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향

리포트

리포트는 KOSEN 회원님들이 작성하는 최신연구동향 보고서입니다.
국내외 연구기관에서 발간하는 최신 동향보고서를 제공합니다.

전체 46911

글쓰기
전체 46911
글쓰기


How do patenting and licensing affect research? 스크랩

  • Joan S. Leonard
  • |
  • 과학기술과 인문사회

Summary point 1 ㅇ HHMI is committed to science-driven, cutting-edge research and ㅇ the translation of its discoveries into useful products and services Summary point 2 ㅇ Industry's reliance on patenting and exclusive licensing can affect the research autonomy of academic investigators who seek to use industry materials in their research Summary point 3 ㅇ Patenting and licensing strategies of academic institutions may affect the research autonomy of inventors whose inventions are being commercialized Summary point 4 ㅇ Maintaining a thoughtful balance between nurturing science-driven fundamental research and facilitating the translation of research results into useful products and services requires a commitment of time and resources

2001-07-02


Intelectual Property Rights and R&D Knowledge Flows 스크랩

  • Wesley Cohen
  • |
  • 과학기술과 인문사회

Intellectual Property Policies, Practices and Knowledge Flows ◆ Impact of I.P. policies, particularly patent policy, on knowledge flows typically not given equal time with "protection" considerations ◆ But, such knowledge flows are important ◆ For example, economists have shown R&D spillovers across rivals and between industries to be a key source of productivity growth ◆ Results below suggest I.P. policy and practices can have important impact on such flows

2001-07-02


미생물 유전체 프로그램 스크랩

1. 자료명: Microbial Genome Program Report 2. 저자: Human Genome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Oak Ridge National Laboratory 3. 출판사: U.S. Department of Energy 4. 출판날짜: 2000년 2월 5. 내용소개: 미생물은 지구상의 어느 곳에 나 존재할 정도로 환경에 대한 적응력이 강하다. 북국이나 남극 혹은 도저히 생명이 존재할 수 없을 것 같은 극한 환경 (예를 들면 섭씨 100도가 넘는 심해의 분화구 근처 등)에서도 생존하는 종류들이 많이 있다. 거의 40억 년 이상을 지구상에서 진화해 온 이러한 미생물의 유전체를 철저히 분석하여 이를 오염물질의 정화나 에너지 문제 해결 혹은 의약품의 개발이나 농업분야 등에 응용하기 위한 것이 미생물 유전체 프로젝트(Microbial Genome Project)의 주된 목적 중의 하나로서 미 에너지성 (DOE)의 주도하에 1994년도부터 시작되었다. 본 보고서는 프로젝트의 배경과 그 동안의 주요 성과 및 향후 계획등을 중점적으로 다룬 보고서이다. 6. 목차 1) Why microbes? 2) Program origins 3) Organisms chosen for MGP studies 4) A closer look at the data 5) What’s in the future? 6) Microbial genomes in view 7) Abstracts of research projects 8) Index of project investigators 분석자 서문 : 한 연구결과에 의하면 지구의 전체 생체질량 중 미생물이 차지하는 비율이 약 60%나 되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현재까지 확인된 미생물 종은 전체 미생물 중에서 1%도 채 안 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흔히 알려진 바와는 달리 지구상에 존재하는 미생물들의 대부분은 사람이나 동물에 해를 주지 않으며, 이러한 대다수의 미생물은 적절한 배양법을 모르기 때문에 그 존재 여부조차 알 수 없는 경우가 많다. 바로 이러한 이유들 때문에 그 동안 미생물의 유전체에 대한 연구가 고등동,식물에 비해 늦어졌다고 할 수 있다. 미생물은 지구상의 어느 곳에나 존재할 정도로 환경에 대한 적응력이 강하다. 북극이나 남극 혹은 도저히 생명이 존재할 수 없을 것 같은 극한 환경 (예를 들면 섭씨 100도가 넘는 심해의 분화구 근처) 에서도 아무 이상없이 생명을 유지하는 미생물들이 많이 있다. 거의 40억 년 이상을 지구상에서 진화해 온 이러한 미생물의 생존방식을 철저히 파헤쳐서 이를 오염물질의 정화나 에너지 문제 해결 혹은 의약품의 개발이나 농업분야 등에 응용하기 위한 것이 바로 미생물 유전체 프로젝트의 주된 목적 중의 하나이다. 미 에너지성(U. S. Department of Energy, 이하DOE)의 주도하에 1994년부터 시작된 미생물 유전체 프로그램(Microbial Genome Program, 이하MGP)은 1990년에 시작된 인간 유전체 프로그램(Human Genome Program, 이하HGP)에 비해 다소 출발은 늦었지만, 이미 시작 초기부터 상당한 성과를 거둠으로써 학계의 상당한 관심을 모으고 있다. 본 보고서는 DOE가 주축이 되어 추진중인 이러한 MGP의 중간결과를 점검해 보고 향후 계획을 수립하는 동시에 앞으로의 연구에 있어서 개선할 점이나 중점적으로 추진해야 할 분야를 점검하기 위하여 작성되었다. 이 자료의 분석은 미국 Stanford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에 계신 박철호박사님께서 수고해 주셨습니다. 궁금하신 점은 박사님께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e-mail : chpark@leland.stanford.edu 첨부. .Microbial Genome Program - Park chul ho 원문은 관련 URL을 보시기 바랍니다

