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향

리포트

리포트는 KOSEN 회원님들이 작성하는 최신연구동향 보고서입니다.
국내외 연구기관에서 발간하는 최신 동향보고서를 제공합니다.

전체 46913

글쓰기
전체 46913
글쓰기

Supply Chain Management와 관련된 기술 동향 조사 스크랩

일본 특허청에서 2001년 5월 31일에 발간한 자료입니다. 일본, 미국, 유럽 지역의 SCM 관련 특허를 분석하고, 기술 동향을 조사하여 향후 SCM의 발전 방향과 과제를 제시하는 보고서로 다음과 같은 내용으로 이루어져있습니다. 목차 - SCM 개념 - 일본, 미국에서 주목받는 SCM 기법의 변천 - SCM 시장 규모와 기술무역 수지 - 특허로 살펴본 경쟁력 비교 - 기술적 관점에서 본 특허 출원 상황 - 일본,미국 주요 기업의 특허 출원 특징 - 비특허 문헌으로 부터 본 경쟁력 비교 - 일본, 미국, 유럽의 SCM 산업 정책과 금후의 과제 분석자 서문 : 최근 정보혁명, 디지털 혁명속에 점점 변화가 격심해져 가는 세계에서 기업의 리스크를 최소화하고, 기업의 경영력을 강화하기 위해 오픈 글로벌(Open Global) SCM(Supply Chain Management)을 구축하는 기업이 증가하는 추세로 가고 있다. 또한 규모가 큰 경영은 붕괴하고, 독립된 핵심역량을 가진 경영이 점점 가속화 함으로써 산업구조가 모듈구조로 변화해 가고 있다. 본 연구분석에서는 세계적으로 각광 받고 있는 공급망 관리(SCM) 분야에 관한 일본·미국·유럽 등지에서의 SCM 변천사, SCM시장규모와 기술 무역수지에 관한 통계분석, 특허를 통한 경쟁력 분석 및 기술동향 등을 조사함으로써 앞으로 일본의 SCM 발전 방향과 그에 따른 과제에 대해 검토해 보고자 한다. 이 자료의 분석은 일본 Ashikaga 공업대학에 계신 윤영수박사님께서 수고해 주셨습니다. 궁금하신 점은 박사님께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e-mail : JOY629@hitel.net 첨부 .Supply Chain Management - Yoon young soo.pdf *원문은 관련 URL을 보시기 바랍니다

2001-09-03


Electronic Warfare : The Army can reduce its risks in developing new radar countermeasures system 스크랩

  • 강지훈 강지훈
  • |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
  • 전기/전자

이 자료는 보안 문서로 등록이 되어 있습니다. 문서를 열람하시기 원하시는 분은 다음의 사용자 암호를 입력하신 후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사용자 암호 : www.kosen21.org The Army will assume increased risks if it begins low-rate initial production of the new radar countermeasures system before determining whether key new components perform as required. The system's contractor is now making software and hardware changes to improve the system's performance and address the obsolescence of parts, reduce cost, and improve producibility. If all goes well, the contractor would complete the software changes and the Army would be able to determine whether the software performs as required before the low-rate initial production decision in early 2002. The hardware changes, however, require more time to complete. The contractor has agreed to develop new components, including a new digital receiver for detecting radar sinals (in place of the current analog receiver), by June 2002. The Army would then determine whether the hardware performs as required, including its successful integration with the software and aircraft, through developmental testing by September 2002. According to Department of Defense guidance for acquiring systems, oen of the purposes of low-late initial production is to produce production representative articles for initial operational test and evaluation. In our view, a key to assuring that these articles will be production representative is to first conduct developmental testing of the modified software and hardware together as a system in the aircraft to ensure the design is stable befor beginning low-rate initial production. By deferring the low-rate initial production decision until it has this knowledge, the Army would reduce the risk of incurring unanticipated costs to retrofit articles if the system does not perform as required.

