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향

리포트

리포트는 KOSEN 회원님들이 작성하는 최신연구동향 보고서입니다.
국내외 연구기관에서 발간하는 최신 동향보고서를 제공합니다.

전체 46908

글쓰기
전체 46908
글쓰기



제11회 첨단소재 및 가공 국제 콘퍼런스 스크랩

30년 이상 중국금속학회(CSM), 일본금속재료학회(JIM), 한국금속재료학회(KIM), Materials Australia (MA), 그리고 Minerals, Metals & Materials Society(TMS)가 함께 주최하는 국제 무대로 자리매김해온 PRICM(Pacific Rim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dvanced Materials and Processing)가 대한민국 제주에서 2023년 11월 19일부터 23일까지 11번째로 개최되었다. 본 보고서를 통해 이 학회를 소개하고자 한다.

2023-12-28


탄소중립과 기후위기 대응 물관리 정책 및 기술 동향 스크랩

전 세계적으로 당면한 기후위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한두 가지 기술만으로는 해결이 어렵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양한 발전 단계의 기술들이 서로 시너지효과를 낼 때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 유럽은 이미 수십 년 전부터 기후변화에 관심을 가져왔기 때문에 기후변화 및 환경 에너지 정책에 대한 논의의 폭이 상당히 넓은 편이다. 

2023-12-28


차세대 메타렌즈 양산 및 응용 핵심기술 스크랩

  • 고려대학교
  • |
  • 물리학

   1) 목적메타렌즈(표면)은 기존의 3차원 광학소자들을 2차원 초박형의 소자로 대체하여 전체 시스템을 소형화하고 그 성능을 제고할 수 있으므로 매우 큰 경제적 산업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메타렌즈를 상용화하기 위하여 다양한 이론 연구, 컴퓨터 시뮬레이터 개발이 연구되고 있으며, 메타렌즈의 양산기술개발 또한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2) 필요성나노크기의 구조체의 2차원 배열로 이루어진 메타렌즈(표면)은 기존의 3차원 광학소자들을 up-grade하여 2차원 초박형의 소자로 대체할 수 있다. 이러한 메타렌즈를 상용화하기 위하여 이론 연구, 컴퓨터 시뮬레이터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메타렌즈의 양산기술의 개발 또한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Metalenz사를 비롯한 미국의 다양한 회사들은 이러한 메타렌즈를 활용하는 시스템 (AR/VR/XR display device)을 개발하고 있으며, EVG 등 다양한 유럽의 장비회사들이 메타렌즈 생산을 위한 나노 패터닝 장비를 개발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서울대, 고려대, 카이스트, 포항공대 등을 중심으로 메타렌즈의 개발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삼성전기, 엘지이노텍등의 기업도 깊은 관심을 가지고 메타렌즈의 제품화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따라서 메타렌즈 이론연구 동향, 소자제작 기술 및 양산화 기술 개발 동향 그리고 메타렌즈를 황용하는 응용 시스템의 연구동향에 대하여 다양한 정보를 수집하여 분석할 필요성이 크다.3. 사업의 내용 및 범위유럽의 NILindustrialday 2023 학회, META 2023 학회 (the 13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Metamaterials, Photonic Crystals and Plasmonics) 등의 학회와 일본 동경, 카타르 도하 등의 기업을 방문하여 메타소재 및 메타표면에 대한 연구동향을 살피고 관련 기술정보를 취합함.국내 전문가 (대학교, 전문 기업) 들과 면단하여 메타표면 관련 산업 동향 정보를 취합하고 의견을 청취함.

2023-12-27





[보고서] [이슈 브리핑] 2023년 국내외 바이오제약기업 VC 투자 현황 및 전망 스크랩

  • 한국바이오협회
  • |
  • 생명과학

□ 글로벌 시장데이터 업체인 PitchBook 보고서에 따르면, 2023년은 바이오제약사의 IPO 침체 등의 영향으로 자금확보의 어려움이 지속되었다고 밝힘 - 최근 PitchBook은 바이오제약 VC 동향 및 기회 보고서를 통해, 2023년 말까지 바이오제약기업들은 약 840건의 거래를 통해 240억 달러를 자금을 조달할 것으로 전망함. 이는 2022년 대비 129억 달러가 감소한 수치임.    * 2020년 381억 달러 → 2021년 539억 달러 → 2022년 369억 달러 → 2023년 240억 달러 - 또한, 2023년 말까지 IPO 55건, M&A 29건 등 총 84건 179억 달러 규모의 투자회수(출구 활동)가 있을 것으로 예상되어 전년 77건(IPO 45, M&A 32) 234억 달러 대비 감소할 것으로 전망하였으며,   이는 2021년 총 199건(IPO 154, M&A 45) 864억 달러를 조달한 것과 비교해도 큰 감소임.   □ 이러한 2023년 바이오제약사의 투자전략변화는 소수의 기업에 큰 규모로 신중하게 투자가 이루어지는 등 혁신 가능성을 보는 안정적 투자를 선호하고 있다는 것을 시사함 - 이러한 바이오제약 투자 동향은 기존 포트폴리오에 대한 준비금 강화, IPO 타이밍 최적화, 새로운 펀드조성을 위한 출구전략 강구, 스타트업에 영향을 미치는 경기침체 대응 등 다양한 투자전략이 반영된 것임.   □ 2023년 국내 바이오 분야 투자 및 상장 또한 계속 위축 - 국내 바이오기업 기술특례상장 건수가 감소하면서 투자 회수가 어려워져 VC 투자도 두드러지게 축소되는 중임. - 2023년의 경우 3분기까지 누적 바이오의료 분야 VC 신규 투자는 6264억원으로 전년 동기 8787억원 대비 28.7% 감소하였음.

2023-12-22


사이키델릭 치료제 연구동향 스크랩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
  • 뇌과학

우울증이나 PTSD 같은 정신질환들은 치료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자살이나 범죄로도 이어질 수도 있기 때문에 사회적 비용이 많이 들고 공공의 안전에도 위협이 될 수 있는 심각한 뇌질환이다.  최근 psilocybin, MDMA, LSD 등 여러 사이키델릭 약물들이 난치성 정신질환에 효과적인 치료제로 쓰일 수 있다는 결과들이 환자 임상 실험 및 동물 실험에서 계속해서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현재 사이키델릭 약물들을 치료용으로 연구 개발하고 환자들에게 투여하여 약효를 확인하고자 하는 사이키델릭 리서치 센터들이 최근 몇 년 동안 미국 및 기타 국가들의 주요 대학 및 기관들에서 설립되어 활발히 연구 중이다.  이 연구동향 리포트는 사이키델릭 약물들에 대한 전반적인 소개, 최근 몇년간의 주요 사이키델릭 연구 결과들, 사이키델릭 리서치 센터들, 그리고 현재 진행중인 다양한 임상 연구들 등에 대한 소개를 담고 있다.

2023-1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