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건의료
COVID-19의 위험인자인 비만
COVID-19의 위험인자인 비만
활발한 연구를 바탕으로 비만은 COVID-19에서 급성호흡곤란증후군, 사이토카인 폭풍 및 응고병증과 같은 주요 합병증의 진행에 대한 주요 위험 요소로 인식되고 있다. SARS-COVID-19 감염으로 인한 비만과 질병의 중증도 사이의 연관성을 이해하는 것은 고위험군의 새로운 치료 및 예방조치를 개발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 특히, 비만에 의한 여러 특징이 심각한 COVID-19 및 합병증의 유행에 기여하는데, 첫째, 바이러스 진입은 ACE2와 같은 바이러스 진입 수용체의 상향 조절에 의해 촉진될 수...
자세히 보기2023-02-20 윤창호(changhovirus)- 1
-
생명과학
신·변종 감염병을 준비하는 우리의 현재와 미래
신·변종 감염병을 준비하는 우리의 현재와 미래
COVID-19이 발생한 지 4년여 기간이 지나는 동안 인류는 이제까지 경험하지 못한 어려움을 맞이하였다. 다행히 이제 조금씩 완화되고 있으나 아시다시피 바이러스는 숙주인 동식물이 있는 한 영원히 없어질 수 없는 존재이다. 지금 세계는 Next pandemic에 대응하기 위한 준비를 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도 신·변종 감염병과 관련한 mRNA 기반 치료제 개발, 전임상시험 지원 등 다양한 대응을 준비하고 있다. 이에 현재 우리의 위치를 재조명해보고 좀 더 현실적인 논의와 인류에게 공헌할 수 있는 방안...
자세히 보기2023-02-20 김영철(yckkr)- 1
-
보건의료
COVID-19 치료제 연구를 위한 신규 인간화 마우스 동물모델
COVID-19 치료제 연구를 위한 신규 인간화 마우스 동물모델
지난 몇 년 동안 수백만 명의 목숨을 앗아간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대유행을 해결하기 위해 전 세계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아쉽게도 가까운 미래에 종식될 조짐은 보이지 않고 있다. 대유행을 쉽게 종식시키지 못하는 원인 중 하나는 병인을 더 잘 이해하고 예방 및 치료법을 테스트하기 위한 적절한 동물모델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인간의 바이러스질환을 동물모델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인간과 동일한 감염 경로가 존재해야 하고, 감염 후 면역...
자세히 보기2023-02-16 최창용(cychoi0601)- 1
-
정보/통신
AI 기반 안면인식 기술 동향
AI 기반 안면인식 기술 동향
안면인식 기술은 비디오 또는 정적 이미지에서 사람을 식별하기 위해 함께 작동하는 일련의 알고리즘(Algorithms)을 말한다. 이 기술은 수십 년 동안 존재했지만 최근 몇 년 동안 훨씬 더 널리 보급되고 혁신되고 있다. 최근 4차산업혁명 기술과 함께 발전되고 있는 혁신 중 하나는 안면인식 시스템에 인공지능(AI)을 통합하는 것이다. 지능형 AI 기반 소프트웨어(Intelligent, AI-based software)는 얼굴 데이터베이스를 즉시 검색하고 특정 장면에서 감지된 하나 또는 여러 얼굴과...
자세히 보기2022-08-17 이정률(greatgun)- 1
-
환경
유럽의 순환경제와 탄소중립 정책 현황
유럽의 순환경제와 탄소중립 정책 현황
인류는 현재까지 산업화 및 경제성장에 치중한 결과로 지구 생태계 시스템을 망가트리고 있으며, 미래 세대의 삶의 질을 위태롭게 하고 있다는 깨달음은 지금쯤 정부, 기업, 시민사회 등 많은 이들이 가지고 있을 것이다. 자원을 가져가고, 상품을 생산하고, 그것들을 사용하고, 쓰레기로 버려지는 경제의 선형적인 방식은, 그것의 끝을 향해 움직이는 것처럼 보인다. 인구가 증가하는 동안 무한하지 않은 자원은 점점 부족해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온실가스 배출이 미래의 변동성을 경험하게 하는 지경에 이르렀기 때문...
