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향

리포트

리포트는 KOSEN 회원님들이 작성하는 최신연구동향 보고서입니다.
국내외 연구기관에서 발간하는 최신 동향보고서를 제공합니다.

전체 46913

글쓰기
전체 46913
글쓰기

EU 동향(2001.5) 스크랩

  • 최대화
  • |
  • 과학기술과 인문사회

(일반 동향) I. 스톡홀름 EU 정상회의 결과(종합) II. 스톡홀름 EU 정상회의 결과(EU의 사회정책) III. EU-러시아 정상회의 결과 IV. 코소보 공여국회의 결과 (경제,재정,금융동향) V. EU금융시장 단일화 추진동향 VI. 유로화 동향 VII. 최근 유럽의 금융감독 개편 논의 VIII. 미국경기 둔화의 영향 및 유럽경제 전망 (산업,기술 동향) IX. EU의 제6차 연구개발기술계획 추진수립동향 X. EU기업의 대금결제 현황 XI. EU의 제5차 중소기업 보고서 XII. EU진정상품 병행수입관련 동향 XIII. EU의 구제역 파동 및 대응 (정보화 동향) XIV. EU기업의 디지털 정보화 정책 XV. EU의 정보화(eEurope) 정책의 중간 성과 (환경동향) XVI. EU의 화학제품에 대한 관리방안 XVII. EU 환경정책의 신방향

2001-09-25


Life Science frontiers in the new century : Scientists in Asia and the pacific RIM 스크랩

  • 강지훈 강지훈
  • |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
  • 과학기술과 인문사회

- Building Life Science Highway in Asia and the Pacific Rim : Cooperation of Scientists, Governments and Industires to Created Network of World Class Research Centers of Excellence - Biomedical Research and Genomic Medicine at IMSUT and Genome Bay Tokyo linked to Life Science Highway of Asia and the Pacific Rim - EMBO in a world context - NIH and NIAID as partners with scientists in Asia and the Pacific Rim - Life Science Frontier in Singapore - The walter and eliza hall institute of medical research : Achievements, directions and future challenges - Life Science and medicine in china - On research in a small country - Priorities and illustration by success in vaccines against autoimmune diseases - Prospects of molecular biology and biotechnology in Korea - Sequencing the human genome - Bioinformatics in the post-genomic Era - Functional genomics, Rnomics and computational biology : Exploring the genetic and molecular basis of phenotypic complexity and diversity - New technologies and the understanding of cellular mechanisms for learning and memory - The human leukemia 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 FUNX1/AML1 and down syndrome leukemia - RUNX family genes and their involvement in human diseases - Influenza pathogenesis - The challenge for the new millennium - Hepatitis C virus; challenges and promises - Promise of Neuroscience research in the 21st Century - To live or to die - caspase activation and DNA fragmentation during Apoptosis - Olfactory conditioning in drosphila - Nature versus nurture - Bridging the gap in science and technology in the philippines - Bioscience frontiers and their impact on developing countries - New programs for new frontiers : Building a stronger Asia-pacific technology enterprise community

2001-09-25


게놈의학의 최첨단과 세계의 바이오벤처 스크랩

  • 강지훈 강지훈
  • |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

이 자료는 보안 문서로 등록이 되어 있습니다. 문서를 열람하시기 원하시는 분은 다음의 사용자 암호를 입력하신 후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사용자 암호 : www.kosen21.org 서장 : 생명과학과 바이오벤처 1장 : 바이오벤처의 역할과 산학연대 1. 바이오벤처의 필수요소 2. 바이오산업을 추진하는 네트워크란 3. 지적재산권 4. 아메리카의 바이오벤처의 역사와 역할 5. 바이오벤처의 기업과 경영 6. 한국바이오산업을 지지하는 벤처 7. 대학에서의 연구와 벤처 기업 8. 캘리포니아대학 샌프란시스코교와 미션 9. 영국 멘체스타의 바이오테크놀로지 기술혁신 2장 : 일본의 바이오벤처 발전에는 무엇이 필요한가 1. 대학, 기업의 연대모델 : 선단의료 시스템과 변형 2. 의약품 연구개발에 따른 대학등 공적 연구기관, 파이오벤처 와 행정의 역할 3. 궁극적인 일본형 글로벌 가치연쇄의 구축 4. 바이오벤처 창조의 인프라 구조 구축 5. 생명과학연구와 국익 6. 일본에 있는 바이오벤처의 경험에서 3장 : 게놈의학의 최전선을 흔드는 세계의 바이오벤처 1. 게놈정보계벤처 2. 테크놀로지 개발벤처 3. 포스트게놈 시대의 기능성 핵산공학 4. 의료용 단백질제제 벤처 5. 창약형 바이오벤처 6. 세포치료 벤처 7. 유전자 치료벤처

