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향

리포트

리포트는 KOSEN 회원님들이 작성하는 최신연구동향 보고서입니다.
국내외 연구기관에서 발간하는 최신 동향보고서를 제공합니다.

전체 46906

글쓰기
전체 46906
글쓰기

[이슈 브리핑] 유럽집행위원회, 바이오기술 및 바이오제조 허브 출범 스크랩

  • 한국바이오협회
  • |
  • 생명과학

□ 유럽집행위원회, 혁신적인 기업을 지원하기 위해 바이오기술 및 바이오제조 허브 출범 - 1월 30일, EU 집행위원회는 기업, 특히 신생 기업과 중소기업이 혁신적인 제품을 EU 시장에 출시하고 경쟁력을 높일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해 새로운 바이오기술 및 바이오제조 허브(Biotech and Biomanufacturing Hub)를 출범한다고 밝힘 □ 바이오기술 및 바이오제조 허브는 지난해 3월 유럽집행위원회가 발표한 ‘바이오기술 및 바이오제조를 촉진하기 위한 전략’의 후속 조치로 나온 핵심 결과물임. - 작년 발표된 전략에는 EU 회원국마다 파편화된 규제를 단순화하고, 시장 출시 기간을 단축하기 위해 ‘EU바이오기술법’ 제정을 검토하고, 기업이 규제를 탐색하고 스케일-업을 지원할 수 있는 ‘EU바이오허브’를 설립하며, 효과적인 EU 단일시장의 규제 및 시장접근 거버넌스 구축 등 8개 세부 전략이 담겨 있었음.   □ 미국도 2024년 3월 컨트롤타워(국가바이오경제위원회)를 출범해 바이오기술 및 바이오제조 역량강화를 통한 바이오경제 육성을 추진하고 있으며, 우리정부도 지난달 ‘국가바이오위원회’를 발족하는 등 주요국들이 미래 세대와 국가 경제 발전을 위해 앞다퉈 바이오경제를 선도하기 위한 조치들을 취하고 있음.

2025-02-06


[이슈 브리핑] LinkedIn 창립자, AI 기반 신약개발기업 설립 스크랩

  • 한국바이오협회
  • |
  • 생명과학

□ LinkedIn 창립자 리드 호프만, 신약 개발기업 마나스 AI (Manas AI) 설립 - 링크드인 공동 창립자이자 벤처 캐피털리스트인 리드 호프만(Reid Hoffman)은 저명한 종양 전문의이자 퓰리처상 수상 작가인 싯다르타 무케르지(Siddhartha Mukherjee) 박사와 함께 1월 27일 신약개발 스타트업 Manas AI를 출범한다고 밝힘. - 마나스AI는 인공지능을 이용해 전립선암, 림프종, 삼중 음성 유방암과 같은 공격적인 암에 대한 새로운 치료법을 시작으로 약물 발견 프로세스를 가속화할 계획임. AI 기반의 신약개발을 위해 다른 스타트업들 뿐만 아니라 일라이 릴리, 화이자, 머크 등 대형 제약사들도 적극 뛰어들고 있는 상황임.   □ 한편, AI 전문가인 호프먼은 지난주 중국의 딥시크(DeepSeek)가 갑작스럽게 등장한 것에 주목하고 있음. - 딥시크는 지난 1월 OpenAI의 o1에 필적하는 오픈소스 추론 모델 R1을 출시하면서 화제를 모으기 시작했음. 이 모델은 OpenAI, Anthropic, Google 및 기타 업체의 경쟁 모델 비용보다 훨씬 저렴한 비용으로 개발된 것으로 알려졌음.

