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향

리포트

리포트는 KOSEN 회원님들이 작성하는 최신연구동향 보고서입니다.
국내외 연구기관에서 발간하는 최신 동향보고서를 제공합니다.

전체 46913

글쓰기
전체 46913
글쓰기

6가 크롬의 생물학적 정화 스크랩

심층정보 프로그램을 통해 각 분야 최고의 전문가들이 조사분석하여 제공하는 살아있는 정보입니다. 이자료는 KISTI 의 해외과학기술동향 심층정보에서도 제공됩니다. --------------------------------------------------------------------------------------------------------- 저자 : 박 철 호, Ph. D., Senior Research Scientist, Applied Molecular Evolution e-mail : chparkca@yahoo.com 요약 : 산업혁명 이후 산업의 급격한 발달로 인한 환경 오염문제가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나 현재까지 이에 대한 완벽한 해결책은 없는 실정이다. 특히 중금속의 경우 미량이라도 일단 흡수되면 잘 배설되지 않고 체내에 지속적으로 축적됨으로써 장기간에 걸쳐 다양한 부작용을 나타내게 된다. 각종 폐수나 자연환경으로부터 중금속을 제거하기 위한 기존의 물리, 화학적 공정들이 기술적인 혹은 경제적인 문제점을 지니고 있음에 따라 최근에 생물학적인 방법을 사용해서 중금속을 제거하려는 시도가 미국 등 선진국을 중심으로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6가 크롬의 경우 다양한 종류의 산업체에서 광범위하게 쓰이기 때문에 그 오염정도나 범위가 다른 중금속에 비해 훨씬 많은 실정이다. 크롬 도금공장이나 스테인리스 스틸 가공공장을 비롯해서 6가 크롬을 사용하는 많은 산업체 주변이 방출된 크롬으로 급격히 오염되었거나 오염되어 가고 있다. 또한 6가 크롬은 물에 작 녹기 때문에 지하수 등을 통해 쉽게 다른 지역으로 퍼져나가게 되고 인체에 지속적으로 축적되면 각종 독성이나 돌연변이 및 암을 유발하는 등 그 폐해가 심각하다. 최근에 6가 크롬을 독성이 거의 없고 물에 잘 안 녹는 형태인 3가 크롬으로 환원시키는 미생물들이 발견되고 해당 효소의 순수정제 및 유전자 클로닝이 이루어짐으로써 이를 이용한 6가 크롬의 정화가능성에 초점이 모아지고 있다. 그러나 아직은 이와 같은 시도가 실용화되기까지 해결해야 할 문제점들이 많이 있다. 본 보고서에서는 6가 크롬 환원 미생물 및 효소에 대한 지금까지의 연구결과를 소개하고 이를 이용한 6가 크롬의 정화가능성 및 산업화와의 연계가능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 궁금하신 점이 있으시면 저자에게 직접 문의하세요. 첨부화일 Cr(VI) Purification - Park chulho.pdf

2001-10-20


유럽표면학회 스크랩

  • 김상훈 김상훈
  • |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
  • 과학기술과 인문사회

학회 개요 : 2001년 9월 4일부터 7일까지 폴란드 크라코프에서 제20 회 유럽표면학회(ECOSS)가 열렸다. 유럽물리학회(EPS)의 표면, 계면 분과와 국제 진공과학, 기술, 응용 연합(IUVSTA)의 표면과학 분과 주관 하에 열린 이번 학회에서는 124편의 구두발표와 350편의 포스터 발표, 4편의 기조강연(plenary) 과 10편의 초청강연이 있었다. 규모상으로는 중간 정도의 학회였지만 위원장이 개막사에서도 밝혔듯이 지난 10년간 발표 건 수가 약 600편 정도의 규모를 계속 유지해 온 것은 표면 과학의 중요성과 이에 대한 꾸준한 관심을 반영한다 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차세대 기술로서 나노 과학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이 갈수록 높아진다는 점을 고려할 때 표면과학의 중요성과 관심은 더욱 늘어갈 것이다. 이 추세에 맞추어 내년부터 ECOSS는 나노과학 기술 학회인 NANO와 같이 진행될 예정이다. (내년은 스웨덴의 말뫼(Malmoe)에서 21회 ECOSS와 7회NANO가 함께 개최됨) 이 학회의 보고서는 독일 Fritz-Haber-Institut der Max-Planck-Gesellschaft에 계시는 김상훈님께서 수고해 주셨습니다. 궁금하신 점은 김상훈님께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e-mail ginnre@yahoo.com 첨부파일 .Surface Science - Kim sanghoon.pdf