2001-09-25



Panel Discussion : How to Organize Translational Research 스크랩

  • 강지훈 강지훈
  • |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

* 일본어와 영문번역이 함께 있습니다. Panel Discussion의 내용으로 변형 연구의 조직화에 대하여 Modulator(Tasuku Honjo, Md, PhD, Dean, Kyoto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Kyoto, Japan)와 Panelists(Richard M. Krause, MD, Senior Scientific Advisor, Fogarty International Center, NIH, MD, USA; Thomas F. Bumol, PhD, Executive Director, Lilly Research Laboratories, IN, USA; Robert W. Kneller, JD, MD, Professor, Dept. of Intellectual Property, Research Center for Advanced Science and Technology, University of Tokyo, Tokyo, Japan; Yusuke Nakamura, MD, PhD, Director, Human Genome Center, Institute of Medical Science, University of Tokyo, Tokyo, Japan; Ken-ichi Arai, MD, PhD, Director, Institute of Medical Science, University of Tokyo, Tokyo, Japan)들이 참석하였다.

2001-09-25


동경대학의과학연구소 인간게놈 해석센터 스크랩

  • 강지훈 강지훈
  • |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

인간게놈센터 준공에 즈음하여 센터장의 인사말과 센터 연혁, 조직, 각분야 관련도를 보여주고, 인간게놈해석계획, 문부성 [게놈과학]프로젝트, 인간개놈해석센타 일련의 개요(주요설비) 등 연구 및 지원사업의 개요를 적고 있다. - 연구 및 지원사업의 개요 - 가. 게놈 데이터베이스 분야 나. 게놈 구조해석 분야 다. DNA 정보해석 분야 라. 게놈시퀀스 해석 분야 마. 시퀀스 기술개발 분야

2001-09-24


The tasks Asian scientists face at the frontier of biomedical research in the 21st century 스크랩

  • 강지훈 강지훈
  • |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

이 자료는 보안 문서로 등록이 되어 있습니다. 문서를 열람하시기 원하시는 분은 다음의 사용자 암호를 입력하신 후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사용자 암호 : www.kosen21.org 다음 글은 동경대학교 의과학 연구소 소장인 Dr. Kenichi Arai의 21세기의 한국분자생물학회 회원을 위한 특별 기고문으로 21세기의 생명과학을 최전선에서 연구하는 일본 과학자들이 당면하게 될 여러 가지 문제를 다루고 있습니다. 주 내용은 post-genomic 시대를 맞이하여 혁신적인 약물개발에 대한 미래의 포괄적인 전략과 국가적인 차원에서의 연구제도 및 연구환경 개선을 그리고 국제적인 상호 협력관계를 모색하는 내용을 담고 있어 한국 과학자들에게 귀중한 글이 될 수 있어 게재합니다. - 편집자주 - Contents 1. Life science and exploratory medicine in the 21st century 2. Genomic medicine and development of novel drugs 3. Individual- and goal-driven researchs in life science 4. Translational research for pre- and early-clinical developments 5. Economic considerations on drug development and the role of bio-ventures 6. Reasons for lack of bio-venture incubation in Japan 7. Establishing translational research center for exploratory medicine 8. Building internationally compatible biomedical net-work 9. Proposals to develop exploratory medicine in Japan and Asia

2001-09-24


21세기 의과학과 게놈 의료개발의 전략(테크놀로지, 플랫폼구축의 중요성) 스크랩

  • 강지훈 강지훈
  • |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

이 자료는 보안 문서로 등록이 되어 있습니다. 문서를 열람하시기 원하시는 분은 다음의 사용자 암호를 입력하신 후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사용자 암호 : www.kosen21.org - 유기화합물에서 바이오텍 약품으로 - 약으로서의 유전자, 그리고 세포 - 새로운 연구영역으로서의 게놈 창약 - 변형 연구란 - 필요한 테크놀로지, 플랫폼 - 채소형의 선단의료개발과 일본판 NIH의 형성 - 두뇌집적거점으로서의 게놈,베이,동경 - 아시아 환태평양 게놈네트워크 - 일본형 합작기업의 재고 - 집적기지로서의 자금대 캠퍼스 * 일본어와 영문판입니다.

