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향

리포트

리포트는 KOSEN 회원님들이 작성하는 최신연구동향 보고서입니다.
국내외 연구기관에서 발간하는 최신 동향보고서를 제공합니다.

전체 46913

글쓰기
전체 46913
글쓰기

eic schools(Issue 6 March 2001) 스크랩

  • 강지훈 강지훈
  • |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
  • 과학기술과 인문사회

Aiming high from an dearly age ㅇ This summer hundreds of young 'Graduates' will take to the stage o HULL's city hall, all waiting anxiously to be presented with a prized scroll London & the Souht ㅇ Exciting intra-borough initiatives for gifted & talented pupils in HAMMERSMITH & FULHAM ㅇ WANDSWORTH and the development of : Helen Jones ㅇ Greenwich - learning support units, learning menors and primary extension activities : Linda Neal ㅇ Future pop stars raise the roof! a collaborative event at the DOMEX CLC : maggie Jones Excellence in Cities and National Policy Developments ㅇ Extra funding for learning mentors and city learning centres ㅇ The first excellence in cities annual report ㅇ The green paper 'Schools : building on success' Yorkshire & the Humber ㅇ Recent developments in LEEDS : Dee Reid ㅇ BRADFORD's primary learning support units : DAavid Pye

2001-08-24



Excellence Clusters Paper 스크랩

  • 강지훈 강지훈
  • |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
  • 과학기술과 인문사회

Excellence Clusters are an extension of the Excellence in Cities programme to specific areas of need within LEAs. Excellence in Cities has focused on urban Local Education Authorities which face a range of characteristic problems including unemployment,low expectations and income, poor housing, overcrowding and high levels of mobility. All authorities which meet the Government's criteria for inclusion are now covered by the EiC programme. However, similar circumstances also exist in areas within larger, or less uniform LEAs. Excellence Clusters are designed to address this issue by offering a targeted programme of intervention to specific groups of schools within these authorities.

2001-08-24



AMS TIM : ISS Overview ('1999. 10. 18) 스크랩

  • 강지훈 강지훈
  • |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

ISS OVerview - Physical Characteristics - External Environment - Altitude & Attitude - Research & Requirements AMS PROCESSING TIM - STS-91 - Problems found during cite testing - What is CITE? - Cargo Integration Test Equipment CITE - KSC Industrial Area and LC-39 Area - Payload Processing/Integration Facilities - CITE major Systems - CITE Major Systems - Control Room - CITE major Systems - Avionics - CITE Major Systems - Payload Bay - CITE System Elements Diagram - Control Room Layout - Console Displays - Retransmission Processor - Power Systems - Test Stand Avionics - CITE Augmentation System - SSPE CITE Test Stands - Mission Kits - CITE Software - CITE Testing Options Available - Historical Data Payload Test and Checkout System (PTCS) - Program Roles : PTCS/PRCU - PTCS Capabilities Overview - System Configuration - Physical Configuration - Flight System - PTCS Design - Subsystems - Block Diagrams - Attached Payload Interface Panel Concepts