자세히 보기2022-07-05 김영재(ykim445)- 1
-
환경
기계학습이 적용된 인과추론 체계를 이용한 COVID-19 확산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인자 분석
기계학습이 적용된 인과추론 체계를 이용한 COVID-19 확산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인자 분석
중국 우한에서 처음 COVID-19 사례가 보고된 후 12개월이 경과한 2020년 12월 영국에서는 SARS-CoV-2 변이 바이러스가 확인되었으며, 다시 2개월 후에는 전염성과 치명률이 높은 새로운 변이가 캐나다 10개 도시 및 미국을 포함한 전 세계 91개국에서도 검출되었다. 2021년 6월 30일 기준으로 새로운 코로나 변이 바이러스가 전 세계를 순환하고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COVID-19로 인한 사망자가 400만 명에 달했다(2022년 3월 초 기준으로는 약 600만 명). 비록 코로나...
자세히 보기2022-03-29 문철환(highmoon)- 0
-
보건의료
COVID-19 대유행 중 알코올 및 약물남용에 대한연구 및 치료
COVID-19 대유행 중 알코올 및 약물남용에 대한연구 및 치료
SARS-CoV-2(COVID-19)의 세계 대유행은 우리 생활에서 정신건강 이상 같은 질병으로 큰 영향을 끼치고 있다[1]. 이 질병의 만연에서 확대를 막기위하여 격리와 같은 수단을 동원하고 있다. 개인들의 정신건강은 다양하여 근심 걱정, 우울증, 스트레스후 증후군, 자해 및 자살을 시도하기도 한다[2]. 이러한 요인들은 타 건강 관련 태도들에 영향을 미쳐, 알코올 및 타 약물남용으로 이어진다[3]. 재난 중에 스트레스와 근심은 이를 견디기 위하여 약물남용을 가져온다[4]. COVID-19 관...
자세히 보기2022-02-17 이재현(jaelee122)- 1
-
정보/통신
COVID-19 시대의 제로 트러스트 전략
COVID-19 시대의 제로 트러스트 전략
2020~2021년은 사이버보안에 있어 힘든 해였다고 말할 수 있다. 보안 팀은 코로나19 대유행으로 광범위한 확장 폐쇄가 촉발됨에 따라 며칠 안에 원격작업 환경을 확보해야 했다. 그런 다음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리소스에 물리적으로 액세스하지 않고 1년 내내 안전한 운영을 유지해야 했다. 한편, 랜섬웨어 공격은 규모와 강도가 확장되어 조직의 컴퓨터 대부분을 한 번에 사용할 수 없게 만드는 동시에 중요한 데이터를 훔치기도 했다. 한 해를 마무리하기 위해, 민족국가 테러리스트들이 모든 부문에 걸쳐 수만...
자세히 보기2022-02-17 이정률(greatgun)- 1
-
환경
재택명령이 물 사용량에 미치는 영향
재택명령이 물 사용량에 미치는 영향
COVID-19으로 인해 각국 정부는 사회적 거리두기를 시행하였고, 그 결과 근무 형태 및 생활 패턴의 큰 변화를 가져왔다. 사회적 거리두기의 일환으로 시행된 “stay-at-home” 명령(재택명령)으로 많은 사무직 근로자들이 재택근무(work from home)를 하게 되었다. 이러한 정책으로 인해 실업률이 증가하고, 대중교통 시스템의 변화가 있었으며, 경제활동도 감소하는 등 광범위한 사회경제적 변화가 뒤따랐다. 팬데믹으로 인한 생활 및 근무 형태의 변화는 도시지역의 물 ...
자세히 보기2022-01-17 문철환(highmoon)- 2
-
기계
노르웨이의 친환경선박 기술 동향
노르웨이의 친환경선박 기술 동향
1. 친환경선박 기술 동향 노르웨이 선급 DNV는 에너지전환 전망 보고서를 2021년 9월에 발표하였다. 그 보고서에 따르면 2019년 전 세계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현재까지 기록상 최고치였고, 2020년에는 COVID-19로 인해 6% 감소하였으나, 현재는 경제개발이 COVID-19 이전과 같이 탄소배출량이 증가하고 있다. 향후 3년 동안은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국제해사기구는 2018년 4월에 선박 온실가스 감축 초기 전략을 발표하여 해운 분야 탈탄...