2001-09-03


Proceedings of the Annual Symposium(Uranium and Nuclear Energy) 스크랩

  • 강지훈 강지훈
  • |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

World Nuclear Association의 Objectives, Membership, Activities and Services를 서술하는 1방으로 문건과 Proceedings of the Annual Symposium(1997-2000)을 담은 CD자료입니다. Uranium and Nuclear Energy : 1997-2000 The Uranium Institute Annual Symposium is the leading international meeting for the nuclear fuel industry, with a regular attendance of over 400 participants from around 25 countries. The Twenty-Fifth Annual Symposium was held from 30 August to 1 September 2000 at the Queen Elizabeth II Conference Centre, London. This CD-Rom features - All Symposium papers from 1997, 1998, 1999 and 2000 - An easy to sue web interface - Papers available in HTML and PDF versions - A list of Symposium participants

2001-09-03



CMOS기술의 한계에 대한 소자 혁신 방법과 재료 도전에 관한 연구 스크랩

  • 류지열 류지열
  • |
  • 부경대학교
  • |
  • 전기/전자

1.자료명: Challenges at the Limits of CMOS Technology 2.저자: P.M. Solomon 3.출판사: Annual Review of Materials Science 4.출판날짜: 2000년 5.내용소개: 본 논문은 실리콘 compli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CMOS) 기술의 초소형화에 추세에 있어서의 한계점을 피력하고, 이러한 물리적 한계를 극복하려는 여러가지 기술적인 노력에 대한 review이다. 새로운 반도체 재료로서 SiGe에 대해서도 논하고 있으며, 또한 double-gate trnasistor의 소자적인 측면도 거론하고 있다. planar devices로서 물리적 한계를 10nm로 보고 있으며, 이를 극복하기 위해 3차원적인 CMOS 구조에 대해서도 언급하고 있다. 분석자 서문 : 본 분석보고서는 지난 10여년전부터 현재까지 지배적인 추세로 많이 연구되고 사용되어온 실리콘 CMOS 기술의 scaling down (초소형화: 이하 scaling down을 초소형화로 통일함)(분석자 주석: 반도체에서 최소선폭을 줄이는 lithography 기술)에 대해서 세가지 범위로 강조하고 있다. 첫째, 현재 이러한 초소형화 기술이 직면하고 있는 한계점과, 이러한 물리적 한계점을 극복하려는 여러가지 기술적인 노력의 진행상황을 제시하고, 둘째, 이러한 실리콘 트랜지스터 기술이 가진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소자 혁신 방법으로 SiGe과 같은 새로운 반도체 재료의 선택과, double-gate transistor와 같은 새로운 소자 기술에 대해서도 언급하고 있으며, 마지막으로 10nm scale에서 그 한계점을 드러내고 있는 planar 기술의 현재 처해진 상황과 이를 극복하기 위한 3차원적인 CMOS 구조에 대해서 언급하고 있다. 본 분석보고서에서는 몇몇 전문적인 소자관련 용어에 대해 분석자 주석이 포함되어 있으며, 원문에서 강조하고 있는 점들을 중심으로 분석되어 있다. 새로운 소자구조를 포함한 그림들에 대한 정보는 지면의 제약상 분석자가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부분만을 수록하였으니 이에 대한 좀 더 구체적이고 세부적인 내용들은 원문을 참고해야 할 것이다. 본 분석보고서는 16페이지의 원문을 모두 읽지 않고도 짧은 시간에 쉽게 CMOS 기술의 한계에 대한 소자 혁신 방법과 새롭게 개발하고 있는 재료에 관한 연구내용등을 알고자 하는 분들에게 도움이 될 것이다. 이 자료의 분석은 Arizona State University에 계신 류지열님께서 수고해 주셨습니다. 궁금하신 점은 류지열님께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e-mail : ryujy@freechal.com 첨부 .the Limits of CMOS Technology - Ryu jiyeol.pdf .the Limits of CMOS Technology - Original.pdf

2001-08-30


An Investigation of Air Pollution Management & Technical Trends in the United States(California) 스크랩

