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보/통신
월간 SW 중심사회 2023년 5월호
월간 SW 중심사회 2023년 5월호
이슈 ISSUE: AI Index 2023 주요 내용과 시사점 /트렌드 TREND: 중국의 챗GPT 대응 동향과 전망 /포커스 FOCUS: 거대 언어모델 미래전개도Ⅱ STEEP 프레임으로 기회와 위험 탐색, 데이터 경제 시대, 데이터 공유와 활용을 위한 과제, TDM과 기계학습은 공정이용인가?
자세히 보기2023-06-09- 발행 :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
기타
한·중·일 과학기술협력을 위한 미래 설계
한·중·일 과학기술협력을 위한 미래 설계
○ 글로벌 패권경쟁으로 인해 신냉전시대에 접어드는 상황에서 한·중·일 3국은 열린 판도라 상자의 상황에 처함에 따라 이를 극복하기 위한 솔로몬의 지혜가 과학기술협력에서 요구되는 시점임 - 최근 점차 확대되고 있는 3국 국민간 상호 신뢰도와 관계인식 등에서의 부정적 요소를 극복하기 위한 과학기술혁신 교류협력을 적극적으로 추진하여야만 미래 지향적 관계형성이 가능할 것임 - 특히, 코로나 팬데믹으로 인한 교류 단절과 상호 부정적 인식의 제고 등을 해소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이 요구되는 ...
자세히 보기2023-06-09- 발행 : 한중과학기술협력센터
-
보건의료
의약품 연속제조(CM) 공정의 이점과 기회
의약품 연속제조(CM) 공정의 이점과 기회
연속제조(Continuous manufacturing, CM)란 중단없이 원료를 지속적으로 공급 및 처리하여 제품을 제조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CM 및 관련 용어에 대한 다양한 해석이 존재하지만, 미국식품의약국(FDA)에 따른 의약품에서의 CM은 ‘엔드 투 엔드(end-to-end)’ 개념으로, 약물 또는 약물 기반제품의 공정 단계가 단일 연속 시스템으로 완전히 통합되는 접근방식을 말한다. 이는 기존 배치(Batch)식 생산 프로세스와 비교해볼 때, 단계별로 약물생산을 중단하고...
자세히 보기2023-06-09- 발행 : 한국바이오협회
-
전기/전자,정보/통신
월간 ICT 산업 동향 2023-5호
월간 ICT 산업 동향 2023-5호
Ⅰ. 수출 동향① 개요 ② 반도체 ③ 디스플레이 패널 ④ 휴대폰 ⑤ 컴퓨터 및 주변기기 ⑥ 이차전지 ⑦ SWⅡ. 트레이드 GPS1. 인도 ? 측정제어분석기기2. 변성기3. Ex-BriefingⅢ. 부록1. ICT 생산 통계2. 2023년 4월 ICT 산업 수출입 통계(잠정)3. 주요국 ICT 수출입 통계4. ICT 부분별 온라인 해외 직접 판매/구매 금액5. ICT 부문별 수출입 금액 및 물량 지수ㅁ ’23.4월 ICT 수출은 127.7억 달러(△35.9%), 수입은 104.4억 달러(△14.0%...
자세히 보기2023-06-09- 발행 : 정보통신기획평가원
-
전기/전자,정보/통신
KEIT 이슈리뷰 2023-5월호 통합본. 디지털트윈 기술
KEIT 이슈리뷰 2023-5월호 통합본. 디지털트윈 기술
KEIT issue review 2023.5 서비스 실증 개념을 적용한 실감형 기술 동향디지털 트윈 기반 지능형 섬유 제조기술디지털 트윈 기반 유연 자동화 가공셀 기술동향디지털 트윈 기술과 로봇 연계 기술동향 및 발전방향실감형 디스플레이를 위한 Light Field 디스플레이 기술현황과 개발방향
자세히 보기2023-06-09- 발행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전기/전자,정보/통신
KEIT 이슈리뷰 2023-5월호 1. 서비스 실증 개념을 적용한 실감형 기술동향
KEIT 이슈리뷰 2023-5월호 1. 서비스 실증 개념을 적용한 실감형 기술동향
가상현실, 증강현실, 혼합현실 등을 포괄하는 XR은 몰입감을 극대화하고 시공간 한계를 극복하는 등 차별화된 사용자 경험을 선사함으로써 스마트폰 이후의 차세대 인터페이스로 각광받고있다.모든 환경을 가상환경으로 제작하는 VR분야는 기술적으로 안정되었으며, 소비자용(B2C) 시장 및 기업용(B2B) 시장에서의 활용사례는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반면 현실세계를 바탕으로 가상의 물체와 사용자가 상호작용하는 AR분야는 아직 기술이 안정화되어있지 ...