2001-10-20


SCAR bulletin (No 142 JULY 2001) 스크랩

  • 강지훈 강지훈
  • |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

◆ Summary Reports to XXVI SCAR Tokyo, Japan, 17-21 July 2000 - Working Group on Biology - Working Gruop on Geodesy and Geographic Information - Working Group on Glaciology - Report of the Joint Meeting of the Working Groups on Geology and Solid-Earth Geophysics - Working Group on solid-Earth Geophysics - Working Group on Human Biology and Medicine - Working Group on Physics and Chemistry of the Atmosphere(PACA) - Working Group on Solar-Terrestrial and Astrophysical Research (STAR)

2001-10-19


2001 ECS/ISE Joint Meeting 스크랩

The 200th Meeting of The Electrochemical Society, Inc. and the 52nd Meeting of The International Society of Electrochemistry 학술회의 개요 : 1902년에 350명의 회원으로 시작한 The Electrochemical Society (ECS)는 가장 규모가 큰 전기화학회이다 (http://www.electrochem.org). 2000년 10월 현재 7845명이 개인회원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이중 한국 회원은 219명이다. 1902년 4월에 52명이 참석한 가운데 최초의 학술대회를 개최한 이래로 매년 2회의 학술대회를 개최해 오고 있다. 금년도 하반기에는 제 200회 학술대회를 기념하여 International Society of Electrochemistry (ISE)와 합동으로 2001년 9월 2일부터 7일까지 미국 캘리포니아 주의 샌프란시스코에서 학회를 개최하였다. ISE는 현재 60 여개국 출신 1400 여명의 개인회원이 활동하고 있다 (http://www.ise-online.org). 이번 학술대회에서는 24개의 심포지움에서 총 1575편의 논문이 발표되었다. 분야별 발표 논문 수를 살펴보면 전지 (Batteries)와 연료 전지 (Fuel Cells) 등이 전기화학 연구자들에게 많은 주목을 받고 있으며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 보고서에서는 가장 많은 논문이 발표되고 또한 본 보고자가 논문 발표자로 (Abs. #163, "Li Diffusion and High-Voltage Cycling Behavior of Thin-Film LiCoO2 Cathodes, 9월 3일 오전) 직접 참여하였던 전지 심포지엄을 주로 다루기로 한다. 이 학회의 보고서는 미국 Oak Ridge National Laboratory에 계신 장영일 박사님께서 수고해 주셨습니다. 궁금하신 점은 장영일 박사님께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e-mail : yijang99@yahoo.com

2001-10-18


새로운 시대의 재료 스크랩

분석자 서문 : 이 보고서는 National Research Council의 Solid State Sciences Committee Forum (1999년 2월 16-17일)에서 논의된 사항들을 소개하고 있다. 정부, 산업계, 대학의 주요 책임자급 인사들이 이 포럼에 참여하여 지난 10년간 고체물리 및 재료연구 분야에서 이루어진 주요성과를 논의하였다. 또한 재료분야에서 새로이 주목받고 있는 영역을 기초과학적 관점과 사회적 관점에서 논의하였다. 이 보고서에서 다루고 있는 내용은 (1) 재료과학을 둘러싼 정치적 환경과 예산문제, (2) 재료연구와 관련하여 정부 연구소, 산업계 및 대학의 변화하는 역할, (3) 교육, 기반시설, 새로운 분야 등이다. 이 보고서 전반을 통하여 과학자들뿐만 아니라 정치인들과 일반대중에게도 재료과학의 중요성을 인식시키는 것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 포럼의 기조연설을 통하여 미 국회의 과학정책 관계인사와 정치인의 관점에서 본 과학정책의 문제점과 해결방안을 제시하고 있는 점이 흥미롭다. 이 보고서는 국내외 재료관련 연구자와 과학기술 정책 담당자들이 미국의 재료 및 물리과학 관련 정책의 운영, 성과 및 발전방향을 파악하는데 유용한 참고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 자료는 미국 Oak Ridge National Laboratory에 계신 장영일 박사님께서 수고해 주셨습니다. 궁금하신 점은 장영일 박사님께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e-mail : yijang99@yahoo.com 첨부 .Materials in a New Ear - finkl.pdf 원문은 관련 URL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2001-10-18