  • 박찬승
  • |

연방 대기 환경법에 의하여 시행되는 미국 캘리포니아 주의 대기오염 관리체계는 연방정부와 주정부간의 조화에 의한 규제가 아주 효과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연방 대기 환경법이 목표를 지정하며 미 환경청이 그 세부 샐행안 및 연방표준을 만든다. 캘리포니아 주에서는 주의 독특한 상황을 고려하여 여기에 보와 한 주 기준 및 그 시행안을 제정하며 심각한 경우에 따라서는 독자적인 기준과 목표 시간설정을 한다. 규제물질의 정의는 연방차원에서 관리되는 일반오염물질과 각주의 특성상, 지역별, 시간별로 추가될 수 있는 독성오염물질로 나뉜다. 규제물질 배출허용 기준의 설정에는 인간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일찯적으로 고려하나, 자동차 배기가스 경우와 같이 기술적 상용화 여부에 따른 목표설정을 한다. 자동차 배기가스의 규제는 60년초 규제전보다 약 20배 이상 강화되었고 이 과정은 정부와 제작사간의 새로운 저감기술의 채용여부에 관한 신경전의 역사이다. 그 결과 최신의 전자제어 엔진과 삼원 축매 장치가 장착되었으며, 앞으로 더욱 강화되는 규제에 대처하기 위하여, 냉시동, 전기/연료전지 잦동차 등이 개발되고 있다. 발전소와 같은 대규모 고정오염원의 규제는 주로 이산화질소, 이산화황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자동차 분야처럼 규제외 신기술의 채택 그리고 발전원가와의 갈등관계이다. 현재 저공해 연소장치 및 연소 제어 기술, 촉매를 이용한 후처리 기술을 중심으로 발전되고 있다. Chapter 1 Introduction Chapter 2 Recent Trends in Environmental Management and Technologies Section 1 Air Pollution Primer Section 2. Overview of Air Quality Management System Section 3 Air Quality Standards Section 4 Technologies Review Conclusion

2001-08-30


*박막형성기술에 관한 기술동향조사 - 일본 스크랩

분석자 평 : 이 보고서는 일본의 박막기술을 중심으로 현재의 박막기술 및 새로운 박막기술을 소개함과 동시에 일본과 세계의 기술적 추이와 발전 방향을 예측하고 있다. 또한 일본의 박막기술을 미국과 유럽 등의 특허 출원을 서로 비교하여 현재 일본의 경쟁력과 나아갈 길을 제시해 놓았다. 박막기술은 다양한 분야의 제품에 이용되고 있지만 전체산업의 측면에서 볼 때 반도체 분야가 중심이다. 따라서 일본이 세계시장에서 탁월한 우위를 보여 주고 있다고 판단된다. 한국 또한 반도체 강국으로서 박막기술이 상당한 수준에 와 있으나 일본과 비교한다면 아직도 많이 뒤지고 있다. 더욱이 이 보고서에 의하면 박막기술은 계측기기와 결합되어 더욱 정교하고 다양한 기능을 가지는 박막기술로 발전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나아가 박막기술은 본 분석자의 판단으로 볼 때 결국 나노기술의 한 영역과 융합할 것으로 기대된다. 단편적인 박막기술에서는 한국은 크게 떨어지지 않을지 모르나 그 기술을 여러 가지 분야나 기술 및 제품으로 응용하는 데는 많은 한계를 가지고 있다고 생각된다. 또 나노기술이 일천한 한국으로서는 이 분야로의 연구개발이 시급하다고 본다. 따라서 이 보고서를 통해 지금까지의 박막성형에 대한 세계적인 추이를 파악함으로써 앞으로의 연구 방향을 설정하는데 있어 도움이 되리라 생각된다. 이 자료의 분석은 동경농공대학에 계시는 이희정님께서 수고해 주셨습니다. 궁금하신 점은 이희정님께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e-mail : hclees@hanmail.net 첨부 .preparation techic of thin film - hclees 원문은 관련 URL을 보시기 바랍니다

