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향

리포트

리포트는 KOSEN 회원님들이 작성하는 최신연구동향 보고서입니다.
국내외 연구기관에서 발간하는 최신 동향보고서를 제공합니다.

전체 46913

글쓰기
전체 46913
글쓰기

고분자 복합재료에 대한 최근 기술 동향 스크랩

  • 김영국
  • |
  • 재료

이 자료는 보안문서로 등록이 되어 있습니다. 문서를 열람하시기 원하시는 분은 다음의 사용자 암호를 입력하신 후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사용자 암호 : www.kosen21.org 본 보고서는 복합재료 및 제작기술에 대하여 미국 내에서의 현재 상황과 미래에 대해서 조사, 요약하였다. 조사의 내용은 문헌을 통한 복합재료의 현재 상황을 서술하고 복합재료 기술에 대해서 가장 첨단을 접하고 있는 몇몇 대학과 연구소를 방문하여 그들의 생각을 직접 들어보고 이를 정리하였다. 또 그들이 현재 수행하고 있는 연구과제에 대해서도 조사하였으며 보유하고 있는 설비를 사진으로 수록하였다. 이 보고서는 처음 서론 부분에 간단하게 복합재료에 대한 설명으로 시작하였다. 그리고 복합재료에 대한 기술적인 문제보다는 현재 복합재료가 어떻게 쓰이고 있는가, 무엇이 문제인가, 그리고 앞으로 어떻게 발전할 것인가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정리하였다. 인터뷰 내용은 주재별로 설정하여 정리, 필요에 따라 수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한국이 취해야 할 향후발전 방향 및 전략, 그리고 결론으로 맺는다. Chapter 1. Introduction Section 1. What is composite material? Section 2. Why composite material is imiportant? Chapter 2. Compostie Material Applications by Jounal Articles Section 1. Matrix and Reinforcements Section 2. Manufacturing Technologies 1. Hand Lay-up 2. Resin Transfer Molding (RTM) 3. Filament Winding 4. Fiber Placement and Tape Laying 5. Pultrusion 6. Mold Section 3. Environment and Safety issue Section 4. Repair Section 5. Education in Academia Section 6. Composite Materials Market Section 7. Infrastructures Applications Section 8. Other Markets Section 9. Supply and Consumption Chapter 3. Current Situation of Composite Research and Application Section 1. Current Researches Section 2. Current Applications Section 3. Current Issues Chapter 4. Future Trends of Composite Researches Section 1. Opinions of UDRI Section 2. Opinions of UIUC Section 3. Opinions of UCLA Chapter 5. A comment ofr the Strategies of Composite Research in Korea Chapter 6. Conclusions

2001-08-29


Recent Trends of Research and Development in the Field of Aerospace Industry in Japan 스크랩

  • 오현웅
  • |

현재 국내에서는 위성개발사업을 시작으로 발사장 건설계획 및 우주 산업에 새로운 전기를 마련하려 하고 있다. 여기에 발사체 사정거리의 연장등은 호조건으로서 작용하고 있다. 하지만, 우주 산업은 연구자들만의 노력과 정열만으로 이루어지는 산업이 아니며 타산업에 비해 막대한 투자 및 정부의 추진력과 일관성이 요구되어지는 산업이다. 한국과 같이 초기 개발 단계에 있는 국가의 경우, 선진 우주기술국의 기술 개발단계에 있어서의 겅공 및 실패사례를 수집, 비교 검토함은 정책수립에 있어 예싼의 낭비와 실패의 전철을 피할 수 있는 하나의 요소가 될 것이다. 특히, 우리가 따라잡기 힘든 미국보다는 2차대전 패전후에 여러가지 어려웠던 여건들 속에서도 우주 개발을 착수하여 현재는 세계 세번째의 위성보유국이된 일본의 우주개발 역사는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리라 생각한다. 이에 본 연구 보고서에서는 일본의 최근 우주기술의 현황 및 전망을 조사 분석함으로써 국내 우주산업과의 기술력을 비교, 향후 국내 우주산업 기술개발의 방향성과 상정되어진 미션의 검토 및 기술목표 설정에 참고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하고있다. 1. 일본 우주산업의 최신 동향 - 최근에 이어진 발사실패 후의 기술적 대응 방안 (문부성 우주과학연구소의 사례를 중심으로) - 향후 일본 우주산업개발 전략분야의 소개 (우주 기구/재료 및 우주구조 전략기술을 중심으로) 2. 우주산업분야에 있어서의 한국의 과제 3. 우주산업분야의 향후 발전 방향 및 한국의 대응전략 4. 수집기술 정보의 활용방안

