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향

리포트

리포트는 KOSEN 회원님들이 작성하는 최신연구동향 보고서입니다.
국내외 연구기관에서 발간하는 최신 동향보고서를 제공합니다.

전체 46906

글쓰기
전체 46906
글쓰기

글로벌 보건산업 동향 Vol.535(2024.11.25) 스크랩

  • 한국보건산업진흥원
  • |
  • 보건의료

      글로벌 보건산업 동향 Vol.535(2024.11.25) - Global Bio-Health Industry Trend ◈ FOCUS  - 2025 뷰티산업의 주요 키워드: 포용성 ◈ 의료서비스  - UAE, 디지털헬스 기술 발전을 통해 원격의료 시장 규모 확장  - 상하이, 글로벌 의료관광 시장 확장 위해 2024 런던 세계 관광박람회 참가  - 어드벤트헬스 맨체스터 병원, 교외 지역 의료접근성 향상 위해 원격진료 클리닉 개설  - 두바이, ‘웰니스와 건강’을 주제로 한 중동 의료관광 및 웰니스 서밋 개최  - RMTG, 두바이에 재생의학 수요 충족 위한 메디슨 클리닉 개설  - 베트남 푸꾸옥, 의료관광지로서 부상하기 위해 안 토이 국제 병원 건설  - 아마존, 인도에 원격진료서비스 ‘아마존 클리닉’ 출시  - 트럼프 행정부, 비용절감 위한 미국 의료시스템의 정책 변화 예측 ◈ 디지털헬스케어  - 영국 지역요양원, 얼굴인식기반 앱 도입을 통해 취약계층 통증관리 시범사업 추진  - 로열 애들레이드 병원, 클라우드기반 암 치료 처방 시스템 도입  - 루미노피아 원, VR기반 약시 치료 솔루션 확대  - 서패스알엑스, AI기반 ‘인텔리전트 스페셜티 엔진’으로 전문약품관리 선도  - 엔비디아, AI 로봇으로 병원 혁신 예고: 물리적 AI 도입으로 의료 자동화 가속화  - BC플랫폼, 유럽 EHDS 규정 지원하는 AI기반 TRE 플랫폼 출시  - 영국, 유전자 분석 첨단기술로 팬데믹 조기 경보 시스템 구축 계획 발표  - 옥스퍼드셔, 청소년을 위한 정신건강 지원 앱 '텔미(Tellmi)' 출시 ◈ 제약·의료기기·화장품  - 베트남, 2030년까지 고부가가치 의약품 생산에 집중하는 정책 발표  - FDA, 비강충혈 완화제 성분 페닐에프린의 효과성 재평가 결과 발표  - 사우디아라비아 KFSH&RC, 로봇을 활용한 심장이식수술 세계최초 성공  - BD-텐23 헬스, RFID 기술로 스마트주사기 상용화  - 선버드바이오, 혈액검사를 통한 파킨슨병 진단 정확도 86% 달성  - 영국 NHS, 아이폰에 장착하는 어댑터를 통한 인후암 신속 진단 프로그램 상용화  - 블루메이지, 인 코스메틱 아시아 2024에서 노화방지분야 은상 수상  - 이브랩 인사이트, 기존 AI기반 피부분석 시스템에 목 분석기능 강화 ◈ 고령친화산업  - 세븐일레븐, 도쿄에서 자율주행 배달 로봇 테스트로 새로운 쇼핑 모델 제시  - 딘사우 홈 AI 어시스턴스, 고령화사회를 위한 24시간 AI기반 의료 로봇 솔루션  - 인터널 헬스케어 그룹, 미국·호주 전역에서 개인 맞춤형 고령자 돌봄서비스 플랫폼 출시  - 허트포드셔, 고령자 자립지원 원격돌봄기기 및 보조기술서비스 2031년까지 연장  - MADE 방법론: 고령자 중심 보조기기 설계로 보조기기 비선호 현상 해결  - 식사 배달서비스, 고령자 병원 재입원율 90% 이상 감소 효과 확인