2001-08-29


*Design of a Ribozyme to Inactivate Telomerase Activity in Breast Tumors 스크랩

1. 자료명: Design of a Ribozyme to Inactivate Telomerase Activity in Breast Tumors 2. 저자: Hnatyszyn, H. and Kraus, G. K. (supported by Department of Defense) 3. 출판사: NTIS 4. 출판날짜: 1999년 10월 5. 내용소개: Telomerase expression has been associated with the immortality and metastasis of malignant breast cancer cells. Telomerase activity has been detected in several human cancers including breast carcinomas. However, telomerase activity is either very low or not detectable in normal cells of the body. These observations suggest the development of anti-telomerase strategies may prevent cancer cell division without adverse effects on normal cell populations. This investigation describes the development of a novel therapeutic approach directed against the telomerase complex required for cancer cell division. Catalytic RNA sequences, called ribozymes, will be expressed in breast cancer cell lines, to specifically recognize, cleave and eliminate the telomerase complex. This ribozyme therapy is designed to prevent tumor cell division and eliminate the metastatic potential of breast cancers. Retroviral vectors will deliver therapeutic genes encoding for the anti-telomerase ribozyme to breast cancer cells. These cells will be evaluated for anti-cancer ribozyme activity and for changes in cancer cell division to provide the basis for further development of this therapeutic approach in primary tumors from patients with malignant breast cancer. Gene therapy using ribozymes to eliminate cancer- causing molecules offers a promising strategy for the treatment of malignant breast cancer. 서 문 : 유방암은 미국의 여성에게 가장 빈발하는 악성종양으로 폐암 다음가는 사망원인이다. 이러한 이유로 유방암의 원인규명과 치료를 위한 많은 노력이 집중되고 있다. 유방암 발생의 분자적인 원인으로는 ERBB-2 유전자의 과다한 발현, 상피세포성장인자(EGF)의 과다한 발현, 염색체 갯수이상 (DNA aneuploidy), 에스트로젠/프로제스테론 수용체의 상태 및 BRACA-1의 발현저하가 주요 기전으로 생각된다. 사람의 염색체 끝부분은 여섯개 염기(TTAGGG)의 특이적 DNA 반복서열 (telomere)로 되어 있으며, 이 부분은 DNA 중합효소(polymerase)로는 합성될 수 없고 텔로립潤?senescence)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반해서 대부분의 암세포에서는 텔로머라아제의 활성이 상승되어 있어 세포가 불멸화 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현재PCR을 이용한 고도의 감수성을 보이는 텔로머라아제 검사법인 TRAP(Telomeric Repeat Amplification Protocol)이 개발되어노화(senescence)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반해서 대부분의 암세포에서는 텔로머라아제의 활성이 상승되어 있어 세포가 불멸화 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현재PCR을 이용한 고도의 감수성을 보이는 텔로머라아제 검사법인 TRAP(Telomeric Repeat Amplification Protocol)이 개발되어노화(senescence)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반해서 대부분의 암세포에서는 텔로머라아제의 활성이 상승되어 있어 세포가 불멸화 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 자료의 분석은 연세대학교 기초의학연구소 안찬묵님께서 수고해 주셨습니다. 궁금하신 점은 안찬묵님께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e-mail : ahn0707@wonju.yonsei.ac.kr 첨부 Design of a Ribozyme - Ahan chanmook.pdf

2001-08-29


Application of Thermolysis Technologies for Waste Treatment in KOREA 스크랩

  • 김명수
  • |

제 2 장 열분해기술의 정의 제 1절 열분해 기술의 정의 1. 열적 폐기물처리 방식의 구분 가. 연소방식(Combustion or Incineration) 나. 열분해 방식(Pyrolysis or Thermolysis) 다. 가스화 방식 (Gasification) 라. 복합방식 (Combinations) 2. 열분해 공정의 원리 제 2 절 열분해 공정의 분리와 그의 특징 가. 기술의 분리 (1) Non-Integrated Thermolysis (2) Integrated Thermolysis-Gasification (3) Integrated Thermolysis-Combustion 제 3 장 열분해 기술의 소개 제 1 절 NEXUS 의 SOFTER Process 제 2 절 TRAIDEC의 D.T.V. (Thermic Dissocationand Valuation) Process 제 3 절 THIDE ENVIRONMENT의 EDDITH Process 제 4 절 THERMOSELEC Process 제 5 절 SERPAC의 P.I.T. (Total Internal Pyrolyse) Pyroflam Process 제 4 장 기술들 사이의 비교 분석 가. 공정 기준 나. 질량 Balance 기준 다. 에너지 Balance 기준 라. 재활용 부산물의 Quality 기준 (1) 금속 (2) Inerts (3) Vitrifiat 와 Clinker (4) Hydrocarbon 마. 환경영향 기준 바. 처리단가 기준 제 5 장 결론; 열분해 기술의 향후 발전 전망과 한국의 대의 전략 제 6 장 수집정보의 활용방안