2001-08-29


바이오 대체 에너지 기술갭라 및 환경 친화적 대체 물질 기술개발 현황 분석 스크랩

  • 유정우
  • |

이 자료는 보안문서로 등록이 되어 있습니다. 문서를 열람하시기 원하시는 분은 다음의 사용자 암호를 입력하신후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사용자 암호 : www.kosen21.org 환경 문제의 심각성은 1980년 대 초기부터 선진국 과학 기술계에서 심각하게 받아들여졌고, 환경 문제의 해결을 위한 노력을 본격적으로 시작하였다. 이의 결과, 리오 환경 회의 등 국제 환경 회의가 연달아 개최되고, 환경에 관련한 국제 규제 강화됨에 따라 각 정부는 환경 문제 해결이 관련 제품들의 경쟁력 확보라는 인식에서 환경 공해 저감 대책 및 환경 안전 제품 개발을 국가의 전략 연구군으로 선정하기에 이르렀다. 따라서 선진국의 환경 관련 연구는 1990년대 이후 본격적으로 실행되기 시작하였고, 환경친화 제품의 개발 생산이 앞다투어 이루어지고 있다. 현재 국가가 주도하고 있는 화학 관련 환경 사업은 크게 다음과 같이 두 분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ㅇ 저공해 대체 에너지 기술 개발 ㅇ 인체 및 환경에 독성을 유발하는 제품의 대체 기술 개발 현재 저공해 데체 에너지 기술 개발의 중심이 되고 있는 액체 형태의 새로운 연료 개발은 식물성 재료를 원료로 하여, 유럽 및 미국을 중심으로 지난 80년대 초부터 활발하게 추진되고 있다. 농산물을 원료로 하여 유럽 및 미국을 중심으로 지난 80년대 초부터 활발하게 추진되고 있다. 농산물을 원료로 한 연료는 재생산성 연료로서뿐만 아니라, 식물의 성장 과정에서 공기 중의 이산화탄소 및 질소 화합물의 흡수와 산소의 방출 등 부가적 이익을 가져다줄 뿐 아니라 식물성 연료에는 석유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공해물질(발암성 방향족, 유황 등)이 포함되어 있지 않아, 연소시 공해 물질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러한 취지에서, 셀룰로오스, 당분, 전분에서 발효되어 생산되는 알코올과 해바라기 콩 등에서 생산되는 식물성 오일, 그리고 이를 이용하여 생산된 분자들에 대한 연료의 응용이 폭 넓게 연구되고 있다. 그 결과 휘발유 대체하는 물질로는 바이오 에타놀을 화학 변화시켜 생산하는 Ethyl-tert-isobutylether(ETBE)가 사용하고 있으며, 환경친화적 디젤 연료로는 유체유, 해바라기유 등, 식물성 오일과 메타놀과 반응시켜 얻은 메틸에스테르를 사용하고 있다. 동식물성 오일 등을 원료로 환경 친화 제품 개발 분야 역시 국가의 주요 전략 연구군으로 채택되어 활발한 연구 수행되고 있다. 이 연구를 통하여 개발된 제품들은 인체에 미치는 독성이 없고, 환경에서 생분해되기 때문에 환경에 미치는 악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현재 주로 연구되는 제품군은 공업용 환경 분해성 고성능 계면 활성제, 항공기 및 자동차의 환경 분해성 합성 윤활유, 비독성 플라스틱 가소제 및 각종 첨가제, 비독성 용제 개발 등 매우 광범위하다. 따라서 본 보고서에서는 환경친화적 제품에 관련된 유럽의 주요 연구 현황을 현재 진행되고 있는 유럽 대형 연구 과제를 중심으로 각 분야별로 연구 개발 동기, 현재까지의 연구 개발 성과 및 연구 개발 방향 그리고 국가의 전략/정책을 제품군으로 분류하여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을 수행하여, 국내의 관련 기관에게 환경친화적 대체 물질 개발에 대한 개념을 정립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1. 바이오 대체 연료 기술 개발 1.1 개요 1.2 바이오 대체 연료와 환경 1.3 유럽의 바이오 청정 연료의 연구 개발 기관 및 방식 1.4 유럽의 바이오 청정 연료의 연구 현황 1.5 유럽의 바이오 연료 개발에 관한 맺음말 2. 환경 분해성 고성능 합성 윤활유 개발 2.1 개요 2.2 환경 ㅊ니화적 윤활유의 종류 및 특성 2.3 환경 친화적 합성 윤활유의 연구 현황 2.4 바이오 합성 윤활유의 맺는말 3. 바이오 용매(Solvant)의 개발 3.1 개요 3.2 연구 개발 현황 3.3 환경 친화 용매 개발에 관 맺음말 4. 환경친화 계면 활성제 기술 개발 4.1 개요 4.2 연구 개발 개요 4.3 환경 친화 계면 활성제 개발에 대해 맺는 말 5. 바이오 폴리머의 개발 개요 5.1 개요 5.2 바이오 폴리머의 개발 개요 6. 화학 공업의 기능성 첨가제 개발 7. 식물성 오일이용 산업의 부산물 활용 기술 개발 8. 결론 및 환경 친화적 제품 개발에 대한 국내 동향

