의 일본 전력기술 개발 전략에 반영될 것이다. 한편, 1990년대에 계속적으로 높은 전력 수요 증가세를 보여온 중국은 2020년까지도 년간 5.5% 정도의 높은 증가세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중국의 경우에는 발전기술의 개발이 우선시될 것이다. 1990년대 말까지 10% 정도의 고도 성장을 보였던 한국의 전력 수요량은 앞으로 2020년까지 연 3 % 정도의 낮지 않은 성장을 지속할 것으로 전망된다. 따라서 이러한 전망을 반영할 수 있는 Technology Roadmap 이 필요하다. 이 자료의 분석은 미국 EPRI에 Senior Consultant로 계신 김종현박사님께서 수고해 주셨습니다. 궁금하신 점은 박사님께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e-mail : jkim@epri.com 첨부 .Electricity Technology Roadmap - Kim jonghyun.pdf 원문은 관련 URL을 보시기 바랍니다

2001-11-26


CAO Board of Directors Report 2000 스크랩

  • 강지훈 강지훈
  • |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
  • 과학기술과 인문사회

The years 1989 and 1995 were highly significant in operational terms. The former saw the computerisation of Leaving Certificate Examination procedures and the latter the establishement of a CAO network linking all participant institutions. The year 2000 has been equally significant operationally in that it saw the first avialability of some CAO services on the Web. Applicants could view their offers of places and their latest acceptances on the CAO Website. There was also a facility for advertising vacancies and enabling interest to be expressed in them. The National Centre for Technology in Education had laid much of the groundwork for this development. For several years past, NCTE and its predecessors had operated an electronic school-based application system - latterly as part of the state-funded Scoilnet. (There were 3000 applications through the scoilnet system in 2000). The number of courses advertising vacancies increased still further in 2000. Some 37 Degree courses and 90 Diploma/Certificate courses were still on offer to qualified applicants at end-ofseason. Of these, 19 Degree and 17 Diploma/Certificate course were fee-paying. Some 1256 persons expressed interest in vacancies - 941 of these were already current-year CAO applicants and 315 were appearing for the first time. (It is both interesting and significant ot note that, of those expressing interest, a great majority did so via the CAO Website). The gradual incease in the numbers of courses with vacancies must be viewed against the backdrop of the great increase in higher education course availability in the 1990s. This increase cannot be ascribed to any decline in the numbers of acceptances; in 2000, these were greater than ever. A detailed scrutiny indicates that vacancies are distributed unevenly. As might be expected, many of them occur in institutions which are not entitled to the fees concession. Otherwise, the factors appear to be subject-area and level of potential award as well as type and geographical location of institution. Tables Two, Three, Four and Five overleaf illustrate some of the main parameters of the year 2000 admission cycle.

2001-11-26



국제원자력법학회 주관 학술회의 참석 및 프랑스 주기적안전성평가 운용현황 조사 스크랩

  • 김효정(null / null)
  • |
  • 환경

◆ 국제원자력법학회 제15차 학술회의 참석 국제원자력법학회(INLA)는 원자력에 관계하는 사회과학 및 기술공학의 국제적 전문가들의 모임으로 원자력에 대한 다양한 시각과 경험을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으며, 최근 들어 국내의 법학계 및 원자력계에 부분적으로 알려지고 있다. 미국 및 유럽의 INLA 회원들이 국제원자력기구에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는 점과 향후 국제원자력기구로부터 비정부기구(NGO)의 승인을 받아 NGO로서 활동영역을 확장하려는 점을 고려한다면 INLA의 국제사회에서의 영향력은 더욱 증대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이제는 우리나라 원자력계에서도 INLA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해야 할 단계에 왔다고 생각된다. 원자력산업의 규모에서 우리나라와 비교가되지 않는 헝가리가 이번 회의를 주최하였으며, 남아프리카가 2003년 유치하고 있는 것을 볼 때 우리도 하루 빨리 INLA 학술회의의 국내 유치를 서둘러야 할 것이다. 더구나 INLA에서는 2005년의 학술회의를 우리나라에서 개최할 것을 요청하고 있음을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 프랑스의 주기적 안전성평가 운용현황 프랑스는 오래전부터 PSR을 수행하여 왔으며, 이에 대한 상당한 경험을 보유하고 있다. 특히 초기에 수행한 CPO계열 원전의 주기적안전성평가에서 제기된 문제점을 토대로 추진방법의 개선 등 많은 노력을 하였다. 우리나라는 현재 제도적인 단계를 떠나 실제 PSR이 수행되고 있기 때문에 많은 시행상의 문제가 제기될 것이다. 이런 경우에 수행경험이 많은 국가들의 경험은 우리의 PSR 수행에 상당한 도움이 되리라고 본다. IPSN에서는 이 분야에 대한 협력에 상당히 적극적이며, 협력사항의 도출을 기대하고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에서의 PSR 진행에 따라 협력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보인다.