국제 생체역학회 스크랩

  • 임현균 임현균
  • |
  • 한국표준과학연구원
  • |
  • 보건의료

학회개요 :ISB는 국제 학술세미나로서 스위스 츄리히 ETH에서 Dr. Jurg Wartenweiler에 의해 1967년에 최초로 개최되었다. 이번 18회 학술대회는 34년만에 최초 개최지에서 다시 열림으로써 더욱 의미가 깊었다고 할 수 있다. 1973에는 Penn State University에서 정식 국제학회로 결성되었으며, 현재 정회원 수는 1,000명에 불과하지만 이 학회에서 운영하는 Biomech-L이라고 하는 메일링 서비스에 가입한 회원의 수는 62개국 4,300명에 이르고 있다. 학회에서 발행하고 있는 ‘Journal of Biomechanics’는 SCI impact factor 1.484 (1999년 기준)로 비슷한 저널 중에서는 매우 높은 편이다. 학술대회는 2년에 한 번씩 개최되는데 2년 전 대회는 Canada Calgary에서 개최되었으며, 2년 후 대회는 뉴질랜드에서 개최될 예정이다. 학술대회는 5박 6일 일정으로 5개의 구두 발표회장과 4개의 포스터 전시회장에서 진행되었다. 총 850개의 초록이 접수되었고 800여명의 회원이 참가한 것으로 집계되었다. 학술대회 기간 중 세계적으로 인지도가 높은 의공학/생체역학/의료기기 관련 제품을 생산하는 7개의 스위스 기업이 중점적으로 스폰서를 하였고 20개 업체가 부스를 마련하여 제품전시 및 자료를 제공하였다. 이 학회의 보고서는 Baylor College of Medicine에 계시는 임현균박사님께서 수고해 주셨습니다. 궁금하시 점은 임현균박사님께 문의하시기 바랍니다e-mail : limbear@chollian.net첨부.International Society of Biomechanics - hk Lim.pdf

2001-10-18


전기화학계면에 관한 국제 컨퍼런스 2001 스크랩

학술회의 개요 : 본 ICEI 2001학회는 서로의 관심 연구 분야에 대해서 자유로이 질문과 답을 주고받을 수 있는 분위기에서 진행되었다. 학회의 세부 주제는 9가지로 나뉘어 있었지만 참가자들의 관심이 분산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구두발표는 한 장소에서 이루어졌다. 한 분야에서 오랫동안 독특한 기여를 해온 연구원들에게만 30분간의 구두 발표 기회가 주어졌다. 포스터발표는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져 15분간의 구두발표가 포함된 포스터-구두발표와 보통의 포스터 형식이 있었다. 두 편의 Planeary lecture가 있었으며 첫 발표는 일요일 (8일) 저녁에 있었던 Ottawa대학 화학과 B. Conway 교수 (http://www.science.uottawa.ca/chem/prof/Conway/default.htm)의‚ 표면화학의 기수로서 표면 전기화학의 방향(Directions of Electrochemical Surface Science as Leading Edges of Surface Chemistry)이었다. 1990년 초반부터 그는 전기화학자들이 초고용량 전기화학 커패시터의 개념을 이해하고 응용할 수 있도록 노력해왔다. 두 번째는 학회 마지막 날 있었던R. A. Markus교수의 발표였다. 현재 칼텍의 화학 & 화공학과 교수인 Markus이론을 계기로 그는 1992년 노벨화학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http://chemistry.caltech.edu/faculty/marcus/index.html). 이번 학회에서 발표된 세부주제들은 다음과 같이 9분과로 나눌 수 있다. (괄호안의 숫자는 해당 세부분야의 발표논문 편수). (1)Ultrafast electrochemical and spectroscopic methods (9) (2)Spectroscopic and diffraction methods (14) (3)Imaging of surfaces, surface forces and surface processes (13) (4)Nanostructured electrode surfaces and materials (17) (5)Structure and reactivity of the metal/solution interface (15) (6)Structure and reactivity of the liquid/liquid interface (8) (7)Organized thin organic films at electrode surfaces (23) (8)From fundamentals to technologies of the future (9) (9)Recent developments in quartz crystal microbalance (8) 이 학회의 보고서는 독일 Fritz-Haber-Institut der Max-Planck-Gesellschaft에서 Electrochemistry 분야에서 연구를 하고 계신 이재영님께서 수고해주셨습니다. 궁금하신 점은 이재영님께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e-mail : jlee@fhi-berlin.mpg.de 첨부 .Conference on Electrified Interfaces - Lee jaeyoung.pdf