2001-08-29


미국 차세대 첨단 소재산업의 최신 동향과 미연방정부의 정책 스크랩

  • 성창모
  • |

이 자료는 보안문서로 등록이 되어 있습니다. 문서를 열람하시기 원하시는 분은 다음의 사용자 암호를 입력하신 후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사용자 암호 : www.kosen21.org 선진 외국에서는 먼 미래를 내다보고 투자를 하는 분야들이 많이 있다. 현실적으로는 가치가 없어 보여도 분명 미래에는 과학 기술의 중심축으로서의 역할을 맡을 분야가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렇게 특정 분야를 예측하기에는 엄청난 비용과 투자가 사실상 어려운 실정이다. 그러므로, 냉철한 판단력과 정확한 분석을 통해서 핵심적인 과학 기술을 선정하여 지속적인 투자를 아끼지 말아야 할 것이다. 본 프로젝트는 선진 미국에서 선정한 미래의 과학 기술의 중심을 이룰 두가지 과학 기술에 대해 정리를 하였다. 그 두가지가 바로 나노 과학 기술(Nano Technology)과 생체 재료 (Bio Materials) 분야이다. 현재의 나노 과학기술과 생체 재료의 눈부신 발전 속도로 보아 수 년이내로 새로운 기술들을 예견할 수 있다. 이러한 과학 기술은 기존의 산업 기술과 사회에 많은 영향을 끼칠 것이며 전혀 새로운 기술 개발과 상룸을 유도하게 될 것이다. 결국 인류를 위한 건강, 재료 및 에너지의 소비, 그리고 심지어 환경에까지 깊은 영향을 미치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나노 과학기술 및 생체 재료를 이용한 응용분야는 광대하며 많은 노력이 필요한 분야이므로 한국의 정부, 산학연은 함께 확신을 가지고 지속적인 연구 투자 및 개발에 노력해야 한다. 본 프로젝트의 목적은 선진 미국의 과학 기술의 협력체제 및 현재의 기술 상황을 소개하고, 한국의 나노 과학 기술 및 생체 재료 분야의 공학 및 교육 분야 증진을 촉진시키는데 기여함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미국내의 주요 연구소, 기업체, 대학에 한 정보를 제공하여 연구 및 교육분야의 협력 체제의 중요성을 인식시키며, 타 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첨단 연구의 시너지를 창출해야 함을 알리고자 한다. 베1장 서론 제2장 최신 연구동향 및 미국 연방정부 정책 제1절. Nano materials 1) Nanotechnology 정의 2) 합성방법 및 특성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3) 응용분야 제2절. Bio Materials 1) Biopolymer 2) Dental materials 제3장 관련 기관 및 단체 제1절. Nono Materials 1) 산업체, 학교 및 정부간의 협력 2) 연구기관 및 학교 단체 3) 기업체 (Industries) 4) 학회 및 비영리 단체 5) 학술회의 6) 미정부정책 관련사이트 제2절. Bio Materials 1) 연구기관 및 학교 단체 2) 기업체 (Industries) 3) 학술회의 (Conference) 제4장 결론 및 요약

