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향

코센리포트

코센리포트는 KOSEN 회원님들이 작성하는 최신연구동향 보고서입니다.
원하시는 주제는 '주제신청' 게시판에, 보고서 작성을 원하시는 분은 '작성신청' 게시판에서 참여해주세요.

  • 보건의료

    COVID-19의 위험인자인 비만

    COVID-19의 위험인자인 비만

    활발한 연구를 바탕으로 비만은 COVID-19에서 급성호흡곤란증후군, 사이토카인 폭풍 및 응고병증과 같은 주요 합병증의 진행에 대한 주요 위험 요소로 인식되고 있다. SARS-COVID-19 감염으로 인한 비만과 질병의 중증도 사이의 연관성을 이해하는 것은 고위험군의 새로운 치료 및 예방조치를 개발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 특히, 비만에 의한 여러 특징이 심각한 COVID-19 및 합병증의 유행에 기여하는데, 첫째, 바이러스 진입은 ACE2와 같은 바이러스 진입 수용체의 상향 조절에 의해 촉진될 수...

    자세히 보기

  • 생명과학

    비만 바이오마커

    비만 바이오마커

    21세기 세계적인 공중보건을 위협하며 부상하고 있는 비만의 대유행은 가장 취약하고 사회적으로 불리한 인구 집단에서, 선진국과 개발도상국 모두에서 점점 더 확산되고 있다[1]. 비만에 대한 문제 인식이 높아짐에도 불구하고 비만 유병률은 1975년 이후 거의 3배나 증가하여 전 세계 수십억 명의 사람들에게 영향을 미치고 있다. 세계보건기구의 추산에 따르면 2016년 세계 인구의 40%인 19억 명이 과체중이었고 이 중 6억 5,000만 명이 비만으로 판명되었다[1]. 특히 어린이들 사이에서 비...

    자세히 보기

  • 보건의료

    비만과 관련된 genetic biomarker 연구 동향

    비만과 관련된 genetic biomarker 연구 동향

    비만(Obesity)은 전 세계 인구 8명 중에서 1명이 체질량지수(BMI)가 35 kg/m2 이상일 정도로 심각한 질병으로 분류되고 있으며, 심지어 대사성질환의 글로벌 팬데믹으로 불릴 만큼 주요한 공중보건 문제로 인식되고 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2016년 기준으로 약 6억 5,000만 명 이상(전 세계 인구의 13%)이 비만인 것으로 보고하였으며, 10억 9,000만 명(전 세계 인구의 39%)이 과체중인 것으로 보고하였다.[1] 질병성 비만은 비만과 관련된 합병증이 최소한...

    자세히 보기
    2022-04-13 이상후(sprout30)

  • 보건의료

    인슐린저항성과 대사증후군에서의 유전적 다양성 및 질환 예측 바이오마커 연구 동향

    인슐린저항성과 대사증후군에서의 유전적 다양성 및 질환 예측 바이오마커 연구 동향

    1. 서론 대사증후군(Metabolic syndrome, MetS)은 abdominal obesity(복부지방), hyperglycemia(고혈당증), hyper-triglycemia(고중성지방혈증), low HDL-cholesterolemia(저HDL-콜레스테롤혈증) 및 hypertenstion(고혈압) 같은 대사질환이 최소 3가지 이상이 복합된 임상적 형태로 정의되며, MetS가 있는 사람은 심혈관 이환율과 사망률이 그렇지 않은 사람들보다 높으며, 제2형 당뇨와 뇌졸중 같은 만성질환의 강...

    자세히 보기
    2020-08-10 이상후(sprout30)

  • 보건의료

    장내미생물총과 심혈관질환과의 관련 연구 동향

    장내미생물총과 심혈관질환과의 관련 연구 동향

    1. 서론 인체는 104개 이상의 미생물과 공생관계를 유지하고 있으며, 대부분 위장관에 살고 있으며 특이한 대사 포텐셜을 가지고 인체 건강 및 질병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 장내세균총(gut microbiota, GM) 조성에 불균형이 일어나면 allergy, inflammatory bowel disease, obesity, diabetes 및 cancer 등 많은 질병을 초래할 수 있다는 실험적 증거들이 속속 밝혀지고 있다.[1, 2] Post-genomic era 동안 next-ge...