2001-08-29


BIOREMEDIATION OF HEAVY METALS 스크랩

  • 박철호
  • |
  • 재료

이 자료는 보안 문서로 등록이 되어 있습니다. 문서를 열람하시기 원하시는 분은 다음의 사용자 암호를 입력하신 후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사용자 암호 : www.kosen21.org 급속한 산업발전의 피할수 없는 부산물인 환경오염 문제는 날로 심각해지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휴, 폐금속광산이나 각종 산업폐수를 통해 유입되는 중금속은 주변 농경지와 지하수 및 하천 오염을 일으키고 있는데 다른 오염물질과는 달리 중금속은 분해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문제가 되고 있다. 일부 금속은 미량일 경우 동물이나 인체의 대사 과정에 꼭 필요한 필수영양소로 작용하지만 지속적으로 체내에 고농도로 축적되면 오히려 여러 가지 해를 끼치게 된다. 도금산업이나 도료산업 등의 산업활동을 통해서 오염된 지역의 지하수를 지상으로 퍼 올린 후 물리, 화학적 처리를 통해서 정화시킨 물을 다시 환경으로 되돌려 보내거나 혹은 오염이 심한 지역의 토양을 처리한 후 매립하는 등의 방법을 주로 사용하게 되는데 이러한 방법들은 정화하는데 드는 비용이나 시간에 많은 투자를 해야 하므로 보다 효율적인 정화방법의 개발이 요구된다. 각종 폐수나 자연환경으로부터 중금속을 제거하기 위한 기존의 물리적, 화학적 공정들이 기술적인 혹은 경제저인 문제점을 가지고 있음에 따라 최근 생물학적인 방법을 사용해서 중금속을 제거하려는 시도가 미국 등 선진국을 중심으로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아직은 본격적으로 사용되고 있지는 않지만 그 동안의 연구를 통하여 이러한 생물학적 중금속 정화방법이 많은 잠재력을 지니고 있음이 밝혀짐에 따라 미국의 환경부나 에너지성 등에서는 거액의 연구비를 지원하면서 연구를 촉진시키고 있다. 이에 본 보고서를 통해 미국 국,공립기관의 환경관련 정책과 더불어 현재 개발되고 있는 신기술에 대한 정보를 수집, 분석하고 한국의 당면과제 및 해결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제 2장. Current Research on Bioremediation of Heavy metals in the united states 제 1절. Environmental Contamination in the US 1. Number of Contaminated Sites and the Remediation Cost 2. Chracteristiecs and Types of Contaminants 3. Current Cleanup Technologies 제 2절. Research on Bioremediation Sponsored by the US Government 1. US Department of Energy (DOE) 가. NABIR Program (1) Introduction (2) Research Projects 나. DOE Workshop on Bioremediation (1) Introduction (2) Research Projects 2.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EPA) 가. Superfund Program 나. Superfund Basic Research Program 제 3절. Research on Bioremediation by US Universities 1. Heavy metal Precipitation using Microorganisms 2. Biological and Geochemical Cycling of Heavy Metals 3. Reduction of Cr(VI) using Bioreactor 4. Bioremediation of Contaminantsusing Anaerobes 제 4 절. Dissimilatory Metal Reduction 1. Introduction 2. Fe(III) Reduction 3. U(VI) Reduction 4. Cr(VI) Reduction 5. Hg(II) Reduction 6. Tc(VII) Reduction 제 5 절. Phytoremediation of Heavy Metals 1. Introduction 2. Phytoextraction 가. Introduction 나. Application 2. Rhizofiltration 가. Introduction 나. Application 3. Phytostabilization 가. Introduction 나. Application 제 3 장. Strategies for the Application of Heavy metal Bioremediation in Korea 제 4 장. Suggestions for the Usage of the Report 제 5 장. Conclusion

2001-08-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