2001-08-29


Construction and demolition waste management practices and their economic impacts 스크랩

  • 김재남 김재남
  • |
  • 무소속
  • |
  • 지구과학(지구/대기/해양/천문)

1) 자료명 ; Construction and demolition waste management practices and their economic impacts 2) 저자 ; Symonds 3) 출판사 ; European Commission, DG XI 4) 출판날짜 ; 1999년 2월 5) URL ; http://www.europa.eu.int/comm/environment/enveco/waste/rapport1-6.pdf http://www.europa.eu.int/comm/environment/enveco/waste/rapport7-10.pdf 6) 내용소개 ; 본 연구보고서는 EU 내의 건설폐기물의 발생량과 각국들의 재활용을 촉진하기 위한 조치들을 조사하고 이들의 경제성을 평가한 후 가장 최선의 재활용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7) 목차 ; 1- Introduction 2- Types of construction and demolition waste 3- Economic and administrative factors affecting re-use and recycling 4- Process and best pratice guidance : demolition, renovation and recycling sites 5- Process and best pratice guidance : construction sites 6- Process and best pratice guidance : road maintenance and construction 7- Recorded quantities of construction and demolition waste 8- Measures used to promote re-use and recycling of construction and demolition waste 9- Economic of the re-use and recycling of construction and demolition waste : pratical consideration 10- Summary of main conclusion and effective interventions 서 문 : 이 글은 독일의ARGUS, 덴마크의COWI Consulting Engineers and Planner, 그리고 Netherlands의 PRC Bouwcentrum 의 협조로 Symonds Group Ltd.에 의해 1999년 2월에 작성된 ‘건설, 철거 폐기물의 관리 실행과 그의 경제적 영향’에 관한 최종 연구보고서를 분석한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15개 전 회원국을 대상으로 각 회원국의 C&D Waste (construction and demolition waste : 건설, 철거 폐기물)의 관리 현황을 조사하고, 경제성을 평가한 다음, 이를 토대로 최선의 관리 지침을 제시했다. 이 보고서는 C&D Waste 의 재활용을 장려하기위한 ‘행정적 관리’를 목표로 했기 때문에 기술적으로나 경제적으로 자세히 들어가지는 않았지만, 이 두 가지 요소의 균형에 초점을 맞추었고, 각 회원국이 그들의 특이한 상황을 고려해서 실시했던 장려정책과, 전회원국에 효과적이면서 전반적으로 적용된 방법을 구별하였다. 그리고, C&D Waste 의 효과적인 관리를 위해서는 ‘폐기물의 정의’ 와 ‘실태파악’이 중요하고, 따라서 이것이 선행되어야 한다는 것을 보여 주었다. 우리 나라에서도 C&D Waste 를 재활용하고 있지만, 이것은 아주 적은 양에 불과하고, 대부분이 불법으로 처리 되고 있는 실정이므로, 이를 위한 대책이 시급하다. 그러나, C&D Waste 의 재활용을 장려하기 위해서, 과다한 세금, 벌금 등의 엄격한 경제적 제도를 갑자기 도입한다는 것은 오히려 불법처리를 조장한다고 지적되었다. C&D Waste 재활용의 초보 단계라고 볼 수 있는 우리의 실정에 있어서는, 이 보고서에서 시종일관 주장한 ‘선별 철거’의 장려와 처벌제도, 세금제도를 병행하고, 재생골재의 품질과 가격에 관한 사항을 규정함으로써, 한편으로는 불법처리를 방지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재생골재의 시장을 형성하는 것이 효과적인 방안으로 고려된다. 그리고, recycling center의 gate price 를 낮추면, 폐골재 보유자의 경제적 부담이 줄어들어서, 불법처리 되거나 매립장으로 향하는 양이 감소되고, 재생골재의 생산비용을 낮추게 되면 판매가격이 낮아지기 때문에, 재생골재의 사용이 증가하게 된다. 그 나, 이를 위해서는 재생업자에 대한 경제적 보조가 필수적이다. 그 밖에도, C&D Waste recycling 장려를 위해서는 C&D Waste 처리 실태에 관한 기본적인 조사와 함께, 이들의 취급과 관련된 교육과 자문도 빼 놓을 수 없는 사항이고, 여기에 또 한 가지 덧붙인다면 파쇄, 분류 등의 recycling 시설을 개발함으로써, 시설의 수입을 방지하고, 시설에 장애가 있을 때, 외국에서 기술자를 초빙하는 일이 없도록 해서 시설비와 운영비를 줄이는 것이다. C&D Waste recycling 의 대책을 강구함에 있어서, 시행착오를 하지 않도록 각국의 실례를 자세히 소개한 이 보고서는, 대형 도시재개발 사업을 앞둔 우리의 C&D Waste의 관리에 많은 도움을 주리라 생각된다 이 자료의 분석은 베를린 홈볼트 대학에 계시는 정명희님께서 수고해 주셨습니다. 궁금하신 점은 정명희님께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e-mail : chungmyunghee@hanmail.net 첨부 .Construction and Demolition waste - Chung myunghee.pdf *원문은 관련 RUL을 보시기 바랍니다

