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향

리포트

리포트는 KOSEN 회원님들이 작성하는 최신연구동향 보고서입니다.
국내외 연구기관에서 발간하는 최신 동향보고서를 제공합니다.

전체 46908

글쓰기
전체 46908
글쓰기



의료 인공지능의 활용 분야 및 기술 동향 스크랩

  • 정보통신기획평가원
  • |
  • 정보/통신

본 고에서는 다양한 의료 서비스 영역 중, 의료 서비스 프로세스인 질병 예방 및 질병 예측, 진단, 치료 및 처방과 의료 상담 분야 기술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최근 들어 의료 데이터를 활용한 서비스가 증대되고 있는 만큼 정형, 비정형 데이터를 활용한 의료 서비스가 다양한 측면에서 각광 받고 있다. 따라서, 먼저 II장에서 빅데이터 분석 및 활용 기술의 원리 및 최근의 연구 동향을 살펴본 다음, III 장에서는 비전 AI 분야인 영상분석 및 판독 기술의 원리 및 최근의 연구 동향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끝으로 IV장에서 결론에 대해 말씀드리고자 한다.

2023-12-06


메타버스 시대, 게임 콘텐츠의 진화 스크랩

  • 정보통신기획평가원
  • |
  • 정보/통신

메타버스는 단순한 기술이나 서비스에서 플랫폼으로의 산업 생태계 확장을 이루고 있다. 초기에는 컴퓨터 통신망과 같은 인프라 네트워크 차원에서 논의되었으나, 가상현실과 관련된 게임, 영화 등의 콘텐츠와 서비스로 확장되었다. 최근에는 확장된 생태계로 그 범위를 더욱 넓히고 있으며, 콘텐츠 기반 플랫폼으로 다양한 콘텐츠와의 연계를 통해 영역을 확대하고 있다. 이러한 메타버스 시장에서 콘텐츠 산업은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본 고에서는 메타버스 시장에서 콘텐츠 산업의 현재를 살펴보고 앞으로의 발전 방향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국내외 메타버스를 활용한 콘텐츠 분야의 다양한 현황을 살펴보고 메타버스를 활용이 단순히 즐기는 차원에서 벗어나 비즈니스 모델이 적용된 생산적인 산업으로의 변화 모습에 대해서 살펴본다.

2023-12-06



기계학습 분야에서 초분광영상 분류 연구 III : 사전 훈련의 필요성 스크랩

이 보고서에서는 초분광 이미지 분류를 위한 CNN(콘볼루션 신경망) 훈련에 대한 두 가지 질문을 다룬다. i) 사전 훈련된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을까? ii) 사전 훈련이 성능 향상에 효과적인가? 첫 번째 질문에 답하기 위해 하이퍼스펙트럼 특성이 다른 여러 소스 데이터세트에 대해 네트워크를 사전 훈련하고 대상 데이터세트에 대해 미세 조정하는 접근 방식을 고안했다. 

2023-12-04


웨어러블 헬스 모니터링 디바이스를 위한 최신 소프트 드라이 일렉트로드의 연구 동향 스크랩

  • 김현석 김현석
  • |
  • 조지아공과대학교
  • |
  • 재료

전기생리학 신호는 인간의 모든 신체 활동과 연관되어 있는 중요한 건강상태의 지표로 볼 수 있다. 모바일 헬스케어에 대한 높아지는 관심과 수요로 인해 헬스 모니터링을 위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기존 임상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은/염화은(Ag/AgCl) 기반 습식 전극은 우수한 신호 품질을 제공하지만 젤 증발 및 피부 자극으로 인해 장기간 신호를 모니터링하는 데 한계가 있다. 

2023-12-04


글로벌 보건산업 동향 Vol.498(2023.12.04) 스크랩

  • 한국보건산업진흥원
  • |
  • 보건의료

글로벌 보건산업 동향 Vol.498(2023.12.04) - Global smart Healthcare Industry Trend ◈ 포커스   - 유럽, EU 제약 법률 개정안 동향 ◈ 제약·의료기기·화장품   - 당뇨병 치료제 GLP­1에 대한 관심 증대로 의료장비에 대한 수요 감소 전망   - 미국 FDA, Valneva 모기 매개 질환 백신 Ixchiq 승인   - Our Future Health, 영국 건강연구 프로젝트로 1년 만에 자원봉사자 100만 명 등록   - 독일 Siemens Healthineers, 4Q 종양학 사업부 매출 호조   - Novartis, 10억 달러 규모의 Legend社의 CAR-T 세포 치료제의 글로벌 권리 확보   - 일본, 지난 10년간 승인된 의약품 70% 이상 드러그랙 발생   - 중국 쳰잔산업연구원, ’23년 미·중 혁신의약품 산업 발전 동향 비교분석   - 세포라, 새로운 파트너와 함께 인도 사업 확장 추진 ◈ 의료서비스   - 미국 Bipartisan Policy Center, 병원 온실가스 배출 저감 조치를 제안   - 독일, 생식보건 연구센터 설립   - 중국 36Kr연구원, 중국 기업의 해외 의료투자 동향 분석   - 마카오, 의료관광지로서의 가능성 모색   - 말레이시아, 전망이 밝은 의료관광 산업   - 인도, 지난 1년간 100만 명이 넘는 의료관광객이 방문   - 케냐의 의료 체인 Penda, 스웨덴의 펨텍 스타트업 Grace Health 인수   - 보편적 건강보장(UHC), 공공 부문 투자와 정부 및 파트너간 공조 필요 ◈ 디지털 헬스케어   - 바이오기술업체 Owkin의 MSIntuit™ CRC, 대장암 사전 선별의 기초 마련   - 영국 정부, 생명과학과 의료 부문의 AI 잠재성 실현에 1억 파운드 투자   - 호주 스타트업, 로봇 공학과 genAI로 노인 돌봄 인력 부족 문제 해결   - 후지필름, 독점적인 디지털 병리학 기술로 새로운 고객 유치   - 대만 NHIA, HIMSS와 디지털 헬스 혁신을 위한 MOU 체결   - 베트남에서 전자의무기록에 사용되는 AI   - 인도네시아 보건부, 건강 디지털화 범위를 확대할 계획   - AI, 기술혁신을 통해 뇌졸중 사망률을 경감

2023-12-04



포스트 리튬 이차전지 기술 동향 스크랩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
  • 전기/전자

Lithium accounts for only 0.0017% of the earth crust, and it is produced in geographically limited regions such as South America, the United States, and China. Since the first half of 2017, the price of lithium has been continuously increasing, and with the rapid adoption of electric vehicles, lithium resources are expected to be depleted in the near future. In addition, economic blocs worldwide face intensifying scenarios such as competition for technological supremacy and protectionism of domestic industries. Consequently, Korea is deepening its dependence on China for core materials and is vulnerable to the influence of the United States Inflation Reduction Act. We analyze post-lithium secondary battery technologies that rely on more earth-abundant elements to replace lithium, whose production is limited to specific regions. Specifically, we focus on the technological status and issues of sodium-ion, zinc-air, and redox-flow batteries. In addition, research trends in post-lithium secondary batteries are examined. Post-lithium secondary batteries seem promising for large-capacity energy storage systems while reducing the costs of raw materials compared with existing lithium-based technologies.Ⅰ. 서론Ⅱ. 포스트 리튬 이차전지 개요Ⅲ. 포스트 리튬 이차전지 기술 현황Ⅳ. 포스트 리튬 이차전지 기술 이슈Ⅴ. 포스트 리튬 이차전지 연구 동향Ⅵ. 결론용어해설약어 정리

2023-1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