2001-08-24


Alpha Magnetic Spectrometer on International Space Station 스크랩

  • 강지훈 강지훈
  • |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

Ⅰ. 고에너지물리연구센터 개요 - 연구분야의 중요성 가. 집단연구의 필요성 ㅇ 연구수행방법 - 연구특성 - 센터의 역할- 현재 국내 연구진이 필요한 것은 나. 대학주도 장기연구의 필요성 - 연구 특성 상 - 국내 연구진의 노력 - 과거 15년간 수행한 연구의 일관성과 유기성 Ⅱ. 센터 연구계획 가. 최종 및 단계별 연구목표 - 최종 연구목표 - 단계별 연구목표 - 총괄과제 구성과 연구목표 - 총괄과제들 간의 연계성 나. 총괄 및 세부과제의 연구내용 및 방법 - 제1총괄 : 가속기를 이용한 새로운 입자 탐색과 현상 규명 - 제2총괄 : 우주의 기원 연구 - 제3총괄 : 고에너지 입자 검출기와 가속기 관련 연구 * 우주정거장에서의 AMS 실험 * 우주의 반물질/물질 비 측정 암흑물질의 근원 규명 * 세계 최초의 우주에서의 고에너지 물리실험 - 제4총괄 : 고에너지 이론 연구 다. 연구결과의 학문적/경제사회적 파급효과 1) 과학기술진흥 2) 센터의 위상 3) 산업경제발전 4) 대학연구와 교육 5) 센터의 기능 Ⅲ. 연구진구성 Ⅳ. 센터연구진흥 가. 인력양성 및 활용계획 1. 석박사 과정생을 위한 계획 2. 우수학부생 양성 지원 계획 3. 참여연구원을 위한 지원계획 4. 기술자 및 직원을 위한 양성지원계획 Ⅴ. 연구환경 - 연구시설 장비의 보유와 운영 현황 나. 연구기기, 시설의 유지관리 및 활용시스템 운영 현황 및 향후 계획 - 연구기기 운용 현황 및 활용 계획 다. 연구정보활용시스템 운영 현황 및 향후 계획

2001-08-24


AMS TIM 참석 및 NASA 케네디우주센터 시설 방문 스크랩

  • 신의섭(null / null)
  • |
  • 지구과학(지구/대기/해양/천문)

이 자료는 보안 문서로 등록이 되어 있습니다. 문서를 열람하시기 원하시는 분은 다음의 사용자 암호를 입력하신 후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사용자 암호 : www.kosen21.org - 우주기술개발사업 기획, 관리, 평가에 활용 - NASA의 각종 우주 프로그램에 과기부 및 KISTEP의보다 적극적인 역할을 기대 (우주 개발은 경제성만으로 환산할 수 없는 커다란 국가적 이익을 창출하므로, 현재 과기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우주센터 사업 등도 차질 없이 수행되기를 희망함) - AMS 프로그램 참여 여부 및 방식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며, 한국도 조속한 시일 내에 AMS 프로그램에 참여함이 바람직함 (과학기술적 가치성이 높으며, 미국 NASA/DOE 지원 프로그램에 직접 참여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임)

2001-08-24


Excellence in cities : Guidance for the planning round 스크랩

  • 강지훈 강지훈
  • |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
  • 과학기술과 인문사회

1. Guidance for developing excellence in cities 2. Gifted and talented strand 3. Learning mentors 4. Learning support units 5. Beacon schools 6. Specialist schools 7. City larning centres 8. Small education action zones 9. Target setting 10. Monitoring and evaluation - Guidance for summer 2001 plans The Following Guidance will be of interest mainly to those dealing with individual policy strands 11. Detailed guidance on the gifted and talented strand 12. Additional guidance on the learning mentor strand 13. Learning support units : background information 14. Education action zones 15. Excellence in cities development expenditure

