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향

리포트

리포트는 KOSEN 회원님들이 작성하는 최신연구동향 보고서입니다.
국내외 연구기관에서 발간하는 최신 동향보고서를 제공합니다.

전체 46708

글쓰기
전체 46708
글쓰기

플라즈마를 응용한 오존을 이용한 농작물 청정도 개선기술 스크랩

  • 장현경 장현경
  • |
  • 선문대학교
  • |
  • 전기/전자

농작물은 유통하기에 앞서 대부분의 경우 창고에 일정 기간 저장하게 되는데 이때부터 농작물은 이미 숙성이 시작되어 출하 시에는 이미 상당 부분 변질이 되어 최종소비자의 식단에 오르기까지 유통 및 수송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상품 가치가 하락하게 된다. 이를 개선하고자 제4의 물질이라 일컫는 플라스마를 응용한 오존을 이용하여 농작물 청정도 및 신선도를 대폭 개선하는 기술이 등장하였다. 이 보고서에서는 이 기술의 동향에 대해 알아보기로 한다.

2024-02-13



[보고서] [이슈 브리핑] 글로벌 제약기업 1위 화이자 2023년도 매출 큰 폭 하락 스크랩

  • 한국바이오협회
  • |
  • 생명과학

□ 화이자, 2023년도 매출 실적 발표 - 전년 대비 42% 감소(’24.1.30) - 화이자는 1월 30일 실적 발표에서 2023년도 매출이 585억 달러로 2022년도 1003억 달러 대비 42% 감소했다고 발표함. 이는 코로나19 제품인 코미나티(백신) 및 팍스로비드(치료제)의 급격한 매출 감소에 기인한다고 설명함.   □ 이러한 매출 감소에도 불구하고, 화이자는 2023년에 두 개의 강력한 사업성과를 거뒀다고 평가함. - 2023년 한해 화이자는 전세계에서 가장 많은 FDA 허가를 받은 기업이었다고 밝힘. 화이자는 FDA에서 신물질신약 및 바이오신약을 포함해 총 9개의 신약을 허가받았으며 이들 신약들이 향후 매출 증가에 큰 기여를 할 것이라고 밝힘. - 또한, 2023년 12월 시젠(Seagen)과의 합병을 마무리했고 이는 화이자가 세계적인 항암제 리더가 되는데 중요한 발걸음이 될 것이라고 강조함.   □ 아울러 기업의 미래를 위해 2023년에는 내부 연구개발 과제에 107억 달러를 투자하고 시젠 인수를 포함해 외부 거래를 마무리하기 위해 438억 달러를 투자했다고 밝힘.

2024-02-13


수소경제사회 실현을 위한 액체암모니아 전기분해 기술 관련 소개 스크랩

  • 김주남 김주남
  • |
  • 일본 국립연구기관법인 농업식품산업기술종합연구소
  • |
  • 에너지/자원

액체 액화 암모니아 전기분해 기술은 이산화탄소 배출 없이 수소를 생산할 수 있는 친환경 기술로, 기후 변화 대응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 기술은 기존의 천연가스나 석탄을 이용한 암모니아 생산 방식을 대체하여, 2050년까지 전 세계 암모니아 생산량의 70%가 친환경적인 방식으로 전환될 경우, 전 세계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약 10억 톤 줄일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진다. 

2024-02-08


[2월 2주] 다보스 2024에서 바라본 AI의 역할과 위험 스크랩

  • 정보통신산업진흥원
  • |
  • 정보/통신

다보스 2024는 AI의 중요성이 날로 커지고 있음을 증명하는 자리였음.이번 총회에서 각 분야의 대표들이 AI의 혁신적 잠재력을 강조하고 그에 따른 혁신적이고 신중한 거버넌스의 필요성에 대해 토론함. 현재 AI가 고용과 글로벌 규제에 미치는 영향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며, 이는 일자리 환경의 변화를 예고하고 생산성,임금 상승, 교육에 대한 새로운 접근 방식이 필요함을 의미함. 다보스에서 공개된 국제통화기금(IMF)의 'AI세대' 보고서는 선진국 일자리의 최대 60%가 AI로 인해 위험에 처해 있다는 사실을 보여줬으며, 이에 따라 AI 기술 교육과 적응의 시급성이 화제로 떠오름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2024-02-08


[보고서] [이슈 브리핑] 유럽 EMA, 아프리카의약품청 설립 지원 스크랩

  • 한국바이오협회
  • |
  • 생명과학

□ 유럽의약품청(EMA), 아프리카의약품청(AMA) 설립 지원 발표 - 2024년 1월 26일, 유럽의약품청(European Medicines Agency)은 보도자료를 통해 유럽집행위원회(EC)에서 1천만 유로의 보조금을 받아 아프리카의약품청(African Medicines Agency) 설립을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힘.   □ 아프리카의약품청(AMA) 개요 - 2021년 11월 우간다가 아프리카의약품청 협약에 15번째로 비준서를 기탁하면서 아프리카의약품청이 공식적으로 설립될 수 있는 요건이 충족되었으며 그해 12월에 공식 출범함.   □ 유럽의약품청의 아프리카의약품청 설립 지원을 계기로 양 대륙의 규제기관간의 인적 교류가 활발해 지고 유럽에 대한 신뢰도 높아질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됨.   □ 아프리카의약품청에 이어 2023년 6월에는 아르헨티나, 브라질, 칠레, 콜롬비아, 쿠바, 멕시코 의약품 규제기관이 참여하는 라틴아메리카 및 카리브해 의약품청(AMLAC, Latin American and Caribbean Medicines Agency)이 설립됨.   □ 아프리카와 라틴아메리카/카리브해 의약품 규제기관들이 설립되는 초기에 이들 기관들과 선제적 관계정립은 의약품 및 의료기기 허가?등록, 기업 및 제품에 대한 신뢰성, 비관세장벽 해소 등에 있어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임. 