자세히 보기- Decarbonization
- Energy efficiency
- Carbon natural
- Alternative fuel
-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
- Fjord
- Norway
2021-12-28 선재욱(jaeouk)- 1
전체 43개
-
보건의료
COVID-19의 위험인자인 비만
COVID-19의 위험인자인 비만
활발한 연구를 바탕으로 비만은 COVID-19에서 급성호흡곤란증후군, 사이토카인 폭풍 및 응고병증과 같은 주요 합병증의 진행에 대한 주요 위험 요소로 인식되고 있다. SARS-COVID-19 감염으로 인한 비만과 질병의 중증도 사이의 연관성을 이해하는 것은 고위험군의 새로운 치료 및 예방조치를 개발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 특히, 비만에 의한 여러 특징이 심각한 COVID-19 및 합병증의 유행에 기여하는데, 첫째, 바이러스 진입은 ACE2와 같은 바이러스 진입 수용체의 상향 조절에 의해 촉진될 수...
자세히 보기2023-02-20 윤창호(changhovirus)- 1
-
생명과학
신·변종 감염병을 준비하는 우리의 현재와 미래
신·변종 감염병을 준비하는 우리의 현재와 미래
COVID-19이 발생한 지 4년여 기간이 지나는 동안 인류는 이제까지 경험하지 못한 어려움을 맞이하였다. 다행히 이제 조금씩 완화되고 있으나 아시다시피 바이러스는 숙주인 동식물이 있는 한 영원히 없어질 수 없는 존재이다. 지금 세계는 Next pandemic에 대응하기 위한 준비를 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도 신·변종 감염병과 관련한 mRNA 기반 치료제 개발, 전임상시험 지원 등 다양한 대응을 준비하고 있다. 이에 현재 우리의 위치를 재조명해보고 좀 더 현실적인 논의와 인류에게 공헌할 수 있는 방안...
자세히 보기2023-02-20 김영철(yckkr)- 1
-
보건의료
COVID-19 치료제 연구를 위한 신규 인간화 마우스 동물모델
COVID-19 치료제 연구를 위한 신규 인간화 마우스 동물모델
지난 몇 년 동안 수백만 명의 목숨을 앗아간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대유행을 해결하기 위해 전 세계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아쉽게도 가까운 미래에 종식될 조짐은 보이지 않고 있다. 대유행을 쉽게 종식시키지 못하는 원인 중 하나는 병인을 더 잘 이해하고 예방 및 치료법을 테스트하기 위한 적절한 동물모델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인간의 바이러스질환을 동물모델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인간과 동일한 감염 경로가 존재해야 하고, 감염 후 면역...
자세히 보기2023-02-16 최창용(cychoi0601)- 1
-
정보/통신
AI 기반 안면인식 기술 동향
AI 기반 안면인식 기술 동향
안면인식 기술은 비디오 또는 정적 이미지에서 사람을 식별하기 위해 함께 작동하는 일련의 알고리즘(Algorithms)을 말한다. 이 기술은 수십 년 동안 존재했지만 최근 몇 년 동안 훨씬 더 널리 보급되고 혁신되고 있다. 최근 4차산업혁명 기술과 함께 발전되고 있는 혁신 중 하나는 안면인식 시스템에 인공지능(AI)을 통합하는 것이다. 지능형 AI 기반 소프트웨어(Intelligent, AI-based software)는 얼굴 데이터베이스를 즉시 검색하고 특정 장면에서 감지된 하나 또는 여러 얼굴과...
자세히 보기2022-08-17 이정률(greatgun)- 1
-
환경
유럽의 순환경제와 탄소중립 정책 현황
유럽의 순환경제와 탄소중립 정책 현황
인류는 현재까지 산업화 및 경제성장에 치중한 결과로 지구 생태계 시스템을 망가트리고 있으며, 미래 세대의 삶의 질을 위태롭게 하고 있다는 깨달음은 지금쯤 정부, 기업, 시민사회 등 많은 이들이 가지고 있을 것이다. 자원을 가져가고, 상품을 생산하고, 그것들을 사용하고, 쓰레기로 버려지는 경제의 선형적인 방식은, 그것의 끝을 향해 움직이는 것처럼 보인다. 인구가 증가하는 동안 무한하지 않은 자원은 점점 부족해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온실가스 배출이 미래의 변동성을 경험하게 하는 지경에 이르렀기 때문...