2001-08-23



유류저항성 식물을 이용한 유류오염 습지의 정화와 복원 가능성 스크랩

1. 자료명: Potential for Accelerated Bioremediation and Restoration of Oil-Impacted Marshes through the Selection of Superior Oil-Tolerant Vegetation 2. 저자: Hester, M. W., Lin, Q., and DesRoches, D. J. (Prepared in cooperation with Southeastern Louisiana Univ., Hammond. Dept. of Biological Sciences. Sponsered by Minerals Management Service, New Orleans, LA. Gulf of Mexico OCS Region) 3. 출판사: NTIS 4. 출판날짜: 2000년 5월 5. 내용소개: The cleanup of oil spills in coastal marshes remains a problematic issue because wetlands can be extremely sensitive to the disturbances associated with cleanup activities. As a result, there has been interest in developing alternative, less intrusive, oil spill cleanup/bioremediation techniques. The research reported herein assessed the feasibility of identifying superior oil-tolerant genotypes of Spartina patens and Spartina alterniflora (dominant brackish and salt marsh grasses, respectively) that may be utilized in the restoration and bioremediation of oil-impacted marshes, as well as the creation of marshes in areas with a high amount of oil activity and, hence, a high incidence of an oil spill occurring. 분석자 서문 : 인간의 활동으로 대기, 토양, 담수 및 해양 환경 등 거의 대부분의 자연환경은 큰 영향을 받고 있다. 그 중에서도 기름의 유출로 인한 수생환경과 토양의 오염은 심각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 방법 등 매우 다양한 오염정화 방법이 개발되어 왔지만 아직까지 만족할 만한 결과를 가지고 있지는 못하다. 물리적으로는 장막을 쳐서 기름이 멀리 퍼져나가는 것을 막고 흡착시켜서 수거하거나 불을 붙여서 태워서 없애는 방법도 사용되고 있다. 화학적으로는 유화제를 사용해서 기름이 물과 잘 섞이도록 만들어 미생물들로 하여금 쉽게 분해하도록 만들어주는 방법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들은 모두 정화작용 자체가 미치는 환경에 대한 영향 때문에 이상적인 방법이라고 할 수는 없다. 본 보고서는 생물학적으로 기름오염을 정화하는 방법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로서 토착 식물을 이용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 기술하고 있다. 현재까지 생물학적인 유류오염의 정화는 주로 미생물에 초점이 맞추어져 왔었는데 이는 주로 해양환경의 오염처리에 중점을 두었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보고서에서는 루이지애나에 광범위하게 존재하는 해안습지의 오염을 정화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토착 식물 중 기름에 대한 저항성이 뛰어난 유전형을 선발하고자 하는 연구결과를 정리하고 있다. 해변습지는 가장 생산성이 좋은 환경이며 수질을 향상시키고 어류에 중요한 영양분을 공급함으로써 생산성을 높이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습지 풀은 해안 환경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며 환경변화에 의해서 이 식물들이 사멸할 경우 환경전체에 파급효과를 미치게 될 것이다. 미국전체 해안 습지의 41%를 차지하는 루이지애나의 습지는 빠른 속도로 사라지고 있으며 주된 원인으로는 식물의 스트레스 때문이라고 지적되고 있다. 식물에 스트레스를 주는 요인으로는 수면의 상승으로 인한 침수, 염분의 유입 및 유류 오염 등이 지적되고 있다. 루이지애나의 해안지역은 세계에서 가장 큰 유류관련 산업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멕시코 만과 루이지애나의 해안 지역은 유류오염의 가능성이 매우 큰 지역이다. 유류 유출이 일어났을 경우 정화와 환경복원에 대해서는 논란이 많이 있는데 인위적인 기름 제거 작업 중에 일어나는 환경의 손상이 매우 크다는 지적 때문이다. 따라서 환경에 큰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기름을 제거하고 환경을 복원하는 방법을 개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걸프 해안의 습지 식물을 이 용도로 이용할 수 있을 가능성이 매우 큰 것으로 생각된다 유류가 오염된 토양으로부터 새싹이 나오고 성장할 수 있다면 자연적인 환경복원을 기대해 볼 수 있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 오염지역은 생물들이 모두 없어진 죽은 환경으로 변할 것이며 새로이 생물들이 정착하는 것도 매우 힘들어지게 된다. 유류 오염지역에 기름에 대해서 강한 저항성을 가진 식물이 존재한다면 환경이 완전히 사멸하는 쪽으로 진행되지는 않을 것이며 정화와 환경복원에도 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지금까지 유류에 대한 저항성이 좋은 식물 종을 선별하는 작업은 진행되어 왔지만 같은 종내에서 저항성 차이를 보이는 유전형을 선별하는 작업은 수행된 적이 없다. 본 연구에서는 루이지애나 연안에서 가장 광범위한 지역에 퍼져 있으며 습지 환경에서 중요한 역할을 가지고 있는 종인 Spartina patens와 Spartina alterniflora 두 종에 대해서 유전형 간 유류오염에 대한 저항성을 조사하였다. 이 자료의 분석은 생명과학연구원의 홍순규박사님께서 수고해 주셨습니다. 궁금하신 점은 박사님께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e-mail : polypore@mail.kribb.re.kr 첨부 Potential for accelerated bioremediation and restoration-Hongsoonkyu.pdf

2001-08-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