2001-08-29


Electronic records : Clinton Administration's Management of Executive Office of the President E-Mail System 스크랩

  • 강지훈 강지훈
  • |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
  • 전기/전자

ㅇ Scope and Methodology ㅇ Chronology of E-mail Malfunctions ㅇ Key officials involved in Primary Mail2 and Letter D Events ㅇ Time Line of Key Events in the mail2 and Letter D malfunctions ㅇ Itemization of Budgeted Cost for the Tape Restoration Project ㅇ Comments from the office of the former vice president

2001-08-28


데이터마이닝의 활용에 관한 기술조사 스크랩

  • 백성욱
  • |
  • 정보/통신

이 자료는 보안문서로 등록이 되어 있습니다. 문서를 열람하시기 원하시는 분은 다음의 사용자 암호를 입력하신 후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사용자 암호 : www.kosen21.org 이 보고서는 IT 분야에서 최근 몇 년 전부터 활발하게 연구되어 오고 있는 데이터마이닝 이 비즈니스, 자연과학, 엔지니어링, 교육, 의료, 인구통계, 인터넷, 오락, 스포츠, 여행정보 등 한국 사회 전반적인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여러 다양한 분야에 데이터마이닝의 활용이 높다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대부분 외국 기술에 의존하는 데이터마이닝 분야의 현 상황에서 현 상황에서 한국 내 데이터마이닝 분야와 관련된 대학, 연구소, 기업에서의 데이터마이닝 연구 및 기술 개발을 촉진시키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 보고서는 IT 선진국인 미국에서의 데이터마이닝의 응용중에서 혁신적이며 시장성이 높은 몇몇 분야에 대한 자료 조사에 기반을 두었다. 조사된 분야는 1) 미국 항공우주국(NASA)에서의 방대하고 복잡한 데이터의 분석 및 활용을 위한 데이터마이닝, 2) 온라인에 존재하고 있는 대량의 문서들과 일반 문서들의 내용들을 분석해서 그 문서들 안에 있는 의미와 지식을 전달해 주는 텍스트마이닝, 3) 차세대 TV로 부각되는 인터렉티브(interactive) TV에서 데이터마이닝의 응용, 4) TI와 비즈니스 시장에서 가장 빠르게 급성장하고 있는, 2004년에는 무려 1252억 5백만 달러 규모의 시장성을 갖고 있는 CRM(고객관계관리)에서의 데이터 마이닝 활용 등으로 요약된다. 조사된 분야의 데이터마이닝 활용의 실례들은 한국에서도 데이터마이닝이 더 적극적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이 보고서는 이런 실례들이 한국의 사회적인 기반과 실정에 맞게 적용될 수 있는가에 대한 현실성을 조사한다. 그리고 데이터마이닝의 핵심 기술의 연구와 개발을 하는 분야와 데이터마이닝이 더욱 광범위하게 활용될 수 있도록 하는 주변 기술분야와 데이터마 닝의 활용을 필요로 하는 분야들이 서로 협력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제 1장. 서론 제 2장. 