    자세히 보기
    2020-07-08 이상후(sprout30)

  • 보건의료

    비만치료제의 개발 동향

    비만치료제의 개발 동향

    1. 개요 여러 다양한 만성질환과 관련된 대사이상 증상인 비만은 잠재적으로 생명을 위협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전 세계적으로 비만의 유병률은 현저하게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비만은 다른 여러 만성질환의 발병뿐만 아니라 이환율 및 사망률과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치료가 필수적이다. 실제로 비만은 심혈관질환, 고지혈증, 고혈압 및 제2형 당뇨병의 유병률 증가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세계보건기구(WHO)의 집계에 따르면 전 세계 인구의 약 13%가 비만인 상태라고 한다. 또한 WHO의...

    자세히 보기
    2020-05-21 배우철(woocbae)

  • 생명과학

    지방조직과 신경계의 상호작용이 인슐린 기능 조절과 비만과 당뇨에 미치는 영향

    지방조직과 신경계의 상호작용이 인슐린 기능 조절과 비만과 당뇨에 미치는 영향

    1. 개요 지방조직은 지방세포뿐만 아니라 여러 세포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은 많은 수의 신경과 혈관들이 존재하는 조직 기지에서 상호작용하고 있다. 지방조직에 대한 연구는 10여 년간 활발히 이루어져왔으나 지방조직의 기능을 조절하는 신경세포의 방대한 수지상부(arborization)의 역할에 대해서는 최근에서야 알려지고 있다. 여기서는 지방분해(lipolysis)와 지방합성(lipogenesis)의 변화에 따라 지방세포가 지방조직에 있는 감각신경섬유(sensory nerve fiber)에 신호...

    자세히 보기
    2019-12-16 장현준(hjang)

  • 생명과학

    면역세포에 의한 대사질환 조절

    면역세포에 의한 대사질환 조절

    1. 개요 대사성질환(Metabolic disease) 혹은 대사성증후군(Metabolic syndrome)은 비만, 고혈압, 고혈당, 고지혈증으로 진단되는 질병으로, 주로 당뇨와 심혈관질환과 함께 연관되어 나타나는 질환이다. 서구화된 식습관과 오래 앉아 있는 생활습관 등으로 전 세계적으로 많은 환자가 발생하는 심각한 질병이고, 여러 합병증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그동안 많은 연구를 통해, 어떻게 비만이 당뇨와 동맥경화와 같은 질병으로 연관될 수 있는지에 대한 기전이 알려지고 있는데, 비만과 동...

    자세히 보기

  • 분자세포 생물학

    지방조직 염증과 비만의 상관관계

    지방조직 염증과 비만의 상관관계

    1.분석자 서문 지방조직은 과량의 영양분을 저장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기도 하지만 영양상태를 감지하고 에너지 흐름을 조절하는 데도 기능을 한다. 정적 에너지 균형은 영양과다와 관련 있으며, 지방세포 내 지질의 축적을 일으킨다. 이 세포는 염증반응을 불러온다. 본 논문은 지방조직 염증이 무엇이며 지방조직 내 비만-관련 염증을 일으키는 원인에 대한 최신지견을 논한다. 또한 지방조직 염증과 인슐린 저항성 그리고 카테콜아민 저항성 간의 상관관계와 대사 불가면성에 대해 논의한다. 마지막으로 비만-관련 ...

    자세히 보기
    2018-07-05 정다정(mrycho)

  • 분자세포 생물학

    PPARβ/δ: 대사질환의 핵심 치료 타깃

    PPARβ/δ: 대사질환의 핵심 치료 타깃

    1.분석자 서문 최근 몇 년간의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PPAR) β/δ에 관한 연구를 통해 PPAR β/δ가 에너지 항상성에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PPAR β/δ의 활성화는 비만, 이상지혈증, 2형 당뇨병 및 비알콜성지방간증 등의 대사질환의 예방에 도움이 될 것이라 예상된다. 이 리뷰에서는 이러한 PPAR β/δ의 에너지대...