자세히 보기2023-06-09- 발행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재료,정보/통신
KEIT 이슈리뷰 2023-5월호 2. 디지털 트윈 기반 지능형 섬유 제조기술
KEIT 이슈리뷰 2023-5월호 2. 디지털 트윈 기반 지능형 섬유 제조기술
디지털 트윈은 공정손실 절감 및 노동시간 단축, 불량률 감소 등 그 효과가 검증되기 시작하면서 제조분야 저성장 극복을위해 자동차·항공 등 조립 제품에서 철강·화학 등 소재 분야에 이르기까지 경쟁적으로 디지털 트윈이 도입되고 있다. 이에 발맞춰 섬유산업에도 디지털 트윈 기술의 도입을 서두르고 있는 상황이며, 수요 맞춤형 표준모델 개발을 요구받고 있다.
자세히 보기2023-06-09- 발행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기계,전기/전자
KEIT 이슈리뷰 2023-5월호 3. 디지털 트윈 기반 유연 자동화 가공셀 기술동향
KEIT 이슈리뷰 2023-5월호 3. 디지털 트윈 기반 유연 자동화 가공셀 기술동향
유연자동화가공셀은공작기계와자동화/주변장치및이를운용하는셀제어기와운용 S/ W로 구성되며 Mass Customization 등 수요 제조업의 생산 패러다임 변화에 따라중요성이 크게 증가하고있다.동분야세계선도기업의경우자율이동형소재/공구핸들링로봇등을활용하여고객니즈에 최적화된 가공셀레이아웃을 자유롭게 구성하고 운영할 수 있는 기술을 활발히상용화하고 있다. 가공셀의 유연한 구성 및 확장성을 담보하기 위해서는 가공셀 구성 자산의 디지털 표현 및 인터페이스를 국제표준...
자세히 보기2023-06-09- 발행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전기/전자,정보/통신
KEIT 이슈리뷰 2023-5월호 4. 디지털 트윈 기술과 로봇 연계 기술동향 및 발전방향
KEIT 이슈리뷰 2023-5월호 4. 디지털 트윈 기술과 로봇 연계 기술동향 및 발전방향
디지털트윈과로봇기술접목을통한기술적한계돌파디지털 트윈 기술은 로봇 제품의 실패 가능성을 줄이고 지속적인 최적화를 가능하게 하여 로봇산업에서필수적인도구로활용될수있다.디지털 트윈의 정확성을 위해서는 실 환경 테스트와의 연동이 필수적이다. 실 환경과 디지털 트윈이결합된테스트베드를이용하면로봇제품의성능과신뢰성이크게향상될수있을것이다. 로봇산업의 실증에 필요한 로봇연계 디지털 트윈의 구현에는 로봇 시스템을 지원하는 상용디지털트윈플랫폼기술과함께다음의기술들이필요하다.? 로봇의디지털트윈구...
자세히 보기2023-06-09- 발행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과학기술과 인문사회,전기/전자
KEIT 이슈리뷰 2023-5월호 5. 실감형 디스플레이를 위한 Light Field 디스플레이 기술현황과 개발방향
KEIT 이슈리뷰 2023-5월호 5. 실감형 디스플레이를 위한 Light Field 디스플레이 기술현황과 개발방향
라이트필드 디스플레이는 패널의 각 픽셀이 시청 각도에 따라 다른 색과 밝기로 보이도록 제어하여입체실감영상을표시하는공간표시디스플레이로, 고해상도베이스패널과마이크로렌즈어레이등의광학계로구성되며초저지연사용자추적 기술과라이트필드영상실시간렌더링및상호작용기술이추가로포함된다. 8K 고해상도 OLED 개발 등 기반 기술들의 발전으로 가장근시일에 구현 가능한 공간표시 디스플레이 기술로 대두되고 있으며, 미국 Google, Meta등 글로벌 선두 산업계 및 학계를 중심으로 AR/ VR HMD, 모바일, 노트북, 대...