2001-09-24


Grid 관련자료3 - The Anatomy of the Grid 스크랩

The Anatomy of the Grid 저자: Ian Foster, Carl Kesselman, Steven Tuecke 분석자 서문 : “그리드”라는 용어는 1990년대 중반 과학 및 공학용 분산 컴퓨팅을 위한 기반 구조를 설계하는 과정에서 등장하였는데, 그 이후 그러한 기반 구조 구축과 관련해 상당한 발전을 이루어 왔다. 본 논문에서는 그리드 개념의 기초가 되는 실제적인 문제들을 기술하고, 이러한 문제들을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그리드 기술에 대해서 논의한다. 또한 그리드 기술은 기존의 다양한 기술 경향들, 즉, 인터넷, 분산 컴퓨팅, Peer-to-Peer 컴퓨팅과는 차이가 있으며, 이러한 기술들 또한 그리드 기술을 적용함으로써 다양한 이점을 얻을 수 있음을 기술하고자 한다. 그리드 개념의 기초가 되는 실제적인 문제들은 “동적이고 다중 조직으로 이루어진 환경에서 효율적인 자원 공유 및 문제 해결” 이라는 공통점을 가진다. 여기서 언급한 공유는 단순한 파일 교환이 아니라 컴퓨터, 소프트웨어, 데이타 및 다양한 형태의 자원들에 대한 직접적인 엑세스를 의미한다. 이러한 자원 공유를 가능하게하기 위해서는 “자원 공급자 및 소유자”, “누가 어떤 자원을 어떤 조건하에서 어느 정도 공유할수 있는가?” 등에 대해서 명확히 정의되어야 한다. 이러한 공유 규칙에 의해 정의되는 일련의 개인 및 단체들이 가상 조직(Virtual Organization)을 구성하게 된다. 가상 조직의 예로서, 응용 프로그램 서비스 제공자, 저장장치 서비스 제공자, 컴퓨팅 자원 제공자, 새로운 자동자 공장 건설을 위해서 다양한 시나리오를 작성/수행하는 컨설턴트, 비행기 경매에 참석한 컨소시엄의 한 일원, 응급 상황에 대한 대처를 계획하기 위해 사용되는 시뮬레이션 시스템, 데이타베이스 및 위기 관리팀 등이 있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각 가상 조직은 목적, 규모, 지속기간, 구조등에서 다양한 차이점을 보인다. 그러나 다양한 형태의 자원들의 공유 및 융통성 있는 공유 관계 설정, 공유 자원에 대한 효과적 제어 등의 공통점을 가진다. 이 자료의 분석은 University of Minnesota에 계시는 이병대님께서 수고해 주셨습니다. 궁금하신 점은 이병대님께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e-mail : blee@cs.umn.edu 첨부 .The Anatomy of the Grid - Original .The Anatomy of the Grid - Lee byungdae

2001-09-24


글로버스 : 메타컴퓨팅 툴킷 스크랩

Globus: A Metacomputing Infrastructure Toolkit 저자: Ian Foster, Carl Kesselman 분석자 서문 : 다량의 계산 수행을 요구하는 응용 프로그램 중 단일 수퍼 컴퓨터 환경에서는 해결하기 힘든 새로운 형태의 응용 프로그램들이 계속해서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유형의 응용 프로그램은 수퍼 컴퓨터, 데이타베이스, 과학 장비 및 디스플레이 장치 등을 초고속 통신망으로 연결하여 하나의 가상 수퍼컴퓨터 또는 메타컴퓨터(Metacomputer) 환경을 구축함으로써 효과적으로 실행시킬 수 있다. 메타컴퓨터는 분산 시스템 및 병렬 시스템과 많은 유사성을 가진다. 그러나 메타컴퓨터의 주요 특징인 이종성 및 동적성으로 인하여 기존 시스템에서 사용/개발된 기술들을 메타시스템에 적용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글로버스는 메타컴퓨팅 환경을 위한 기반 구조로서, 글로버스 하위-레벨 툴킷은 통신, 사용자 인증, 데이타 액세스 등과 같은 기본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며, 병렬 프로그래밍 툴 및 스케쥴러와 같은 상위-레벨 서비스들은 이들 하위-레벨 서비스를 이용하여 구현된다. 본 논문은 우선 메타컴퓨팅 시스템의 기본적인 특징을 기술한다. 또한 글로버스에서 제공하는 기본적인 서비스 및 이를 이용한 상위-레벨의 서비스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자료의 분석은 University of Minnesota에 계시는 이병대님께서 수고해 주셨습니다. 궁금하신 점은 이병대님께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e-mail : blee@cs.umn.edu 첨부 .Globus - Lee byungdae.pdf .Globus - Original.pdf

2001-09-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