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 2019년 4월 세계 최초 5G 버티컬 서비스 개시 이후 2020년 이를 본격화하고 있다. 10년 단위의 세대 전환주기를 참작하면 2030년경 6G 이동 통신 서비스 실현이 전망된다[1]. 6G 이동통신 시스템은 초신뢰·초저지연 5감 홀로그램 통신과 같은 초성능, 기가급 실감 영상 공중·해상 통신과 같은 초공간, 10cm 오차 위치측위와 같은 초정밀, 인간 또는 기계와 기계 간 초연결 등의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새로운 디지털 세계의 백본 인프라가 될 것이다.
기존 이동통신에서는 수학적 수단 기반 전송 용량 증대 기법을 꾸준히 발전시켜 왔다. 앞으로 AI(Artificial Intelligence) 단말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할 것이다. 이로 인해 단말 간 새로운 형태의 대용량·대규모 연결 서비스가 증가하면 기존 방법으로는 한정적 무선자원의 최적 활용이 어렵다. 또한, 이론적으로 최고성능 달성 방법이라도 구현 복잡도, 계산량 가중 및 시간 지연 등의 문제가 있다. 최근 이를 해결하고 최적 자원사용에 좋은 ML(Machine Learning)이 등장했으며, 그중 DL(Deep Learning)이 가장 관심도가 높다. 셀 무선자원관리와 셀구성 최적화 등의 무선 네트워킹 분야에 현단계의 ML 기술이 응용되기 시작했다. 반면, 무선구간에서 생기는 다양한 신호 왜곡/간섭 현상을 극복하고, 5G 대비 초접속·초저복잡·초성능을 달성하기 위해 ML을 물리계층에 응용하려는 연구는 몇몇 해결해야 할 근본적 과제가 있다.
본 고에서는 ML 기반 물리계층 기술 개론, 산학연 기관 동향 및 후보 세부기술 동향과 함께, 연구 방향성 및 전망을 제시한다.
CONTENTS
--------------------------------------------------------------------------------------------------------
Ⅰ. 서론
Ⅱ. ML 기반 물리계층 기술 개론
Ⅲ. 산학연 기관 동향
1. 삼성
2. 에릭슨
3. 노키아
4. 화웨이
5. DARPA & 프론호퍼
6. 오울루(Oulu) 대학
Ⅳ. ML 기반 물리계층 기술 동향
1. MIMO
2. 채널코딩
3. 다중접속
4. 신호추정
5. 채널추정
6. 동기
7. 변복조
8. 위치측위
Ⅴ. 연구의 방향성 및 전망
Ⅵ. 결론
--------------------------------------------------------------------------------------------------------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통해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출처 : 전자통신동향분석 Vol.35 No.5 / AI 기반 이동통신 물리계층 기술 동향과 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