2025-02-05


[이슈 브리핑] 중국 정부, 미국 일루미나 블랙리스트로 지정 스크랩

  • 한국바이오협회
  • |
  • 생명과학

□ 미국이 2025년 2월 4일 00시부터 중국에 부과한 10% 관세에 대응해 중국정부가 일부 미국산 제품에 대해 10~15% 관세를 부과한 가운데 중국 정부가 미국 일루미나 등 2개사를 신뢰할 수 없는 기업으로 공고함. □ 중국 상무부, 미국 일루미나 등 2개사를 신뢰할 수 없는 기업으로 공고(2.4) - 2월 4일, 중국 상무부는 미국 PVH Group과 ILLUMINA를 신뢰할 수 없는 기업으로 지정한다고 공고함. PVH Group은 캘빈클라인 브랜드 등을 보유한 의류사업을 영위하는 기업이며, 일루미나는 세계 1위 유전체분석장비 제조 회사임.   □ 한편, 2025년 1월 7일 미국 국방부는 중국의 거대 IT 기업인 텐센트, 세계 최대 배터리 제조업체인 CATL 등 134개사를 미국에서 활동하고 있는 ‘중국군사기업(Chinese military companies)’으로 지정한 바 있음. - 여기에는 중국의 최대 유전체분석장비 제조 및 서비스기업인 BGI 그룹, BGI Genomics, Forensic Genomics International, MGI Tech 등 4개 유전체 분석장비 제조 및 분석서비스 기업과 2개의 바이오 관련기업이 포함되어 있음.

2025-02-04


[이슈 브리핑] 대만, 반도체 TSMC에 이어 바이오 TBMC 본격 추진 스크랩

  • 한국바이오협회
  • |
  • 생명과학

□ 세계 최대 반도체 파운드리인 대만 TSMC와 한글자 다른 TBMC - 대만중앙통신사(CNA)에 따르면, 대만정부(경제부)의 주도하에 2023년 5월 설립된 대만바이오제조기업(Taiwan Bio-Manufacturing Corporation, TBMC) 생산라인의 첫 번째 단계가 올해 말 완료될 예정임. - TBMC는 대만 정부와 미국 바이오의약품 제조회사인 National Resilience의 합작 투자회사로, 코로나19 팬데믹시기 대만은 일시적인 백신 부족사태를 겪으면서 CDMO 서비스를 통해 첨단 바이오의약품을 신속하게 제조할 수 있는 국가 능력을 배양해 대만 국민의 건강과 복지를 보호하고자 정부 주도로 설립됨. - TBMC는 핵산치료제, 유전자치료제, 세포치료제, 생물학적제제(단백질의약품) 등 4대 분야에 주력할 예정으로, 대만 최초의 바이오의약품 CDMO가 될 것으로 기대됨.   □ TBMC, 바이오의약품분야의 TSMC(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되겠다고 자신하는 이유 - TBMC의 Zhang Youxian 대표이사는 “위탁개발생산(CDMO)는 빠르고, 우수하고, 저렴하고, 유연해야 돈을 벌 수 있다“고 말하며, ”의약품 파운드리 모델은 공장 가동률을 유지하기 위해 초기 주베이 공장은 유연한 생산기능을 가지도록 설계되었다“고 말함. 특히, 지난해 미국에서 생물보안법이 추진되면서 많은 미국 기업들이 TBMC를 찾고 있다”고 말함. - 그는 ”대만에 공장이나 실험실을 건설하는 비용이 미국에 건설하는 것보다 저렴하고 자본투자가 적게 들고 공장 건설 속도가 빠르며, 대만은 빠르고 우수하며 비용 효율성을 달성할 수 있고 이는 바이오의약품 파운드리의 중요한 이점이기도 하다“고 말함.