2024-11-25


2024-기상기술정책정보동향(11월2호) 스크랩

  • 국립기상과학원
  • |
  • 지구과학(지구/대기/해양/천문)

< CONTENTS >1. 기상기술·정책 전략   가. [중국] 개발도상국 위한 조기경보 실행계획 발표   나. [미국] TIME, 사업 분야 기후 리더 100인 선정   다. [미국] 극한 기상으로 인한 경제적 손실2. 기후   가. [독일] 전 세계 화석연료 탄소배출 증가3. 해양   가. [영국] 영국, 해양 열파 대비 필요4. 지진/지진해일/화산   가. [일본] JMA, 해저 해일 관측지점 확대5. 융합기상   가. [미국] 백신 활용에 관한 기후변화 영향   나. [미국] 폭풍과 해상풍력

2024-11-22



글로벌 보건산업 동향 Vol.534(2024.11.18) 스크랩

  • 한국보건산업진흥원
  • |
  • 보건의료

      글로벌 보건산업 동향 Vol.534(2024.11.18) - Global Bio-Health Industry Trend ◈ FOCUS  - 글로벌 웨어러블 의료기기 시장동향 ◈ 의료서비스  - 헝가리, 유럽의 인기있는 의료관광 목적지로 급부상  - 인도 카르나타카 주 보건부 장관, 벵갈루루의 의료관광 강화를 위한 민간협력 강조  - 인도네시아 최초의 보건경제 특구 사누르, 네덜란드에서 소개  - 배턴루지 종합병원, 인구증가에 따라 리빙스턴 교구에 새로운 의료기관 설립  - 리비아-이탈리아, 의료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국제적 파트너십 구축  - 호치민, 아세안 의료 허브가 되기 위한 투자 강화  - 사우디아라비아, 엘리 릴리와 협력하여 알츠하이머 치료 혁신 추진  - 말레이시아 보건부, 라칸 KKM 이니셔티브를 통한 공립병원의 품질 향상 노력 ◈ 디지털헬스케어  - 미국, AI기반 광섬유 프로브 개발로 뇌졸중 치료 향상 기대  - H1, 임상시험 플랫폼에 AI기반 ‘임상시험 현장 구제’와 다양성 데이터 통합  - 대만, MEDICA2024에서 AI기반 혁신적 외과 솔루션 공개  - 모노그램 테크놀로지, AI와 첨단 로봇 기술로 정형외과 혁신 주도  - 텍사스대, 3D프린팅을 활용한 새로운 뼈모델로 수술 준비 혁신  -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 차세대 웨어러블용 AI기반 바이오센싱 기술 출시  - 인슐렛, 옴니팟5 인슐린 펌프 아이폰 앱 출시  - AI와 전자건강기록을 활용한 소아 비만 예측 연구 ◈ 제약·의료기기·화장품  - 아이앰빅 테라퓨틱스, AI기반 다중모달모델 인챈트로 신약 개발 혁신  - 그레이매터스 헬스, 혁신적 PTSD 치료법 '프리즘 포 PTSD' 미국 전역으로 확장  - 콴탈엑스 뉴로사이언스, 파킨슨병 조기진단 장치 '델피-MD' 출시로 의료 혁신 예고  - UC 샌디에이고대, 근육 활동 모니터링 가능한 웨어러블 초음파 기기 개발  - 오사카대, 줄기세포 실시간 모니터링 장치 INSPCTOR 개발  - 카야 스킨 클리닉-비앙에뜨르, MOU 체결하여 AI 기반 피부 개인화 플랫폼 개발  - 루카스 메이어 코스메틱스, 퀴노아 기반 친피부성 유화제 '픽멀스' 출시  - 요로감염 OTC 제품의 효과와 한계: 1차 진료 의사가 알아야 할 사항 ◈ 고령친화산업  - 라코스, 고령자 완전 영양식 브랜드 확대를 위한 9억 원 이상 자금 조달  - 안칸통 닝보의 요양 서비스센터: 기술을 활용한 노인돌봄의 새로운 모델  - 노인을 위한 보조기기, 첨단기술을 활용한 에이지테크의 확산  - 아스타뮤제, 글로벌 개호·재활로봇 동향 연구  - 케어 뷰어, 길리.AI와 협력하여 노인을 위한 건강예측 AI 실증실험 시작  - 싱가포르의 사운드키퍼스 프로젝트: 노인의 우울증을 탐지하기 위한 음성 AI 기술  - 홍콩 개발국, 노인 친화적인 인프라 구축 관련 2024년 계획 발표

