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향

리포트

리포트는 KOSEN 회원님들이 작성하는 최신연구동향 보고서입니다.
국내외 연구기관에서 발간하는 최신 동향보고서를 제공합니다.

전체 46913

글쓰기
전체 46913
글쓰기

편집자와 리포터가 본 바이오테크놀러지에 관한 견해 스크랩

1. 자료명: Editors and Reporters Guide to Biotechnology (편집자 및 보고자를 위한 생명공학 안내서) 2. 저자: Carl B. Feldbaum(President, Biotechnology Industry Organization) 3. 출판날짜: 2001. 6. 3. 4. 내용소개: 지난 6월에 있었던 미국 San Diego에서 있었던 BioTech 2001에 관계된 자료입니다. 생명공학 일반적인 소개 후에 분야별로 산업화 가능성에 대한 고찰이 들어있습니다. Update된 통계가 분야별로 잘 정리되어 있으므로 연구 과제나 졸업 논문을 준비하는 분들께는 도움이 될 듯 싶습니다. 5. 목차: 생명공학-기술집약산업/기술 및 응용/생명공학산업 통계/생명공학 연대기/윤리학/보건의료/농업/산업용/환경/우주/동물보건/해양/기타/용어집 등 분석자 서문 :생물산업은 인류가 현재 직면해 있는 식량, 질병, 환경 및 에너지 문제 등을 해결하여 인류의 장래를 변화시킬 수 있는 차세대 핵심사업으로 생물공학 기술의 도입으로 기존의 산업들이 생명과학산업으로 전환되고 이와 연계된 고부가가치 산업이 부상할 것이다. 이는 기존 산업과는 달리 무형의 가치가 투입되는 지식 집약산업으로 21세기 유망 산업이다. 앞으로 고품질, 다수확 작물의 개발과 환경 친화적 농업의 확립, 유전자 치료와 새로운 의약품의 공급 등 농업이나 의료 분야는 물론 생물기능을 활용한 화학공업 프로세스로의 전환, 생분해성 고분자 신소재나 바이오 센서, 기능성 식품, 바이오 시약, 기기 등의 신제품 출시, DNA 분석과 토양 복원기술 등의 환경산업이 인류에게 새로운 지평을 열어줄 것으로 기대된다. 이 글은 미국 생명공학산업단체(Biotechnology Industry Organization)에서 제공한 ‘편집자와 리포터가 본 생명공학에 대한 견해’내용을 간추린 것으로 생물공학과 산업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비롯하여 이 산업의 현황, 생물학적 전쟁, 생물농업, 생물의약, 생명공학의 산업적 이용, 생물환경, 동물의료 및 해양 생명공학에 관한 내용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 이 자료의 분석은 동신대학교의 천상욱교수님께서 수고해주셨습니다. 궁금하신 점은 교수님께 문의하시기 바랍니다.e-mail : chonsu@black.dongshinu.ac.kr첨부 Editor’s & Reporter’s Guide to Biotechnology - sangwook.pdf원문은 관련 URL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2001-11-05