데이터마이닝 활용 분야의 최신 연구 동향 2.1 과학용 관측 데이터를 위한 데이터마이닝의 활용 1) 죠지메이슨 대학의 CEOSR 2) 칼텍의 MLS 그룹 2.2 TV 프로그램 선택을 위한 데이터마이닝의 활용 1) Interactive TV의 추천 엔진 구축을 위한 데이터마이닝 기법 응용 2) TV 가이드 인터렉티브 2.3 텍스트마이닝 테크놀로지 1) 시그마의 텍스커버리 2) 쎄익 의 Data X/InteGen 3) 기타 2.4 고객 관계 관리에서의 데이터마이닝 1) 마이크로스트라티지의 eCRM 2) 기타 제 3장. 한국에서의 데이터마이닝 활용 3.1 과학용 관측 데이터를 위한 데이터마이닝의 활용 3.2 텍스트마이닝 테크놀로지 3.3 인터렉티브 TV의 추천 엔진 구축을 위한 데이터마이닝 기법 응용 3.4 고객 관계 관리에서의 데이터마이닝 제 4장 결론

2001-08-28


IMT-2000 비동기 시스템에 관한 보고서(영국) 스크랩

  • 이진석
  • |
  • 전기/전자

이 자료는 보안문서로 등록이 되어 있습니다. 문서를 열람하시기 원하시는 분은 다음의 사용자 암호를 입력하신 후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사용자 암호 : www.kosen21.org 1990년대 후반부터 시작된 3세대 이동 통신은 개개 해당 기업의 경쟁을 뛰어넘어 국가간 혹은 세계 지역간의 경쟁이라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유럽의 경우 180 조원이 전 서유럽지역을 커버하기 위한 주파수 구입자금으로 사용되고 120조원이 네트워크를 구성하기 위해 필요하다고 예측이 되고 있다. 동시에 단말기 시장을 포함한 도합 6500억 유로화 (780조원)가 3세대 통신 장비의 구축에 소요될 예상이다. 따라서 3세대 통신 시장의 중요성에 미루어 필자는 3세대 비동기 방식의 IMT-2000에 대한 영국 현지 조사에 결과를 수집하고 이에 본 보고서에 요약 분석을 하였다. 본 보고서는 첫째 3세대에 관련하여 90년대 후반 및 2000년 한 해동안 기술, 경영 및 정부 정책에 대해 출간된 자료에 대한 분석을 다루고 있다. 연구 분야의 산실이라 할 수 있는 영국내 대학에 대한 조사를 통해 인력의 수급 상황 및 현재 연구 과제들에 대한 조사를 포함하였다. 동시에 영국 현지에서 굴지의 기업에 종사하고 있는 관련 전문가와의 면담을 통해 현장의 정보를 싣고자 하였다. 기업과 대학의 통신주체의 일부인 영국 정부에 대한 조사를 벌여 3세대 및 차세대에 관련된 정부관련 통신 연구 조직에 대해 그 구성 및 목적에 대해 비교적 상세히 알아보았다. 특히 차세대에 대한 연구는 유럽 중앙 통신 위원회가 활발히 활동하고 있는 이에 대한 조사도 본 보고서는 포함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본 보고서는 국내 3세대 통신에 대한 문제점의 제기와 4세대 대응에 대한 논의를 포함한다. ㅇ 3세대 비동기 방식의 통신의 최신 연구 동향 - 버츄얼 이동통신 연구 센터 - 전세계 단일 표준을 위한 3세대 이동통신의 당면과제 - 3세대 이동 단말 시장에 대하여 - 3G 2000에 대하여 - 영국 내 주파수 경매와 그 영향 - 영국내 3세대 이동통신 관련 학술대회 - 범유럽 정보 사회 프로젝트 IST - Globecom 학술대회 참가 보고서 - VTC 2000 Fall 컨퍼런스 자료집 - '에지' 관련 기술 특별 강의록 - AT&A 연구소장 특별 강의록 - 영국내 통신 관련 종사자 면담 - 영국 거주 통신 관련 분야 종사 한인면담 ㅇ 비동기 관련 분야에 있어서 한국의 과제 - 3세대표준화에 대한 범국가적 관리체제 - 3세대 과연 하드웨어의 싸움인가? ㅇ 4세대 이동통신의 발전 방향 및 한국의 대응 전략 - 차세대 표준화 파트너쉽 위주의 지역적 블록화의 강화 - 한국내 관련 기술자들의 유럽내 취업 알선 - 국내 기반 기술의 개발에 ㅇ 수집 기술 정보 활용 방안