    자세히 보기
    2018-05-16 나지훈(moogun81)

처음 이전 1  2  3 
1  2  3  4  5  6  7 
1  2  3  4  5  6  7 

전체 63개

  • 보건의료

    COVID-19의 위험인자인 비만

    COVID-19의 위험인자인 비만

    활발한 연구를 바탕으로 비만은 COVID-19에서 급성호흡곤란증후군, 사이토카인 폭풍 및 응고병증과 같은 주요 합병증의 진행에 대한 주요 위험 요소로 인식되고 있다. SARS-COVID-19 감염으로 인한 비만과 질병의 중증도 사이의 연관성을 이해하는 것은 고위험군의 새로운 치료 및 예방조치를 개발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 특히, 비만에 의한 여러 특징이 심각한 COVID-19 및 합병증의 유행에 기여하는데, 첫째, 바이러스 진입은 ACE2와 같은 바이러스 진입 수용체의 상향 조절에 의해 촉진될 수...

    자세히 보기

  • 생명과학

    비만 바이오마커

    비만 바이오마커

    21세기 세계적인 공중보건을 위협하며 부상하고 있는 비만의 대유행은 가장 취약하고 사회적으로 불리한 인구 집단에서, 선진국과 개발도상국 모두에서 점점 더 확산되고 있다[1]. 비만에 대한 문제 인식이 높아짐에도 불구하고 비만 유병률은 1975년 이후 거의 3배나 증가하여 전 세계 수십억 명의 사람들에게 영향을 미치고 있다. 세계보건기구의 추산에 따르면 2016년 세계 인구의 40%인 19억 명이 과체중이었고 이 중 6억 5,000만 명이 비만으로 판명되었다[1]. 특히 어린이들 사이에서 비...

    자세히 보기

  • 보건의료

    비만과 관련된 genetic biomarker 연구 동향

    비만과 관련된 genetic biomarker 연구 동향

    비만(Obesity)은 전 세계 인구 8명 중에서 1명이 체질량지수(BMI)가 35 kg/m2 이상일 정도로 심각한 질병으로 분류되고 있으며, 심지어 대사성질환의 글로벌 팬데믹으로 불릴 만큼 주요한 공중보건 문제로 인식되고 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2016년 기준으로 약 6억 5,000만 명 이상(전 세계 인구의 13%)이 비만인 것으로 보고하였으며, 10억 9,000만 명(전 세계 인구의 39%)이 과체중인 것으로 보고하였다.[1] 질병성 비만은 비만과 관련된 합병증이 최소한...

    자세히 보기
    2022-04-13 이상후(sprout30)

  • 보건의료

    인슐린저항성과 대사증후군에서의 유전적 다양성 및 질환 예측 바이오마커 연구 동향

    인슐린저항성과 대사증후군에서의 유전적 다양성 및 질환 예측 바이오마커 연구 동향

    1. 서론 대사증후군(Metabolic syndrome, MetS)은 abdominal obesity(복부지방), hyperglycemia(고혈당증), hyper-triglycemia(고중성지방혈증), low HDL-cholesterolemia(저HDL-콜레스테롤혈증) 및 hypertenstion(고혈압) 같은 대사질환이 최소 3가지 이상이 복합된 임상적 형태로 정의되며, MetS가 있는 사람은 심혈관 이환율과 사망률이 그렇지 않은 사람들보다 높으며, 제2형 당뇨와 뇌졸중 같은 만성질환의 강...

    자세히 보기
    2020-08-10 이상후(sprout30)

  • 보건의료

    장내미생물총과 심혈관질환과의 관련 연구 동향

    장내미생물총과 심혈관질환과의 관련 연구 동향

    1. 서론 인체는 104개 이상의 미생물과 공생관계를 유지하고 있으며, 대부분 위장관에 살고 있으며 특이한 대사 포텐셜을 가지고 인체 건강 및 질병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 장내세균총(gut microbiota, GM) 조성에 불균형이 일어나면 allergy, inflammatory bowel disease, obesity, diabetes 및 cancer 등 많은 질병을 초래할 수 있다는 실험적 증거들이 속속 밝혀지고 있다.[1, 2] Post-genomic era 동안 next-ge...