2024-11-18


[보고서] [이슈 브리핑] 베이진, 중국기업 이미지 탈피 위해 사명 변경 스크랩

  • 한국바이오협회
  • |
  • 생명과학

□ 베이진(BeiGene)社, 글로벌 커뮤니티와 협력하여 암 치료의 혁신적인 의약품에 대한 개발 의지를 표명하고자 ‘BeOne Medicines’로 사명 변경 계획 발표(11.14)   □ 베이진은 최근 미국과 유럽에서 제품 매출의 강력한 성장에 힘입어 분기별 총 매출이 10억 달러를 기록 - 베이진의 2023년 매출은 전년 대비 75% 증가한 22억 달러를 기록함. BTK억제제인 브루킨사(Brukinsa) 매출은 13억 달러로 베이진의 매출 성장에 가장 큰 기여를 함. - 베이진의 2024년 3분기 매출은 10억 달러로 전년 동기 7억 달러 대비 3억 달러 증가하였으며, 이는 주로 미국과 유럽에서 브루킨사 제품 판매 증가에 기인함. - 한편, 베이진은 미국 뉴저지주 호프웰에 8억 달러를 투자해 바이오의약품 제조 및 R&D 시설을 ’24년 7월 설립함.   □ 베이진(BeiGene)의 기업 이름은 중국 수도인 베이징(Beijing)과 유사함.   □ 美생물보안법 추진, 對중국 강경 트럼프 대통령 당선 등 미-중간 지정학적 리스크가 증가하는 가운데 미국에서의 매출 비중이 높아지는 베이진이 중국기업이라는 이미지를 탈피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보여짐.

2024-11-15


[보고서] [이슈 브리핑] 스위스 론자, ADC 등 바이오접합체 시설투자 확대 발표 스크랩

  • 한국바이오협회
  • |
  • 생명과학

□ 스위스 론자, 2개의 바이오접합체 제조시설 추가 건설 계획 발표(11. 12) - 11월 12일, 전세계 매출 1위 CDMO인 스위스 론자는 보도자료를 통해 바이오접합체(bioconjugation) 서비스 확장을 위해 스위스 비스프(Visp)에 2개의 제조시설을 추가할 계획이라고 밝힘. - 바이오접합체 출시와 상업용 대량생산을 위해 1,200리터 규모의 신규 제조시설 2개를 추가로 건설하고, 기존 바스프의 바이오접합체 시설에 제조 기반 인프라를 확장해 2028년 본격 가동할 예정임. - 또한, 추가되는 바이오접합체 제조시설은 초기단계 임상 개발을 위한 제조부터 제품 출시 및 상업적 공급을 위한 대규모 제조에 이르기까지 론자의 선도적인 바이오접합체 서비스를 지원할 것이며 의약품 충진 캐파도 포함될 예정임. - 한편, 론자는 2006년 이후 70개 이상의 바이오접합체 프로그램을 위해 1,000개 이상의 cGMP 배치를 생산했음.   □ 미국 생물보안법을 통한 우시바이오로직스 압박, 덴마크 노보홀딩스의 미국 카탈란트 인수 연내 마무리 등 글로벌 바이오 CDMO 시장의 격변 속에서 국내외 상위 및 신흥 기업들의 생산 캐파 확장 및 신규 모달리티 생산 서비스를 선제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경쟁도 점점 치열해 지고 있음.