2001-10-17


Implementing the government performance and results act for research 스크랩

  • 강지훈 강지훈
  • |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
  • 과학기술과 인문사회

The Govenrment Performance and Results Act (GPRA), enacted by Congress in 1993, requires that all federal agencies evaluate and report on the results of that all federal agencies evaluate and report on the results of their activities annually. This followup report, by the COSEPUP Panel on Research and the Government Performance and Results Act 2000, describes the panel's analysis of how federal agencies that support science and engineering research are responding to GPRA. The panel and engineering research are reponding to GPRA. The panel decided to focus its work on the five agencies that provide the majority of federal funding for research : National Science Foundation (NSF),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NIH), Department of Defense (DOD), Department of Energy (DOE), and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NASA). As it began its examination of the strategic and performance plans and reprots of these agencies, the panel found that, given the preliminary state of change of the agency's approach to GPRA for its research programs and the different organization and methodology of each, the apnel could only conduct a "snapshot" of each agency's approach. Futher, only general, not agency-specific, conclusions and recommendations were appropriate at this time. After a series of focus groups, a workshop, and numerous other communications with agency representatives and oversight bodies, the panel reached the following 10 conclusions: 1. All five agencies have made a good-faith effort to develop reporting procedures that comply with the requirements of GPRA. 2. Some agencies are using the GPRA process to improve their operations. 3. The most effective technique for evaluating research programs is review by panels of experts using the criteria of quality, relevance, and, when appropriate, leadership. 4. Oversight bodies and some agencies need clearer procedures to validate and verify agency evaluation. 5. Agencies choose to aggregate their research programs at different levels. 6. The development of human resources as an agency objective sometimes does not receive explicit emphasis or visibility in GPRA plans and reports. 7. Agencies often receive conflicting messages from oversight bodies about the desired format, content, and procedures to be used in GPRA compliance. 8. Due to timing requirements built into the legal guidelines of GPRA, agencies find that they must begin work on performance plans before the relevant performance reports are complete. 9. Communication between agencies and oversight groups is not sufficiently regular, extensive, or collaborative. 10. The degree to which the results of GPRA reporting of research programs are being used by oversight groups for programmatic decision-making is not clear.

2001-10-17


SCAR report (No 20 May 2001) 스크랩

  • 강지훈 강지훈
  • |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
  • 과학기술과 인문사회

This second SCAR Antarctic Geodesy Symposium was held at the Scientific Centre of Polish Academy of Sciences, Warsaw. It was attended by up to 30 participants, which included representatives of ten SCAR countries. Professor Linsenbarth hosted a reception for participants at the Instytut Geodezji i Dartografii followed by a technical tour of the facilities. The program was a blend of background of Polish Antarctic activities related to Geodesy. This included Professor Guterch who also outlined Arctic activities, Professor Birkenmajer with a history of Polish Polar research including his extensive work in the Antarctic peninsula and with Geographical names for geological mapping in the area. Professor Sledzinski outlined his experiences with the 1958 expedition to Dobrowolski in the Bunger Hills including his pendulum absolute gravity observations at that site. The program continued with presentations on the recent geodetic activities in Antarctica and a proposal for Physical Geodesy Database (Dr Alessandro Capra) and an impressive Internet distributed GIS system for Antarctica (Nengchen Chen, China). Of particular note was the attendance of Dr Alexander Yuskevitch the new Russian representative to the SCAR WG_GGI replacing Dr Soudakov. Participants gave an indication of their plans for activities for the next summer season 1999/2000. The second day presentations were rounded of with a technical tour to the Borowa Gora fundamental geodetic observatory where a prototype portable Absolute Gravity meter was demonstrated by Dr Zanimonskiy. A Polish barbecue followed an impressive display of the new JAVAD GLONASS/GPS receiver in the evening. IT was very successful event well hosted by the Polish Institute of Geodesy and Cartography. Whilst every effort has been made to secure the final versions of the papers presented at AGS99 there were a number which could not be provided. Where this is the case we have published the abstract provided to us before the Symposium.