    자세히 보기
    2020-07-08 이상후(sprout30)

  • 보건의료

    비만치료제의 개발 동향

    비만치료제의 개발 동향

    1. 개요 여러 다양한 만성질환과 관련된 대사이상 증상인 비만은 잠재적으로 생명을 위협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전 세계적으로 비만의 유병률은 현저하게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비만은 다른 여러 만성질환의 발병뿐만 아니라 이환율 및 사망률과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치료가 필수적이다. 실제로 비만은 심혈관질환, 고지혈증, 고혈압 및 제2형 당뇨병의 유병률 증가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세계보건기구(WHO)의 집계에 따르면 전 세계 인구의 약 13%가 비만인 상태라고 한다. 또한 WHO의...

    자세히 보기
    2020-05-21 배우철(woocbae)

  • 생명과학

    지방조직과 신경계의 상호작용이 인슐린 기능 조절과 비만과 당뇨에 미치는 영향

    지방조직과 신경계의 상호작용이 인슐린 기능 조절과 비만과 당뇨에 미치는 영향

    1. 개요 지방조직은 지방세포뿐만 아니라 여러 세포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은 많은 수의 신경과 혈관들이 존재하는 조직 기지에서 상호작용하고 있다. 지방조직에 대한 연구는 10여 년간 활발히 이루어져왔으나 지방조직의 기능을 조절하는 신경세포의 방대한 수지상부(arborization)의 역할에 대해서는 최근에서야 알려지고 있다. 여기서는 지방분해(lipolysis)와 지방합성(lipogenesis)의 변화에 따라 지방세포가 지방조직에 있는 감각신경섬유(sensory nerve fiber)에 신호...

    자세히 보기
    2019-12-16 장현준(hjang)

  • 생명과학

    면역세포에 의한 대사질환 조절

    면역세포에 의한 대사질환 조절

    1. 개요 대사성질환(Metabolic disease) 혹은 대사성증후군(Metabolic syndrome)은 비만, 고혈압, 고혈당, 고지혈증으로 진단되는 질병으로, 주로 당뇨와 심혈관질환과 함께 연관되어 나타나는 질환이다. 서구화된 식습관과 오래 앉아 있는 생활습관 등으로 전 세계적으로 많은 환자가 발생하는 심각한 질병이고, 여러 합병증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그동안 많은 연구를 통해, 어떻게 비만이 당뇨와 동맥경화와 같은 질병으로 연관될 수 있는지에 대한 기전이 알려지고 있는데, 비만과 동...

    자세히 보기

  • 분자세포 생물학

    지방조직 염증과 비만의 상관관계

    지방조직 염증과 비만의 상관관계

    1.분석자 서문 지방조직은 과량의 영양분을 저장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기도 하지만 영양상태를 감지하고 에너지 흐름을 조절하는 데도 기능을 한다. 정적 에너지 균형은 영양과다와 관련 있으며, 지방세포 내 지질의 축적을 일으킨다. 이 세포는 염증반응을 불러온다. 본 논문은 지방조직 염증이 무엇이며 지방조직 내 비만-관련 염증을 일으키는 원인에 대한 최신지견을 논한다. 또한 지방조직 염증과 인슐린 저항성 그리고 카테콜아민 저항성 간의 상관관계와 대사 불가면성에 대해 논의한다. 마지막으로 비만-관련 ...

    자세히 보기
    2018-07-05 정다정(mrycho)

  • 분자세포 생물학

    PPARβ/δ: 대사질환의 핵심 치료 타깃

    PPARβ/δ: 대사질환의 핵심 치료 타깃

    1.분석자 서문 최근 몇 년간의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PPAR) β/δ에 관한 연구를 통해 PPAR β/δ가 에너지 항상성에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PPAR β/δ의 활성화는 비만, 이상지혈증, 2형 당뇨병 및 비알콜성지방간증 등의 대사질환의 예방에 도움이 될 것이라 예상된다. 이 리뷰에서는 이러한 PPAR β/δ의 에너지대...

    자세히 보기
    2018-05-16 나지훈(moogun81)

처음 이전 1  2  3 
1  2  3  4  5  6  7 
1  2  3  4  5  6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