Dmin zelator나노과학과 나노테크롤로지의 사회적 함의 분석-전편 스크랩

  • 김재남 김재남
  • |
  • 무소속
  • |
  • 과학기술과 인문사회

1. 자료명: Societal Implications of Nanoscience and Nanotechnology (나노 과학/기술의 사회적 영향) 2. 저자: 미국 국립과학재단 (NSF) Mihail C. Roco and William Sims Bainbridge 편집 3. 출판사: 미국 국립과학재단 (NSF) 4. 출판날짜: 2001년 3월 5. 내용소개: 본 자료는 대통령 직속 자문기관인 미국 국립 과학 기술 위원회 (Natioanal Science and Technology Council) 산하 나노과학/기술 소위원회 (Subcommittee on Nanoscale Sceince, Engineering, and Technology)의 요청으로 미국 국립과학재단(NSF)이 주최하여 2000년 9월 28-29일 양일간 열렸던 Societal Implications of Nanoscience and Nanotechnology Workshop을 NSF에서 workshop report 형식으로 편집한 것이다. 미국의 나노과학/기술을 대표할만한 학교, 연구소, 산업계의 전문가들이 나노과학/기술이 미래 사회에 끼치는 영향에 대하여 발표한 자료를 요약 정리하였고 일부 발표자료는 질문/답변을 통한 토론 내용까지 상세히 정리한 자료이다. 분석자 서문 : 2000년 1월 미국 클린턴 정부는 국립 나노테크놀러지 진흥안 (National Nanotechnology Initiative, NNI)을 발표하고 나노과학과 나노테크놀러지에 약 5억불을 6개 정부부처와 연방기관을 통해 투자하기로 결정했다. 이후 한국, 일본, 유럽 역시 이 분야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정부 차원의 대폭적인 지원을 결정하였다. 본 분석보고서는 2001년 3월 미국 과학기술 자문회의 (National Science and Technology Council, NSET)가 주관한 워크샵에서 논의된 나노테크놀러지의 사회적 파장과 영향을 다각도로 분석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작성되었다. NSET 워크샵은 미국 정부와 미 과학자들이 나노테크놀러지의 미래 파급효과를 일반대중들에게 보다 평 한 언어로 알리고 이 분야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시킨다는 요지를 담고 있다. 첨단테크놀러지의 사회적 영향에 대한 연구는 최근처럼 과학기술의 발전이 산업발달이나 시장경제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는 상황에서는 그 중요성을 더한다. 이런 연구의 목표는 첨단기술의 사회 경제적 파장, 첨단기술의 결과에 따른 사회 변화들을 보다 정확하고 체계적으로 분석, 예측하는 것이다. 이들 연구는 과학기술 발달이 사회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 (예를 들면, 투기성 있는 과대광고, 급격한 과학적 발달로 인한 일반인들의 소외)을 줄일 수 있고 일반 대중이 자신감을 갖고 빠른 시일 내에 새로운 과학기술을 활용할 수 있도록 도와줄 것이다. 또한 이 보고서는 과학이나 공학보다 훨씬 광범위한 주제, 이를 테면 어떻게 나노테크놀러지가 사회를 바꿀 수 있는가, 그리고 이러한 변화를 위해 준비되어야 할 것들은 무엇인지에 대해 논하고 있다. 이 보고서의 결론은 나노테크놀러지 진흥안 제정시의 참가자와 대중들에게 미래의 사회적 함의에 대한 논의의 기초를 제공하게 될 것이다. 원 보고서는 중요 개요와 6개의 장으로 된 본문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분석보고서는 이를 재구성하여 2장에서는 나노테크놀러지 진흥안과 NSET 워크샵의 배경에 대해서, 3장에서는 나노테크놀러지의 여러 분야에서의 목표와 예상되는 경제적 파장을, 4장에서는 사회에 미치는 영향과 교육의 중요성, 5장에서는 사회과학적 접근의 필요성, 6장은 여러 측면에서의 권고사항을, 7장은 분석자 결론을 다루게 된다. 원 보고서의 6장에 해당하는 발표자료는 분석보고서의 후편을 구성하게 된다. 물리학 용어 번역을 위해서 한국물리학회 (http://mulli2.kps.or.kr/) 에서 제공하는 물리학용어집이 사용되었다. 이 자료의 분 은 University of Maryland에 계신 박정영박사님께서 수고해 주셨습니다. 궁금하신 점은 박사님께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e-mail : jpark30@yahoo.com 첨부. Nanoscience and Nanotechnology - Park jeongyoung.pdf 원문은 관련 URL을 보시기 바랍니다

2001-11-02


Wellcome News (Issue 27 Q2 2001) 스크랩

  • 강지훈 강지훈
  • |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
  • 과학기술과 인문사회

Contents ◆ Analysis - The end of the beginning : New horizions for the Wellcome-KEMRI Research Programme - Animals abroad : Wellcome Trust support for international veterinary research - Defence review : Unpicking the immune system - Mentor forward : Supervisors have their say on PhD research training - Ireland on the up : The impact and achievements of the Matching Funding Agreement - Genetic futures : Estimating the impact of genetics on the NHS ◆ Research Directions - The case of the biparental mole : Imprinting and early human development - A molecular syringe : Exploiting toxin transport - Health in transition : Developing demographic research in the Middle East