2001-10-17


제 7차 미국 컴퓨터 협회 데이터 마이닝 학회 스크랩

  • 김상선 김상선
  • |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
  • 정보/통신

학술회의 개요 : 데이터 마이닝은 고전적인 통계학과 컴퓨터 과학의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분야 중 하나인 기계 학습(machine learning), 데이터베이스(databases) 등 여러 분야가 만나는 접점에서 생겨난 신생 컴퓨터 학문의 하나로 최근 10년간 매우 폭발적인 인기를 얻고 있다. 미국컴퓨터협회(Association of Computing Machineries, ACM)가 주최하는 데이터 마이닝 학회는 1995년의 제 1차 학술회의 이래 매년 큰 규모로 열리고 있으며 올해가 일곱 번째이다. 최근의 데이터 마이닝은 인터넷을 통한 상거래 행위가 비약적으로 증가하고 전자적으로 얻을 수 있는 데이터나 문서의 양이 과거에 비해 상상을 초월하는 규모로 증가함에 따라 새로운 국면을 맞고 있다. 데이터 분량이 증가함에 따라 전통적인 데이터 마이닝 기법을 적용하기가 점차 어려워지고 있어 대량 데이터를 다룰 수 있는 신 기술의 도입이 절실히 요청되고 있다. 이번 학술회의를 통해서는 특정 분야를 심도 있게 다룬 각종 워크숍, 연구 논문과 응용 논문의 발표, 포스터 논문의 발표, 기본 분야에 대한 전문가 튜토리얼 강의, 쟁점이 되는 토픽을 놓고 전문가들이 벌인 패널 토의, KDD 컵 대회 등 다양한 학술 활동이 이루어졌다. 연구 논문들은 주로 분류(classification), 연관 규칙(association rules), 시각화(visualization), 양방향 데이터 마이닝, 웹 마이닝(web mining) 등을 다루고 있고, 응용 분야에서는 마케팅, 제조업, 의학, 재정/경제, 항공우주공학 등 각종 분야에서의 데이터 마이닝 응용에 대한 논문이 주로 발표되었다. KDD 컵(KDD-CUP)이라 이름 붙여진 경쟁 부문에는 35개 팀이 참여하여, 전자상거래를 위한 웹 사이트에서의 기록을 근거로 향후 소비자의 행동을 예측하는 문제를 놓고 각자 개발한 알고리즘을 내세워 경쟁을 벌였다. 한편 전체 학술회의에는 30여개국으로부터 1천여명이 등록했으며, 한정된 분야만 다룬 학술대회임에도 성황을 이루었다. 올해는 예년과 다름없이 미국인공지능학회(AAAI)와 미국컴퓨터협회의 데이터베이스 분과(SIGMOD)가 학술대회의 주최 측 스폰서를 맡았으며, 기업으로는 컴팩(Compaq), IBM,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 새스(SAS), SGI, SPSS가 골드 스폰서로, 그리고 앰독스(Amdocs)와 블루마티니(Blue Martini)가 실버 스폰서로 협찬했다. 내년도 제 8차 데이터 마이닝 학회는 캐나다 앨버타주 에드몬튼에서 미국인공지능학회와 함께 열릴 예정이다. 학회의 보고서는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에 계시는 남은영님께서 수고해 주셨습니다. 궁금하신 점은 남은영님께 문의하시기 발바니다 pebronia@mail.utexas.edu 첨부 .2001 ACM SIGKDD - Nam eunyoung.pdf

2001-1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