2001-08-28


일본의 생명과학분야에 관한 기술조사 스크랩

  • 강지훈 강지훈
  • |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

이 자료는 보안문서로 등록이 되어 있습니다. 문서를 열람하시기 원하시는 분은 다음의 사용자 암호를 입력하신 후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사용자 암호 : www.kosen21.org 일본은 2001.4부터 향후 5년간 시행할 제2기 과학기술기본계획(안)에서 8대 국가중점과학기술분야중 생명과학분야를 지정하는 등 발전전략을 수립중에 있다. 특히 이것과 관련하여 일본과학기술회의는 2000.12.6 게놈 및 나노테크놀로지등 2개의 첨단분야에 대한 국가기본젼략을 발표하였다. 동 전략에 따르면 인간게놈(전유전정보)의 해독데이타 이용을 도모하는 “포스트게놈“과 10억분의 1미터 사이즈의 원자를 직접 조작하는 “나노테크놀로지“ 등 2개 첨단분야에 대한 국가기본전략을 담았다. 포스트게놈에서는 단백질의 입체구조 및 기능의 해석에 중점을 두고 있다. 인간의 단백질에서 유용하게 될 약 1만 - 1만2천 종류에 대하여 향후 5년간 1/3이상의 구조결정이 가능한 체제를 만든다는 목표를 제시하였다. 한편 생명과학분야의 일선에서 연구중인 4명의 과학기술자와의 인터뷰를 통해 생명과학분야의 향후 중요부분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제1장 서론 제2장 생명과학분야의 최신연구동향         일본 생명과학연구개발의 개요         전문가 인터뷰 내용 제3장 생명과학분야의 향후발전 방향 및 한국의 대응전략         제1절 생명과학의 발전방향 제2절 한국의 대응방향 제4장 수집기술정보의 활용방안 제5장 결론 1. 전문가 면담록 2. 일본생명과학분야의 주목연구자 리스트

2001-08-28


For Excellence in cities (EiC) Partnerships 스크랩

  • 강지훈 강지훈
  • |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
  • 과학기술과 인문사회

Excellence Challenge Strand 1 Planning Guidance Contents Strand 1 : the context - The strands of Excellence Challenge - Aims - Expanding the EiC partnership Writing the plan - Coverage of plans - Timescale - Procedures for agreeing and discussing plans - Audit and review - Selecting the cohorts - Targets - Monitoring and evaluation - Funding Content of the plan - Partnership links and co-ordination - Provision to be made through the programmes - Ensuring effective transition - Support strategies - Links with other initiatives

2001-08-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