2001-11-02


Proposal for a Regulation of the European parliament and of the council 스크랩

  • 강지훈 강지훈
  • |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

◆ on genetically modified food and feed Chapter I : Objective and definitions the bojective of this regulation is (a) to provide the basis for the assureance of a high level of protection of human life and health, animal health and welfare, environment and consumers' interest in relation to genetically modifiec food and feed, whilst ensuring the effective functioning of the internal market; (b) to lay down community procedures for the authorisation and supervision of geneticaally modified food and feed; (c) to lay down provisions for the labelling of genetically modified food and feed. Chapter II : Genetically modified food This section shall apply to (a)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s for food use. (b) food containing or consisting of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s, (c) food produced from or containing ingredients produced from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s. ◆ Concerning traceability and labelling of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s and traceability of food and feed products from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s

2001-11-02


2000 회계년도의 전기자동차용 전지 개발 보고서 스크랩

  • 장영일 장영일
  • |
  • 미등재기관
  • |
  • 지구과학(지구/대기/해양/천문)

1. 자료명: Progress Report for the Electric Vehicle Battery Research and Development Program 2. 저자: Office of Advanced Automotive Technologies, U.S. Department of Energy 3. 출판사: U.S. Department of Energy 4. 출판날짜: 2001년 1월 5. 내용소개: U.S. Department of Energy의 Office of Advanced Automotive Technologies에서 운영하는 Electric Vehicle Battery Research and Development Program의 FY2000 보고서로 프로그램의 주요성과와 활동내역을 밝히고 있다. 또한 1999년 7월 13-15일에 열린 Advanced Lithium Solid State Batteries Workshop의 주요 논의사항을 소개하고 있다. 국내외 Electric Vehicle Battery 연구자들에게 유용한 참고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분석자 서문 : 미국 에너지부(DOE; Department of Energy)는 에너지 효율적인 차세대 자동차를 개발하기 위해 1996년 기존의 분산되어 있던 기구들을 통합하의 OAAT (Office of Advanced Automotive Technologies)를 설립하였다. OAAT는 다음과 같이 3개 팀으로 나뉘어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1.Energy Conversion Team Advanced Combustion and Emissions Control Advanced Propulsion Materials Fuel Cells for Transportation Light-Duty Fuels Utilization Cooperative Automotive Research for Advanced Technology (CARAT) Program Graduate Automotive Technology Education (GATE) Program 2.Energy Management Team Electric Vehicle Battery Program High-Power Energy Storage Program Advanced Power Electronics Program 3.Vehicle Systems Team Automotive Lightweight Materials Spark-Ignition Direct-Injection (SIDI) Engine Vehicle Systems Technologies 이 보고서는 전기자동차용 전지 (EVB; Electric Vehicle Battery) 프로그램의 2000 회계년도 보고서로 주요 연구개발 성과와 활동내역을 밝히고 있다. 또한 1999년 7월 13일부터 15일 사이에 개최된 고체상태 리튬전지 워크샵에서의 주요 논의사항을 소개하고 있다. 한국은 산업자원부 산하의 자동차부품연구원 주관으로 1992년부터 차세대 자동차 기술개발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이는 선진 7개국 진입을 위한 차세대 기술을 확립함으로써 미국 캘리포니아 주 등의 무공해 차량 (ZEV; Zero-Emission Vehicle) 규제와 유럽 EURO 규제에 대응할 수 있는 자동차 산업 육성을 지원하기 위한 것이다. 이 사업은 정부와 민간기업이 출자하여 산-학-연 공동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전지 연구개발도 이 사업에 포함되어 있음은 물론이다. 이 분석 보고서가 전기자동차용 전지의 개발에 관심이 있는 분들에게 유용한 참고자료가 되기를 바란다. ([분석자 주]는 보고서 원문에는 없는 참고사항이다.) 이 자료의 분석은 Oak Ridge National Laboratory에 계시는 장영일박사님께서 수고해 주셨습니다. 궁금하신 점은 장영일박사님께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e-mail : yijang99@yahoo.com 첨부 .Electric Vehicle Battery - finkl.pdf 원문은 관련 URL을 보시기 바랍니다

2001-11-01


PPARC annual report 2000-2001 스크랩

  • 강지훈 강지훈
  • |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
  • 과학기술과 인문사회