2024-11-13


글로벌 보건산업 동향 Vol.533(2024.11.11) 스크랩

  • 한국보건산업진흥원
  • |
  • 보건의료

      글로벌 보건산업 동향 Vol.533(2024.11.11)- Global Bio-Health Industry Trend ◈ FOCUS  - 의료진의 번아웃 해소: AI도구의 긍정적 효과 ◈ 의료서비스  - UAE, 민간 의료 부문과 국제 협력을 통해 의료관광 허브로 도약  - 필리핀, 의료관광 허브로 도약: 글로벌 수준의 웰니스와 치료경험 제공  - 카타르, 세계적 의료관광지로 성장: 특화된 의료서비스와 종합적 환자 돌봄 제공  - 하이난, 의료서비스와 관광 결합한 의료관광 상품 출시로 인기 급상승  - 중국, 외국인 전액출자 병원 설립 허용: 의료서비스산업의 글로벌화 촉진  - 튀르키예, 저비용 고품질 CO2 레이저 피부 재생술로 의료관광의 중심지로 부상  - 베트남-싱가포르 병원 간 의료협력 체결  - 말레이시아, 아세안-인도 협력 통해 제약 및 헬스케어 산업 허브로 도약 ◈ 디지털헬스케어  - 임상연구를 위한 첨단기술 도입: 인도가 디지털헬스를 수용하는 방법  - 하버드대, 96% 정확도로 암 진단 가능한 AI모델 ‘CHIEF’ 개발  - 마이크로소프트, 효율성 향상을 위한 의료 클라우드 AI 솔루션 확장  - 카이아 헬스-COPD 재단, AI기반 호흡기질환 환자 지원도구 출시  - FDA, 미국 의료분야의 AI 규제기준에 대한 의견 발표  - 줌-수키, 의료기록 자동화를 위한 AI 플랫폼 도입  - 허난이홍건강기술, 소외지역에 AI진단 의료기기 3,000대 기부  - 엔디비아-에이아이닥, 의료 AI 활용을 위한 가이드라인 개발 ◈ 제약·의료기기·화장품  - FDA, 화이자의 세포융합바이러스 백신 사용 대상 확대 승인  - 유럽의약품청, 혈우병B 유전자 치료제 배크베즈 조건부 승인  - 나사, 우주비행 중 뼈건강 모니터링을 위한 에코라이트 장비 도입  - 이식형 센서, 오피오이드 과다 복용 예방 가능성 제시  - 위띵스, 세계 최초 셀룰러기반 혈압계 BPM 프로2 출시  - 럭스크레오, 3D 프린팅 기술로 수면 무호흡 기기 즉시 제작 가능  - RNA센스 바이오테크놀로지, RNA 패치를 통한 과학기반 피부 관리기술 혁신  - 중국 제3인민병원, 첫 로봇보조 관상동맥 중재시술 성공 ◈ 고령친화산업  - 중국 푸젠성, 세재 혜택을 통한 실버경제 활성화  - AI기반 Chat 2.0으로 고령자 헬스케어 혁신: DUOS의 새로운 도전  - 독일 헬스테크스타트업, 시니어를 위한 패밀리카드 개발  - 오우라와 에센스 헬스케어, 파트너십 통한 고령자 건강관리 체계 강화  - 싱가포르 고령화 전략 1: 고령자 노년기 자택 선호도와 지역사회 애착의 상관관계 연구  - 싱가포르 고령화 전략 2: 레드 크라운 시니어 리빙의 공동주거 모델

2024-11-11


2024-기상기술정책정보동향(11월1호) 스크랩

  • 국립기상과학원
  • |
  • 지구과학(지구/대기/해양/천문)

< CONTENTS >1. 기상기술·정책 전략   가. [독일] 파리협정 목표 달성을 위한 세 가지 방법2. 기후   가. [일본] 온실가스 배출 저감과 온난화 감속   나. [독일] 경제성장과 탄소배출의 탈동조화3. 위험기상/재해   가. [미국] 스페인 홍수와 대서양 고온 현상4. 관측/장비   가. [스웨덴] 기후변화 연구 드론 개발   나. [영국] 저탄소 환경 과학 연구에서의 UAS 역할5. 융합기상   가. [미국] 기후변화에 따른 건물 유지관리 비용 예측   나. [미국] AI 활용한 설사병 발병 예측