2001-07-02



University Patent Licensing; Effects on Research 스크랩

  • Marie C. Thursby
  • |
  • 과학기술과 인문사회

◆ Has licensing generated sponsored research? - Little known ◆ How has it affected knowledge sharing & use of research - Some known ◆ Has faculty research been diverted in response to financial incentives associated with Bayh Dole? - Very little known Sponsored research associated with licenses as % of license funds, Faculty involvement가 도표로 표현되었고 Industry sponsored research benefits, Restrictions from IP Issues, Faculty Effort, Focus of Faculty Research, Need Data on Individual Faculty to Examine에 대한 내용이 간략히 서술되어 있다.

2001-07-02


분자로 만들어진 컴퓨터 스크랩

  • 최원영 최원영
  • |
  • 아이오와주립대학교
  • |
  • 재료

1.자료명: Computing with Molecules 2.저자: Mark A. Reed and James M. Tour 3.출판사: Scientific American 4.출판날짜: June, 2000 5.내용소개: Nanotechnology의 한 분야로 가장 빠르게 가시적인 결과들을 발표하고 있는 분자 전자 소자 기술 분야를 전문 과학 잡지가 아닌 Scientific American이란 잡지에 실린 논문이다. 최근 많은 기술 과학자들의 관심, 특히 화학 분야, 을 끌고 있는 분야이다. 이 분야에 생소하지만 관심 있는 과학 기술자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분석 자료라 생각되어 분석을 추천하는 바이다. 분자 소자의 기술 개발 당위성으로 물론 현재의 마이크론 기술의 물리적 한계성과 Moor's의 제 2 법칙으로 대변되는 경제성을 이야기 하고 있으며 이를 극복하기위한 기술로 bottom-up 공정을 기조로 한 분자 소자의 기술 개발을 쉽게 설명하고 있다. 분석자 서문 : 컴퓨터는 앞으로도 계속 발전 할 수 있을 것인가? 이 질문에 대한 대답은 현재 주목 받는 분자 전기학(Molecular electronics)에 달려 있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지금까지는 컴퓨터의 핵심 부품인 반도체의 고 집적화를 통해 컴퓨터의 속도를 향상시켜 왔으나, 전문가들은 현재의 기술이 2015-2017년경 한계에 다다를 것으로 예측한다. 다시 말해, 컴퓨터업계에서 회자되는 Moore의 제2법칙-반도체의 고 집적화를 이루기 위해 투입되는 비용이 고 집적화로 얻는 수익을 상쇄함-이 가까운 장래에 위력을 발휘하게 될 것이다. 그렇다면 대안은 없는가? 분자 전기학이 현시점에서 최선의 대안이다. 분자 전기학은 분자들을 반도체 소자로 이용하는 새로운 시도를 통해서, 현재의 반도체 제조 기술이 넘을 수 없는 한계를 극복하려는 대체 기술이다. 본 분석 보고서는 이러한 기술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미 화학계의 노력을 소개한 것으로, 미국의 대중 과학 잡지인 Scientific American 2000년 6월 호를 통해 개제 됐던 문건을 요약, 분석한 것이다. 이 문건은 미국 과학계와 컴퓨터 기업들의 분자 전기학에 기초한 지금까지의 연구 성과를 기술하고 있을 뿐 아니라, 그들의 당면한 과제도 살펴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이 자료의 분석은 미국 Ames Laboratory-DOE에 계신 최원영박사님께서 수고해 주셨습니다. 궁금하신 점은 박사님께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e-mail : wchoe@iastate.edu 첨부 .computing wiht molecules choiwonyoung.pdf *원문은 관련 URL을 보시기 바랍니다

2001-06-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