Contents The science programme - Exciting opportunities for PPARC science - E-science developments Training scientists and engineers - Increased support for researchers Technology and industry - A successful year for applying PPARC science Promoting science and technology - A strong programme in public understanding - People and events Efficiency and operational effectiveness - An improved administrative structure - Telescope operations - Output and performance indicators Scientific highlights - The dark side of the universe - Cluster : a mission to study space weather - What lies at the heart of the millky way? - LEP's glorious decade - PPARC technologies and healthcare Accounts - Foreword to the financial statements - Statement of Council and chief executive's resonsibilities - Statement on the system of internal financial control - Certificate and report of the comptroller and auditor general to the houses of parliament

2001-10-31


국제 우주 학회 스크랩

학회 개요 : International Aeronautics Congress는 International Aeronautics Federation (IAF)에서 주최하는 학회로 우주 개발의 발전과 발생기술의 인도적 차원의 적용이라는 목적 하에 주최되는 우주 분야 최대 학회중의 하나이다. IAF는 1951년 창립된 비영리 기관으로 주로 정부 주도의 우주기관이 회원이나 그 대상을 확대하여 산업체 등도 포함시키고 있으며 현재 45개 국가 161개 기관이 회원으로 가입되어 있다. IAF는 International Academy of Astronautics와 International Institute of Space Law공동으로 매년 다른 나라에서 본 회의를 개최하고 있으며, United Nation과의 협력 하에 개발도상국의 우주개발을 위한 워크샵도 개최하고 있다 이 심포지엄의 보고서는 SaTReCi에 계신 선종호박사님께서 수고해 주졌습니다. 궁금하신 점은 선종호박사님께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e-mail: jhseon@satreci.co.kr 첨부 .International Aeronautics Conference - Seon jongho

2001-10-31


EPSRC : newsline(Mathematics) 스크랩

  • 강지훈 강지훈
  • |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

Contents What's it all about? - Sir Michael Atiyah's personal view More than just a toolkit - The many faces of mathematics Mathematicians make tools for industry - It may seem abstruse, but numerical analysis has direct practical use in industry Marriage of minds - CoMPLEX : the UCL centre where mathematicians and biologists meet and mingle Creative instincts - Art is being used to help bring mathematics to the millions Weather watch - Stormy times ahead? Engineering solutions - Nonlinear mathematics provides engineering insights

2001-10-31


바이오 에너지 입문 - 지속적 발전을 위한 현대적인 생체 에너지 스크랩

  • 홍순규 홍순규
  • |
  • 극지연구소
  • |
  • 지구과학(지구/대기/해양/천문)

1. 자료명 : UNDP project report 2. 저자 : Sirvan Kartha and Eric D. Larson 3. 출판사 : web상의 문서임 4. 출판날짜 : 2000년 5. 내용소개 : 노르웨이 정부로 부터 지원받아서 작성된 생물에너지의 기초적인 UNDP 프로그램 안내서로서 바이오 에너지의 source와 사회적,경제적,환경적 효과와 기술적 소개와 몇나라의 예를 소개하고 있는 쉬운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The Bioenergy Primer is motivated by two observations: (i) bioenergy is a vastly important part of today's imperfect energy system, and (ii) bioenergy systems, if appropriately designed and implemented, have great promise for contributing to future sustainable energy systems and thus to sustainable human development. While illuminating these points, this Primer aims to provide some guidance to program officers in UNDP, local governments, bilateral and multilateral agencies, and elsewhere in facilitating pilot projects that demonstrate sustainable modernized biomass energy systems, with the objective of wider replication of successful projects. 분석자 서문 : 에너지는 인류의 발전 역사 뿐 아니라 빈부에 따라서도 사용유형이 달라질 수 있다. 현대적인 형태의 에너지를 이용하지 못하는 사람들은 대부분 빈곤층이며 특히 빈곤층 여성들은 에너지의 수집 및 사용과 밀접한 연관을 가지고 있다. 생체 에너지는 개발도상국 에너지의 1/3을 담당하고 있으며 특히 가난한 나라의 경우에는 90%에 달하는 경우도 있다. 전기를 이용하지 못하고 있는 인구 또한 세계적으로 15억에서 20억에 달한다. 이들 빈곤층이 빈곤으로부터 벗어나기 위해서는 노동 효율을 높이기 위한 방안이 마련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 가난한 시골에 전기를 공급하고 사용하기 편리한 현대화된 연료를 공급하는 일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또한 기본적인 에너지 수요를 충족시키고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하는 것이 필요하다. 생체 에너지는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 매우 전망 있는 선택 중 하나가 될 것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몇몇 산간벽지나 도서지역을 제외하면 대부분의 마을에 전기가 보급되고 있지만 늘어나는 전기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한 노력은 계속되어야 하며 원자력으로부터 나오는 방사능 폐기물이나 석탄이나 석유를 이용해서 발전 할 경우 발생하는 환경오염 문제, 수력발전을 위한 댐 건설로 인한 생태계의 파괴 등을 고려한다면 생체 에너지를 이용한 발전은 미래의 에너지원으로서 심각하게 고려되어야 할 대안이 될 것이다. 최근 미국 농무부에서는 관용차에 대해서 에탄올 연료 사용을 의무화할 계획이라고 발표하였다. 바이오 에너지의 사용은 오염물질의 방출을 줄인다는 측면에서 선진국에서도 매우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운송용 연료로 사용되고 있는 석유는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상황이며 취사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LNG나 LPG 또한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앞으로 환경 규제가 점점 심해질 것이 예상되고 화석연료의 사용이 결국은 한계를 드러낼 것임을 예상한다면 지금부터라도 생체 에너지의 이용에 대해서 관심을 가지고 실현 방법을 연구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이 문헌에서는 생체 에너지 사용에 있어서 고려되어야 할 사항들 즉, 생체 에너지 자원, 사회경제적 및 환경적 문제, 바이오 에너지 전환기술, 실행에 있어서 고려되어야 할 법적 제도적 문제 및 세계적인 실례에 대해서 고찰하고 있다. 이 자료의 분석은 생명과학연구원에 신 홍순규박사님께서 수고해 주셨습니다. 궁금하신 점은 홍순규박사님께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e-mail : polypore@mail.kribb.re.kr 첨부 .Modernised Biomass Energy - Hong soonkyu.pdf 원문은 관련 URL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2001-10-30