2025-02-04



[이슈 브리핑] 한국계 미국인, 최초로 다국적제약사 대표이사 취임 예정 스크랩

  • 한국바이오협회
  • |
  • 생명과학

□ 1월 30일, 일본 최대 제약회사이자 다국적제약사인 다케다(Takeda)는 보도자료를 통해 2026년 6월부로 미국사업부 Julie Kim 사장을 다케다의 대표이사로 임명한다고 밝힘. - 다케다는 1월 30일 이사회에서 만장일치로 Takeda 미국사업부 사장인 줄리 킴을 현 다케다 크리스토프 웨버(Christophe Weber) 대표이사의 후임자로 임명하기로 결정함.   □ 올해 54세인 줄리 김 사장은 2019년 다케다가 620억 달러에 샤이어(Shire)를 인수하면서 현 다케다에 합류하였으며, 2022년 4월부터 다케다의 미국사업부 사장을 맡고 있음. - 김 대표는 다트머스대학에서 경제학 학사, 노스웨스턴대학교 켈로그 경영대학원에서 MBA를 취득했음. 컨설턴트로 경력을 시작한 후, 2000년대 초반에 박스터에 합류하면서 제약업계에 뛰어들었음. - 김 대표는 어린시절 서울에서 미국 오하이오주 클리블랜드로 이주하였으며, 미국 내에서 한인사회의 목소리와 영향력을 높이고자 하는 취지로 만들어진 미주한인위원회(Council of Korean Americans)의 회원으로 2023년부터 활동하고 있음.

2025-02-03


US S&T Briefing 2025 January Issue 스크랩

  • KUSCO(한미과학협력센터)
  • |
  • 과학기술과 인문사회

1. 과학기술R&D·ICT 정책 동향 미 의회 개원, 주요 과학 법안 처리 난항 예상 미 NSF, 양자 기술 발전 6개 신규 파일럿 프로젝트 발표 바이든 행정부, 반도체 R&D 핵심 시설 및 지원 발표 과학자들, 트럼프에 연방 과학 연구와 일자리 보호 촉구 바이든 대통령, 2025년 3월까지 연방정부 예산 연장안 서명 미국 내 기업 인공지능 연구개발, 사용, 인력 실태 보고서 미 NSF, 미래 사이버 보안 전문가 양성 장학금 지원   2. 과학기술R&D·ICT 연구 동향 추가 하드웨어 없이 생물학적 표본의 선명한 이미지 생성 기술 화성 표면 표본으로 행성의 역사를 규명 홀로노믹 모바일 로봇을 통한 가정용 로봇 기술 향상 단일 원자 촉매 연구 가속화를 위한 소프트웨어 도구 무선 네트워킹 기술의 주요 취약점 발견 심근경색 진단 위한 저비용 종이 기반 시험 방법 개발 노화에 의한 뇌세포 유전자 활동 변화 연구   3. 벤처·기술사업화 동향 AI 투자 환경, 2025년 실질적 수익 창출로 초점 이동 2024년 블록체인 스타트업에 136억 달러 투자 앤트로픽, 60억 달러 투자 유치 협의 기업가치 600억 달러 전망 반도체 디지털 트윈 연구소 설립에 2억 8,500만 달러 지원 2025 회계연도 SBIR 신규 지원, 지열 연구 자금 지원 제공 미 에너지부, 에너지 전환 협력 촉진 프로그램 참여 기관 발표 미 특허청, NASA와 혁신 촉진을 위한 협력   4. 인문사회과학 동향  로봇 도입으로 요양원 고용 유지와 서비스 품질 향상 설문 조사 방식, 히스패닉 정체성 변화에 큰 영향   5. 과학기술 외교 동향  한?미 원자력 수출·협력 MOU 체결

2025-01-25


[이슈 브리핑] 중국 과학자, CO2를 단백질로 전환하는 혁신기술 개발 스크랩

  • 한국바이오협회
  • |
  • 생명과학

□ 중국 과학자들*이 이산화탄소(CO2)와 전기를 사용해 단세포단백질(SCP)을 생산하는 혁신적인 기술을 개발하고 그 결과를 최근 국제학술지인 ‘환경과학 및 생태기술’에 공개함. □ 이 새로운 바이오공정의 핵심은 혐기성 및 호기성 공정을 통합하는 이중 반응기 시스템을 만드는 것임. - 첫 번째 단계에서는 미생물 전기합성(microbial electrosynthesis, MES)을 사용하여 CO₂를 필수 중간체인 아세테이트(acetate)로 변환함.   이후 이 아세테이트는 두 번째 반응기로 공급되어 호기성 박테리아가 단세포단백질(SCP)을 생성함. - 이 시스템은 17.4g/L의 건조 셀 중량을 산출하여 매우 효율적인 것으로 입증되었으며 특히 이 SCP의 두드러진 특징 중 하나는 74%에 달하는 인상적인 단백질 함량으로,    이는 어분(68%)이나 대두(48%)와 같은 기존 단백질 공급원을 크게 능가하는 것임.   □ 이 기술은 이산화탄소를 단백질 자원으로 전환할 수 있어 기후 변화 및 식량 문제 해결 등 탄소 순환 경제를 촉진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2025-01-24