2024-02-08



[2월 2주] 신흥 강자로 떠오르는 UAE 온라인게임 산업 스크랩

  • 정보통신산업진흥원
  • |
  • 정보/통신

최근 북미와 아시아의 온라인 게임 시장이 과열되면서 게임 개발사들이 신규 시장 개척에 나선 가운데, UAE가 온라인 게임 시장의 신흥 강자로 떠오르고 있음. 시장조사기관 스태티스타(Statista)의 조사에 따르면, UAE의 게임 시장은 2024년 4억 2,090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됨. 이후 2027년까지 연평균 성장률 5.4%를 유지하며 꾸준히 성장하여 시장 규모는 4억 9,290만 달러를 기록할 것으로 추산됨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2024-02-08


[보고서] [이슈 브리핑] 독일 싸토리우스, 2024년 매출 성장 한국이 견인 전망 스크랩

  • 한국바이오협회
  • |
  • 생명과학

□ 써모피셔, 다나허, 싸토리우스 등 글로벌 기업들의 2023년도 바이오 원부자재 매출 전년 대비 20% 내외 하락 - 2024년 1월 말 발표된 주요 글로벌 기업들의 2023년도 실적 발표에 따르면 바이오 제조공정에 사용되는 원부자재 매출이 크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남. 이는 코로나19 이후 수요의 급격한 감소, 바이오기업들에 대한 투자 감소, 미-중간의 지정학적 긴장 등을 포함한 거시경제적인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분석됨. - 써모피셔, 다나허, 싸토리우스의 바이오공정 원부자재의 2023년 매출은 전년 대비 각각 26%, 18%, 17% 감소함.   □ 독일 싸토리우스는 호황을 누리고 있는 한국의 바이오의약품 제조 시장을 주목하고 있으며, 2024년 성장의 주요 동인으로 한국 시장에서의 입지 확대라고 밝힘. -1월 26일, 싸토리우스 Joachim Kreuzburg 대표이사는 2023년 실적 발표에서 2023년 한 해는 코로나19 팬데믹 종료 이후 고객들의 재고 축소 및 중국 등에서의 수요 감소로 판매 수익이 일시적으로 감소했다고 밝힘. 그러나 2024년은 팬데믹 이전 수준을 상회하면서 수익성 있는 성장을 전망하고 있다”고 밝힘. - 싸토리우스 바이오공정솔루션 부문 Rene Faber 대표는 한국의 제조시설에서 세포배양 배지, 일회용 백, 의약용 필터 등을 생산할 계획이며, 한국 뿐만 아니라 아시아 바이오기업들을 위해 제품공정개발 및 교육훈련 실험실도 운영할 계획이라고 밝힘. - 싸토리우스 Kreuzburg 대표이사는 싸토리우스는 한국이 이러한 시설들을 운영하기에 ”매우 안정적인 시장(very stable market)“으로 간주하고 있다고 언급함.

2024-02-07


서버 및 엣지향 NPU 기술개발 동향 스크랩

  • 정보통신기획평가원
  • |
  • 정보/통신

ChatGPT 등의 영향으로 초거대 AI모델 처리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됨에 따라 인공지능 서비스 수행을 위한 지능형 반도체의 필요 수량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기존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GPUㆍCPU 기반의 범용 지능형 반도체는 다양한 인공지능 모델의 학습 및 추론을 높은 성능으로 수행이 가능하나, 가격과 소모전력이 높아 초기 구축 및 유지 비용이 크다. 이는 지능형 반도체의 성능뿐만 아니라 가격ㆍ전력 등 전반적인 효율성을 중요한 이슈로 만들었다. NPU는 인공지능의 특정 연산에 최적화된 지능형 반도체로, 해당 분야에서는 범용 GPU에 비해 우수한 소모전력과 성능을 제공한다. 국내외에서는 NPU가 범용 GPU를 대체할 수 있는 차세대 지능형 반도체로 기대하며 글로벌 대기업뿐만 아니라 우수한 기술력을 보유한 스타트업들이 기술 개발에 뛰어들고 있다. 최근에는 NPU가 실제 인공지능 서비스에 적용되어 우수한 성능을 보이는 사례가 늘고 있어 향후 가파른 성장세가 기대된다. 본 고에서는 서버 및 엣지를 타깃으로 하는 NPU 기술의 국내외 동향에 대해 살펴보고 이를 통해 NPU 기술의 현주소와 향후 전망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2024-0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