자세히 보기2023-06-09- 발행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전체 34202개
-
정보/통신
월간 SW 중심사회 2023년 5월호
월간 SW 중심사회 2023년 5월호
이슈 ISSUE: AI Index 2023 주요 내용과 시사점 /트렌드 TREND: 중국의 챗GPT 대응 동향과 전망 /포커스 FOCUS: 거대 언어모델 미래전개도Ⅱ STEEP 프레임으로 기회와 위험 탐색, 데이터 경제 시대, 데이터 공유와 활용을 위한 과제, TDM과 기계학습은 공정이용인가?
자세히 보기2023-06-09- 발행 :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
기타
한·중·일 과학기술협력을 위한 미래 설계
한·중·일 과학기술협력을 위한 미래 설계
○ 글로벌 패권경쟁으로 인해 신냉전시대에 접어드는 상황에서 한·중·일 3국은 열린 판도라 상자의 상황에 처함에 따라 이를 극복하기 위한 솔로몬의 지혜가 과학기술협력에서 요구되는 시점임 - 최근 점차 확대되고 있는 3국 국민간 상호 신뢰도와 관계인식 등에서의 부정적 요소를 극복하기 위한 과학기술혁신 교류협력을 적극적으로 추진하여야만 미래 지향적 관계형성이 가능할 것임 - 특히, 코로나 팬데믹으로 인한 교류 단절과 상호 부정적 인식의 제고 등을 해소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이 요구되는 ...
자세히 보기2023-06-09- 발행 : 한중과학기술협력센터
-
보건의료
의약품 연속제조(CM) 공정의 이점과 기회
의약품 연속제조(CM) 공정의 이점과 기회
연속제조(Continuous manufacturing, CM)란 중단없이 원료를 지속적으로 공급 및 처리하여 제품을 제조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CM 및 관련 용어에 대한 다양한 해석이 존재하지만, 미국식품의약국(FDA)에 따른 의약품에서의 CM은 ‘엔드 투 엔드(end-to-end)’ 개념으로, 약물 또는 약물 기반제품의 공정 단계가 단일 연속 시스템으로 완전히 통합되는 접근방식을 말한다. 이는 기존 배치(Batch)식 생산 프로세스와 비교해볼 때, 단계별로 약물생산을 중단하고...
자세히 보기2023-06-09- 발행 : 한국바이오협회
-
전기/전자,정보/통신
월간 ICT 산업 동향 2023-5호
월간 ICT 산업 동향 2023-5호
Ⅰ. 수출 동향① 개요 ② 반도체 ③ 디스플레이 패널 ④ 휴대폰 ⑤ 컴퓨터 및 주변기기 ⑥ 이차전지 ⑦ SWⅡ. 트레이드 GPS1. 인도 ? 측정제어분석기기2. 변성기3. Ex-BriefingⅢ. 부록1. ICT 생산 통계2. 2023년 4월 ICT 산업 수출입 통계(잠정)3. 주요국 ICT 수출입 통계4. ICT 부분별 온라인 해외 직접 판매/구매 금액5. ICT 부문별 수출입 금액 및 물량 지수ㅁ ’23.4월 ICT 수출은 127.7억 달러(△35.9%), 수입은 104.4억 달러(△14.0%...
자세히 보기2023-06-09- 발행 : 정보통신기획평가원
-
전기/전자,정보/통신
KEIT 이슈리뷰 2023-5월호 통합본. 디지털트윈 기술
KEIT 이슈리뷰 2023-5월호 통합본. 디지털트윈 기술
KEIT issue review 2023.5 서비스 실증 개념을 적용한 실감형 기술 동향디지털 트윈 기반 지능형 섬유 제조기술디지털 트윈 기반 유연 자동화 가공셀 기술동향디지털 트윈 기술과 로봇 연계 기술동향 및 발전방향실감형 디스플레이를 위한 Light Field 디스플레이 기술현황과 개발방향
자세히 보기2023-06-09- 발행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전기/전자,정보/통신
KEIT 이슈리뷰 2023-5월호 1. 서비스 실증 개념을 적용한 실감형 기술동향
KEIT 이슈리뷰 2023-5월호 1. 서비스 실증 개념을 적용한 실감형 기술동향
가상현실, 증강현실, 혼합현실 등을 포괄하는 XR은 몰입감을 극대화하고 시공간 한계를 극복하는 등 차별화된 사용자 경험을 선사함으로써 스마트폰 이후의 차세대 인터페이스로 각광받고있다.모든 환경을 가상환경으로 제작하는 VR분야는 기술적으로 안정되었으며, 소비자용(B2C) 시장 및 기업용(B2B) 시장에서의 활용사례는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반면 현실세계를 바탕으로 가상의 물체와 사용자가 상호작용하는 AR분야는 아직 기술이 안정화되어있지 ...