퀘벡 나노기술 보고서 스크랩

  • 김재남 김재남
  • |
  • 무소속
  • |
  • 과학기술과 인문사회

1. 자료명: Quebec Nanotechnology Report 2. 저자: Council of Science and Technology (Quebec) 3. 출판사: Government of Quebec 4. 출판날짜: 2001년 6월 5. 내용소개: 캐나다 쿼벡주의 Council of Science and Technology가 작성한 나노기술 관련 보고서이다. 이 보고서는 nanomaterials, nanoelectronics, nanobiotechnology, modeling and simulation 등 관련 연구분야를 소개하고 있다. 이 보고서는 또한 미국, 유럽, 일본의 나노기술과 캐나다 및 쿼벡주의 나노기술 현황을 비교분석하고 캐나다와 쿼벡주의 나노기술 발전전략을 제시하고 있다. 특정지역의 나노기술 관련 동향과 전망을 파악하는데 유용한 참고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분석자 서문 : 본 연구 보고서는 캐나다 퀘벡 주 과학기술위원회 (Conseil de la Science et de la technologie)가 2001년 6월에 작성한 것으로 전세계의 나노과학기술의 현황을 미국, 유럽, 일본등의 아시아로 나누어 그 현황을 분석하고 있으며, 캐나다의 나노기술 발전과정, 캐나다 각 주별로 이루어지고 있는 나노과학기술 발전과정 및 연구 현황을 분석해 놓았다. 아울러 본서를 작성한 과학기술위원회는 퀘벡주의 실질적인 나노기술 발전과 산업현장에의 응용 가치를 높이기 위하여 대학과 주정부 그리고 산업체가 해야 할 일들에 해한 조언을 내리는 것으로 보고서를 마무리지었다. 본 연구 보고서는 퀘벡주에서 사용되는 프랑스어로 작성되었으며 분석자는 분석시에 정확한 명칭을 명기해야 할 필요가 있는 곳이나, 약자로 정리된 곳에는 명칭의 한국어 번역과 함께 불어 원문을 표기하였다. 본 연구서의 요약문이 국내 나노기술과 관련된 분야에 종사하는 연구인력이나 정책결정자, 향후 나노기술 발전에 이바지하고픈 학생들에게 유익한 고 자료가 되길 바란다 이 자료의 분석은 KAIST 기계공학과에 계시는 김병준님께서 수고해 주셨습니다. 궁금하신 점은 김병준님께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e-mail : zizi@kaist.ac.kr 첨부 .Quebec Nanotechnology Report- Kim byungjoon.pdf

2001-10-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