2024-11-11


[보고서] [이슈 브리핑] 미국 원료의약품(API) 공급망 : 인도 및 중국에 집중 스크랩

  • 한국바이오협회
  • |
  • 생명과학

□ 미국약전위원회(USP), 의약품 공급 지도(Medicine Supply Map) 발표 - 11월 6일, 미국약전(United States Pharmacopeia)을 제?개정하고, 표준품 및 교육훈련을 제공하는 미국약전위원회(USP)가 미국의 의약품 공급 지도를 발표하였으며, 미국 의약품 제조 기반의 지리적 다양성을 촉진하면 공급망 취약성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제언하고 있음. - 미국약전위원회는 기존 제조국 집중도를 이해하기 위해 최신의 원료의약품(API) 등록자료(Drug Master Files, DMF)를 분석함. API DMF는 인체 의약품의 제조, 가공, 포장 및 보관에 사용되는 시설, 프로세스 또는 물품에 대한 기밀 세부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API 제조업체가 미국 식품의약국(FDA)에 제출하는 API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문서임.   □ 국가별 활성 API DMF 등록 추이를 보면 인도와 중국은 최고의 API 제조 능력을 유지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음. - (인도) 2000년 인도는 API DMF 신고 건수의 19%에 불과했지만 2021년에는 API DMF 신고 건수의 62%를 차지했음. 가장 최근인 2023년에는 인도가 API DMF의 50%를 보유하는 수준으로 감소했음. 여전히 API DMF의 절반을 보유하고 있지만 눈에 띄는 감소를 보였음. - (중국) 중국의 API 제조 능력은 최근 몇 년 동안 눈에 띄는 증가세를 보이고 있음. 2021년 중국은 134건의 API DMF를 제출했으며, 2023년에는 이 수치가 219건으로 급증하여 단 2년 동안 63%라는 놀라운 증가율을 기록했음. 이러한 성장은 글로벌 API 생산에서 중국의 역할이 확대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음. 현재의 입법 노력과 정치적 환경(예: 생물보안법)은 향후 DMF 제출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      

2024-11-11


[보고서] [이슈 브리핑] 특허청, 바이오분야 특허 우선심사 도입 스크랩

  • 한국바이오협회
  • |
  • 생명과학

□ 특허청, 바이오분야 특허 우선심사 도입.. 신속한 권리확보 지원 발표(11. 5) - 특허청은 반도체 및 이차전지에 이어 바이오도 특허 우선심사를 도입한다고 발표함(11.5) - 내년 1월에 35명의 바이오분야 민간전문가를 특허심사관으로 채용하고, 바이오분야에 전담 심사조직을 출범하며 특허 우선심사를 도입하여 바이오기업들의 신속한 권리 확보를 지원한다는 계획임.   □ 한국바이오협회, 특허청에 우선심사제도 도입 등 요청(4. 25) - 한국바이오협회는 올해 4월 25일 특허청과 특허 심사에 대한 업계 요구사항을 청취하고 특허청의 특허심사 지원방향 등을 공유하기 위해 「바이오산업계 지식재산 간담회」를 개최했음. - 이 자리에는 바이오분야 다출원기업 15개사의 임원 및 지식재산 부서장이 참석했음.   □ 이번에 바이오분야 특허심사에 우선심사 제도가 도입되어 빠른 특허 심사를 통해 특허를 확보할 수 있어 우리 바이오기업들의 국가경쟁력 제고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됨.   □ 한편, 바이오헬스케어 분야 출원은 연평균 9.2% 증가하고 있으며, 2022년 기준 출원건수는 17,404건으로 2018년 12,247건 대비 42% 증가했음.

2024-11-06


처음 이전 6  7  8  9  10  다음 마지막
처음 이전 1  2  3  4  5  6  7  8  9  10  다음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