자세히 보기2022-07-05 김영재(ykim445)- 1
-
환경
기계학습이 적용된 인과추론 체계를 이용한 COVID-19 확산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인자 분석
기계학습이 적용된 인과추론 체계를 이용한 COVID-19 확산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인자 분석
중국 우한에서 처음 COVID-19 사례가 보고된 후 12개월이 경과한 2020년 12월 영국에서는 SARS-CoV-2 변이 바이러스가 확인되었으며, 다시 2개월 후에는 전염성과 치명률이 높은 새로운 변이가 캐나다 10개 도시 및 미국을 포함한 전 세계 91개국에서도 검출되었다. 2021년 6월 30일 기준으로 새로운 코로나 변이 바이러스가 전 세계를 순환하고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COVID-19로 인한 사망자가 400만 명에 달했다(2022년 3월 초 기준으로는 약 600만 명). 비록 코로나...
자세히 보기2022-03-29 문철환(highmoon)- 0
-
보건의료
COVID-19 대유행 중 알코올 및 약물남용에 대한연구 및 치료
COVID-19 대유행 중 알코올 및 약물남용에 대한연구 및 치료
SARS-CoV-2(COVID-19)의 세계 대유행은 우리 생활에서 정신건강 이상 같은 질병으로 큰 영향을 끼치고 있다[1]. 이 질병의 만연에서 확대를 막기위하여 격리와 같은 수단을 동원하고 있다. 개인들의 정신건강은 다양하여 근심 걱정, 우울증, 스트레스후 증후군, 자해 및 자살을 시도하기도 한다[2]. 이러한 요인들은 타 건강 관련 태도들에 영향을 미쳐, 알코올 및 타 약물남용으로 이어진다[3]. 재난 중에 스트레스와 근심은 이를 견디기 위하여 약물남용을 가져온다[4]. COVID-19 관...
자세히 보기2022-02-17 이재현(jaelee122)- 1
-
정보/통신
COVID-19 시대의 제로 트러스트 전략
COVID-19 시대의 제로 트러스트 전략
2020~2021년은 사이버보안에 있어 힘든 해였다고 말할 수 있다. 보안 팀은 코로나19 대유행으로 광범위한 확장 폐쇄가 촉발됨에 따라 며칠 안에 원격작업 환경을 확보해야 했다. 그런 다음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리소스에 물리적으로 액세스하지 않고 1년 내내 안전한 운영을 유지해야 했다. 한편, 랜섬웨어 공격은 규모와 강도가 확장되어 조직의 컴퓨터 대부분을 한 번에 사용할 수 없게 만드는 동시에 중요한 데이터를 훔치기도 했다. 한 해를 마무리하기 위해, 민족국가 테러리스트들이 모든 부문에 걸쳐 수만...
자세히 보기2022-02-17 이정률(greatgun)- 1
-
환경
재택명령이 물 사용량에 미치는 영향
재택명령이 물 사용량에 미치는 영향
COVID-19으로 인해 각국 정부는 사회적 거리두기를 시행하였고, 그 결과 근무 형태 및 생활 패턴의 큰 변화를 가져왔다. 사회적 거리두기의 일환으로 시행된 “stay-at-home” 명령(재택명령)으로 많은 사무직 근로자들이 재택근무(work from home)를 하게 되었다. 이러한 정책으로 인해 실업률이 증가하고, 대중교통 시스템의 변화가 있었으며, 경제활동도 감소하는 등 광범위한 사회경제적 변화가 뒤따랐다. 팬데믹으로 인한 생활 및 근무 형태의 변화는 도시지역의 물 ...
자세히 보기2022-01-17 문철환(highmoon)- 2
-
기계
노르웨이의 친환경선박 기술 동향
노르웨이의 친환경선박 기술 동향
1. 친환경선박 기술 동향 노르웨이 선급 DNV는 에너지전환 전망 보고서를 2021년 9월에 발표하였다. 그 보고서에 따르면 2019년 전 세계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현재까지 기록상 최고치였고, 2020년에는 COVID-19로 인해 6% 감소하였으나, 현재는 경제개발이 COVID-19 이전과 같이 탄소배출량이 증가하고 있다. 향후 3년 동안은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국제해사기구는 2018년 4월에 선박 온실가스 감축 초기 전략을 발표하여 해운 분야 탈탄...
자세히 보기- Decarbonization
- Energy efficiency
- Carbon natural
- Alternative fuel
-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
- Fjord
- Norway
2021-12-28 선재욱(jaeouk)-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