[이슈 브리핑] 글로벌 바이오 소부장 1위 기업, CDMO 강자로 도약 모색 스크랩

  • 한국바이오협회
  • |
  • 생명과학

□ 미국 써모피셔(Thermo Fisher), 바이오 소부장에서 CRDMO까지 영역 확장 - 써모피셔 사이언티픽*은 써모 일렉트론과 피셔 사이언티픽이 2006년 합병을 통해 탄생한 바이오 소재부품장비(소부장) 부문의 글로벌 리더 기업으로 공격적인 M&A를 통해 사업의 다각화를 추진하고 있음. - 써모피셔는 2017년 파테온(Patheon) 인수를 시작으로 2019년 바이러스벡터 전문기업인 브래머 바이오와 2021년 노바셉의 바이러스벡터 생산사업부인 헤노겐을 인수함으로써 세포·유전자치료제 CDMO로 사업을 확장하였으며 기존 주요 사업군과 시너지효과를 발휘하며 바이오 CDMO 기업으로서도 자리 매김함.    □ 세계 2위 CDMO 카탈란트 빈자리 차지하기 위한 써모피셔, 내?외부 환경 모두 우호적 - 2025년 1월에 있었던 J.P. Morgan 헬스케어 컨퍼런스에서 써모피셔 Marc Casper 최고경영자는 “지속 가능한 역량 구축”에 중점을 두고 “시장이 변화하는 흐름에 따라 유연하게 적응하고 GLP-1 계약을 늘려나갈 것”이라고 말하며,  “운영개선, 재고 감소, 공급망의 성과 개선, 생산캐파 증가에 중점을 두고 운영할 것“을 강조함. 또, 이러한 성과는 2026년부터 높은 성과를 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함.    

2025-01-24


[이슈 브리핑] 국가전략기술 투자세액공제 직접환급제 도입 법안 발의 스크랩

  • 한국바이오협회
  • |
  • 생명과학

□ 1월 22일, 바이오 등 국가전략기술 투자세액공제 방식에 ‘직접환급제’를 도입하는 내용으로 이연희 국회의원이 대표발의한 「조세특례제한법 일부개정법률안」이 제출됨. - 현행 「조세특례제한법」은 국가전략기술에 대해 투자세액공제를 지원하는 방식으로 법인세 공제 방식 한가지만을 규정하고 있음. - 그러나 법인세 세액공제는 기업의 영업이익이 발생할 경우 적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대규모의 초기 투자로 이익이 발생하지 않은 기업의 경우 세액공제가 불가능하고,    이월제도를 통해 향후 이익이 날 경우에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국가전략기술의 경우 국제적 경쟁이 치열해 실질적인 혜택이 절실한 상황임. □ 지난해 9월 대한상공회의소가 한국바이오협회, 한국배터리산업협회, 한국디스플레이산업협회와 함께 국가전략기술 세액공제를 받고 있는 첨단산업분야 기업 100개사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80% 기업들이 “직접환급제“ 도입에 긍정적인 것으로 답변함. - 100개사 중 바이오기업은 주요 대기업을 포함해 22개사가 응답했으며, 바이오산업 특성을 감안해 현행 투자세액공제가 ‘직접환급제‘로 변경될 필요가 있다고 응답 - 응답한 바이오기업들의 59.1%는 납부해야 할 법인세가 세액공제보다 적어 이월한 경험이 있었으며, 31.8%는 현행 방식으로는 적절한 시기에 세액공제 혜택을 받을 수 없어   적기 투자에 차질을 빚는 등 실효성이 미흡하다는 의견이었음.

2025-01-23


처음 이전 1  2  3  4  5  다음 마지막
처음 이전 1  2  3  4  5  6  7  8  9  10  다음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