자세히 보기2023-06-09- 발행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재료,정보/통신
KEIT 이슈리뷰 2023-5월호 2. 디지털 트윈 기반 지능형 섬유 제조기술
KEIT 이슈리뷰 2023-5월호 2. 디지털 트윈 기반 지능형 섬유 제조기술
디지털 트윈은 공정손실 절감 및 노동시간 단축, 불량률 감소 등 그 효과가 검증되기 시작하면서 제조분야 저성장 극복을위해 자동차·항공 등 조립 제품에서 철강·화학 등 소재 분야에 이르기까지 경쟁적으로 디지털 트윈이 도입되고 있다. 이에 발맞춰 섬유산업에도 디지털 트윈 기술의 도입을 서두르고 있는 상황이며, 수요 맞춤형 표준모델 개발을 요구받고 있다.
자세히 보기2023-06-09- 발행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기계,전기/전자
KEIT 이슈리뷰 2023-5월호 3. 디지털 트윈 기반 유연 자동화 가공셀 기술동향
KEIT 이슈리뷰 2023-5월호 3. 디지털 트윈 기반 유연 자동화 가공셀 기술동향
유연자동화가공셀은공작기계와자동화/주변장치및이를운용하는셀제어기와운용 S/ W로 구성되며 Mass Customization 등 수요 제조업의 생산 패러다임 변화에 따라중요성이 크게 증가하고있다.동분야세계선도기업의경우자율이동형소재/공구핸들링로봇등을활용하여고객니즈에 최적화된 가공셀레이아웃을 자유롭게 구성하고 운영할 수 있는 기술을 활발히상용화하고 있다. 가공셀의 유연한 구성 및 확장성을 담보하기 위해서는 가공셀 구성 자산의 디지털 표현 및 인터페이스를 국제표준...
자세히 보기2023-06-09- 발행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전기/전자,정보/통신
KEIT 이슈리뷰 2023-5월호 4. 디지털 트윈 기술과 로봇 연계 기술동향 및 발전방향
KEIT 이슈리뷰 2023-5월호 4. 디지털 트윈 기술과 로봇 연계 기술동향 및 발전방향
디지털트윈과로봇기술접목을통한기술적한계돌파디지털 트윈 기술은 로봇 제품의 실패 가능성을 줄이고 지속적인 최적화를 가능하게 하여 로봇산업에서필수적인도구로활용될수있다.디지털 트윈의 정확성을 위해서는 실 환경 테스트와의 연동이 필수적이다. 실 환경과 디지털 트윈이결합된테스트베드를이용하면로봇제품의성능과신뢰성이크게향상될수있을것이다. 로봇산업의 실증에 필요한 로봇연계 디지털 트윈의 구현에는 로봇 시스템을 지원하는 상용디지털트윈플랫폼기술과함께다음의기술들이필요하다.? 로봇의디지털트윈구...
자세히 보기2023-06-09- 발행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과학기술과 인문사회,전기/전자
KEIT 이슈리뷰 2023-5월호 5. 실감형 디스플레이를 위한 Light Field 디스플레이 기술현황과 개발방향
KEIT 이슈리뷰 2023-5월호 5. 실감형 디스플레이를 위한 Light Field 디스플레이 기술현황과 개발방향
라이트필드 디스플레이는 패널의 각 픽셀이 시청 각도에 따라 다른 색과 밝기로 보이도록 제어하여입체실감영상을표시하는공간표시디스플레이로, 고해상도베이스패널과마이크로렌즈어레이등의광학계로구성되며초저지연사용자추적 기술과라이트필드영상실시간렌더링및상호작용기술이추가로포함된다. 8K 고해상도 OLED 개발 등 기반 기술들의 발전으로 가장근시일에 구현 가능한 공간표시 디스플레이 기술로 대두되고 있으며, 미국 Google, Meta등 글로벌 선두 산업계 및 학계를 중심으로 AR/ VR HMD, 모바일, 노트북, 대...
자세히 보기2023-06-09- 발행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