2001-11-23


유럽연합(EU)의 주요 과학기술정책과 R&D 동향 및 EU와의 협력증진방안 스크랩

  • 김선옥
  • |
  • 과학기술과 인문사회

이 자료는 보안 문서로 등록이 되어 있습니다. 문서를 열람하시기 원하시는 분은 다음의 사용자 암호를 입력하신 후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사용자 암호 : www.kosen21.org 목차 I. 최근 EU동향 및 주요 정책현안 1. 최근 EU동향 2. 새로운 EU건설(Shaping New Europe)의 정책적 이슈 및 목표 3. EU 집행위(EO: European Commission) 개혁프로그램 II. EU 과학기술정책동향 및 주요내용 1. EU 과학기술정책 추진체제 2. EU 주요 과학기술정책 가. 최근 정책동향 나. EU 연구집중영역계획(European Research Area) 주요내용 III. EU 주요 연구개발프로그램 1. EU Framework Programme(FP) 2. COST 3. EUREKA 4. EU 우주항공기술개발 협력사업 IV. 아국과 EU와의 전략적 과학기술협력방안

2001-11-22


과학기술지표 : 통계집(2001년개정판) 스크랩

  • 강지훈 강지훈
  • |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
  • 과학기술과 인문사회

Table of Contents Chapter 1. Overview of Science and Technology Activities in Japan 1.1 R&D Expenditure 1.2 Science and Technology Human Resources and their Development 1.3 The public and science and technology 1.4 Science and technology and economy and society 1.5 Performance of science and technology 1.6 Integrated indicators - The integr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indicators Chapter 2.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for Science and Technology 2.1 International comparison of mathematics and science education in junior high school 2.2 High school 2.3 University faculties 2.4 Graduate school 2.5 Number of persons obtaining degrees Chapter 3. R&D Systems and the Public Sector 3.1 International comparison of R&D systems 3.2 Features and issues of R&D in Japan 3.3 Government supported R&D 3.4 Science and technology foundations 3.5 R&D in the government sector Chapter 4. R&D in Universities 4.1 Universities as R&D organizations 4.2 Features of and issues facing R&D in Japan's Universities Chapter 5. R&D in Industry 5.1 Comparison of industrial sectors of major nations 5.2 Characteristics of R&D in Japan's industry 5.3 Development of R&D strategies in japan's industry Chapter 6. Achievements 6.1 Science papers 6.2 Patents 6.3 Trade in technology Chapter 7. Social Contribu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7.1 Technological progress and improved productivity 7.2 Innovations in neww product development 7.3 Contribution of telecommunications technology to society and economy 7.4 Contribution of life sciences Chapter 8. Public Opnion on Science and Technology 8.1 Public interest in science and tehcnology 8.2 Biotechnology 8.3 Information technology 8.4 Global environmental issues 8.5 Conclusion Chapter 9. Regional Science and Technology Activities 9.1 Education 9.2 R&D activities 9.3 Policies for regional promo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9.4 Achievements of science and technology activities 9.5 Science and technology activities and regional economies 9.6 Stractural change of regional industries

2001-1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